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근대철학 > 데카르트
· ISBN : 9788956600710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17-03-22
책 소개
목차
역자 서문
I 데카르트와 근대 철학
1. 데카르트의 삶과 철학
2. 데카르트에서 과학과 철학의 관계
3. 데카르트의 철학
4. 데카르트의 철학과 스피노자의 철학
영원한 진리에 관한 데카르트의 편지들
1630년 4월 15일, 메르센 신부에게
1630년 5월 6일, 메르센 신부에게
1630년 5월 27일, 메르센 신부에게
II 데카르트 철학의 계보
5.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체계인가 경험인가?
6. 광기에 대하여 - 미셸 푸코와 자크 데리다의 논쟁
1) 푸코와 데카르트
2) 데리다의 공격
3) 푸코의 반격
7. 데카르트의 현대성
책속에서
그러나 데카르트가 세속화하고자 한 것은 단지 과학뿐이지 종교는 아니었다. 데카르트가 내면적으로나 겉으로 드러난 태도에서나 기독교인이자 가톨릭 신자였다는 점에는 의문의 여지가 없다. 그가 교회의 권위에 대한 순종을 맹세할 때, 자신의 평온을 위한 과도한 조심성조차도 그의 진실한 신앙, 그리고 그의 신앙 자체에 대한 의심의 원인일 수는 없다. 오히려 그럼직한 사실은 데카르트에게 종교적 정신이 특수하거나 쇄신된 성찰을 통해 이루어진 것이 아니며 그 스스로 종교적 정신에 대한 자신의 태도를 이미 확고하게 정해놓았다는 것이다. 그는 단지 우연히 신비주의적인 외양을 보였을 뿐이다. 오히려 데카르트는 확고한 결단의 소유자였다. 게다가 계시된 진리에 대한 믿음이 의지 행위라고 말하지 않았던가? 여하튼 데카르트는 지적 혁신에 대한 자신의 계획에서 단호하게 종교를 제외했다. 그는 종교를 과학적·철학적 확실성과 비교될 수도 없고 관계 맺을 수도 없는 특수한 성격의 확실성을 갖는 별개의 대상으로 보았다. 그가 종교가 철학으로부터 독립적이라고 주장한 것은 분명 스콜라학파의 신학으로부터 종교가 독립적인 것이기를 바랐기 때문일 것이다.
_〈1장 데카르트의 삶과 철학〉 중에서
데카르트가 나타났을 때 근대 철학은 아직 확립되지 않은 상태였다. 실질적으로 근대 철학을 확립한 것은 데카르트였다. 데카르트의 체계는 독창적이고자 했고 실제로 독창적이었다. 그의 체계가 독창적이었던 것은 우선 체계의 기원을 자아로부터 또 철학적 문제를 제기하는 자기 고유의 방식으로부터 도출해냈기 때문이다. 그의 체계가 독창적이었던 또 다른 이유는 어느 정도 자명한 방식으로 그러나 확실히 효율적인 방식으로 사상의 발전을 촉진했기 때문이다. 이 같은 발전으로 인해 다양한 방향에서 미래의 학설들이 출현하게 되었고 데카르트의 체계는 이 학설들 모두의 진정한 기원이었다.
_〈2장 데카르트에서 과학과 철학의 관계〉 중에서
과학자로서 데카르트가 내세울 만한 두 개의 위대한 권리가 있는데, 바로 해석기하학의 창안과 물질계의 모든 현상을 포괄하는 기계론적 물리학의 구성이다. 그런데 과학에서 이 두 종류의 업적이 데카르트 없이도 생겨날 수 있었다는 주장은 일단 매우 타당해 보인다. 과학에서 해석기하학과 기계론적 물리학은 데카르트 이전에 그 핵심이 이미 산출되었기 때문이다. 해석기하학은 페르게의 아폴로니오스의 기하학적 해석과 비에트의 대수학적 해석에 의해 직접적으로 준비되었을 뿐 아니라, 기하학의 문제를 대수학적 문제 해결에 할당한 해석기하학의 구성 절차도 그로부터 얼마 전에 이미 페르마에 의해 매우 명시적으로 사용되었다. 한편, 모든 것을 크기, 형태, 운동에 의해 설명할 목표를 가진 물리학의 확립은, 매우 오랜 선례들로 거슬러 올라가지 않고 말하자면 일정 부분 레오나르도 다빈치에 의해 매우 분명하게 구상되었고, 케플러에 의해, 그리고 데카르트의 시대에는 갈릴레이의 발견과 이론에 의해 부분적으로 실현되었다. 그러나 우선은 이와 같이 보일지라도, 과학 영역에서도 데카르트는 그의 선배들을 계승하는 것 이상을 실현했으며 과학자로서의 그의 독창성은 그가 과학을 바라본 철학 정신에서 직접적으로 비롯되었다.
_〈2장 데카르트에서 과학과 철학의 관계〉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