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근대철학 > 칸트
· ISBN : 9788957337288
· 쪽수 : 424쪽
· 출판일 : 2021-04-12
책 소개
목차
책을 내면서 … 5
머리말 … 15
서장 인간의 존엄성을 어떻게 고양할 것인가 … 27
1장 인간은 무엇인가 … 41
1. 인간의 본질을 어떻게 규정할까 … 47
1) 생명체 곧 동물로서의 인간 … 49
2) 이성적 동물로서의 인간 … 67
3) 정감적인 이성적 동물로서의 인간 … 79
4) 문화적 동물로서의 인간 … 107
2. 인간의 존엄성은 무엇에 근거하는가 … 133
1) 인간의 규범과 당위(當爲) … 133
2) 인간의 존엄성과 그 원천 … 146
2장 사회적 존재자로서의 인간과 난관 … 165
1. ‘시민사회’와 그 허구성 … 169
2. ‘시민사회’의 운영 원리와 문제들 … 177
1) 평등의 이념과 문제성 … 177
2) 자유의 이념과 문제성 … 205
3) 평등과 자유의 조화 문제 … 232
3장 자연 존재자로서의 인간과 반성 … 239
1. 신체로서의 ‘인간’관 … 243
2. ‘정신’ 없는 물리주의적 세계 … 253
3. 지능과 지성의 분별 그리고 인간 … 261
4. 인공지능과 ‘인격성’ 문제 … 265
5. ‘인공지능 윤리’에 대한 성찰 … 273
4장 포스트휴먼 사회의 도래와 인간의 과제 … 279
1. 인본주의 원칙 … 281
2. 과학기술의 급진에 따른 인간적 사회의 2대 과제 … 285
1) 노동기반소득체제의 와해와 소득구조 재편의 문제 … 289
2) 의생명과학기술의 진보와 생명 윤리 문제 … 321
3. 포스트휴먼 사회에서의 휴머니즘 증진 요점 … 331
5장 인간은 무엇이어야 하는가 … 339
1. 지성 함양 … 343
2. 자기교화와 교양 … 347
3. 정치공동체를 넘어 윤리 공동체로 … 355
주석 … 361
참고문헌 … 387
찾아보기 … 411
저자소개
책속에서
‘포스트-휴먼’이 문자 그대로 자연인간인 현생 인류 이후의, 인간보다 탁월한(진화한) 어떤 존재자를 지칭한다면, 그러한 존재자에 관해 우리가 무엇인가를 논한다는 것은 터무니없는 짓이다. 우리가 의론할 수 있는 것은 휴먼 세계의 종말까지일 뿐, 그 이후에 관한 논설은 과학적인 근거도 빈약할 뿐만 아니라, 종교적으로도 무의미하다. 그런 것이야말로 공상이다.
인간의 전모가 실로 자연과학에 의해 밝혀진다면, 그것은 인간이 유기물이든 무기물이든 순전히 물질 구조물임을 말하는 것이다. 과연 인간은 물체적 존재자 중의 하나인가? 또는 인간이 한낱 물체적 존재자가 아니라면, 무엇을 근거로 사람들은 인간의 인간임을 말하는가?
인간은 자신을 대상화하여 스스로를 평가함으로써, 자신의 한계를 깨닫고, 현실에 대비되는 이상을 끊임없이 그려보고, 그를 실현하기 위해 매진한다. 이로 인해 종교와 윤리 도덕 그리고 예술이 발원하고, 과학기술의 착상에 이른 것이라 볼 수 있다. 그러니까 인류 문화의 토대는 인간의 자기 자신에 대한 반성 능력이라 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