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칸트와 포스트휴머니즘

칸트와 포스트휴머니즘

(포스트휴머니즘의 시대, 칸트를 다시 사유하기)

백종현, 안윤기, 손성우, 백승환, 김양현, 윤영광, 이혜진 (지은이), 한국포스트휴먼연구소 (엮은이)
파이돈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칸트와 포스트휴머니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칸트와 포스트휴머니즘 (포스트휴머니즘의 시대, 칸트를 다시 사유하기)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근대철학 > 칸트
· ISBN : 9791198561961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4-10-28

책 소개

포스트휴머니즘은 인간중심주의에 도전함으로써 인간과 비인간 간의 관계를 새롭게 인식하도록 하는 사회과학의 중요한 패러다임으로 부상했다. 그러나 포스트휴먼화의 추세가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자연스러운 귀결이고, 인간을 뛰어넘는 어떤 존재자의 출현은 자연 진화의 과정이므로 인간이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사실이라고 마냥 자연스럽게 말할 수 있을까.

목차

책을 펴내며
서설_칸트의 인간관, 휴머니즘_백종현

1장 인간의 이상과 조건

포스트휴머니즘과 인간의 이상_안윤기
인간의 조건으로서의 자율성_백종현

2장 인간 이성의 경계

메타버스, 가상현실, 그리고 칸트의 형이상학 비판_손성우
계산주의, 연결주의, 그리고 칸트의 건축술_백승환

3장 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

칸트적 인간중심주의와 요나스적 생태중심주의_김양현
포스트휴먼 칸트의 단초: 들뢰즈-푸코의 인간 없는 칸트주의_윤영광
칸트 『판단력비판』에 나타난 자연관 및 자연과 인간의 상호작용
: 포스트휴머니즘의 칸트 비판에 대하여_이혜진

저자소개

백종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한국포스트휴먼연구소 소장. 서울대학교 철학과에서 학사·석사 과정 후 독일 프라이부르크 대학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인하대·서울대 철학과 교수, 서울대 철학사상연구소 소장,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원장, 한국칸트학회 회장, 한국철학회 『철학』 편집인·철학용어정비위원장·회장 겸 이사장, 한국포스트휴먼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주요 논문으로는 “Universality and Relativity of Culture”(Humanitas Asiatica, 1, Seoul 2000), “Kant’s Theory of Transcendental Truth as Ontology”(Kant-Studien, 96, Berlin & New York 2005), “Reality and Knowledge”(Philosophy and Culture, 3, Seoul 2008) 등이 있고, 주요 저서로는 Phanomenologische Untersuchung zum Gegenstandsbegriff in Kants “Kritik der reinen Vernunft”(Frankfurt/M. & New York 1985), 『독일철학과 20세기 한국의 철학』(1998/증보판2000), 『존재와 진리―칸트 〈순수이성비판〉의 근본문제』(2000/2003/전정판2008), 『서양근대철학』(2001/증보판2003), 『현대한국사회의 철학적 문제: 윤리 개념의 형성』(2003), 『현대한국사회의 철학적 문제: 사회 운영 원리』(2004), 『철학의 개념과 주요 문제』(2007), 『시대와의 대화: 칸트와 헤겔의 철학』 (2010/개정판2017), 『칸트 이성철학 9서5제』(2012), 『동아시아의 칸트 철학』(편저, 2014), 『한국 칸트 철학 소사전』(2015), 『이성의 역사』(2017), 『인간이란 무엇인가–칸트 3대 비판서 특강』(2018), 『한국 칸트사전』 (2019), 『인간은 무엇이어야 하는가-포스트휴먼 시대, 인간을 다시 묻다』(2021), 『인간의 조건』(2024)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임마누엘 칸트–생애와 철학 체계』(F. 카울바흐, 2019), 『실천이성비판』(칸트, 2002/ 개정2판2019), 『윤리형이상학 정초』(칸트, 2005/개정2판2018), 『순수이성 비판 1·2』(칸트, 2006), 『판단력비판』(칸트, 2009), 『이성의 한계 안에서의 종교』(칸트, 2011/개정판2015), 『윤리형이상학』(칸트, 2012), 『형이상학 서설』(칸트, 2012), 『영원한 평화』(칸트, 2013), 『실용적 관점에서의 인간학』(칸트, 2014), 『교육학』(칸트, 2018), 『유작 I.1·I.2』(칸트, 2020), 『학부들의 다툼』(칸트, 2021), 『유작 II』(칸트, 2022) 등이 있다.
펼치기
백종현의 다른 책 >
김양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 철학과 교수. 전남대학교 철학과에서 학사와 석사학위를 마치고, 독일 뮌스터대학교에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전남대학교 인문대학 학장과 문화전문대학원 원장, 범한철학회, 한국철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주요 관심 분야는 실천철학, 윤리학, 응용윤리학 등이다. 주요 저서 및 역서로 『칸트 철학의 인간중심주의와 생태윤리학』, 『목적의 왕국』(공역), 『규범성의 원천』(공역), 『윤리학의 이해』(공저), 『윤리학 강의』(공저), 『병원인문학』(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윤영광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강원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고려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철학과에서 석사 학위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저서로는 ≪칸트와 푸코: 비판, 계몽, 주체의 재구성≫(2025)과 몇 권의 공저가 있고, 번역서로는 ≪공통체≫(안토니오 네그리·마이클 하트, 2014), ≪이제 모든 것을 다시 발명해야 한다: 제국에 저항하는 네그리의 정치철학≫(닉 다이어위데퍼드 외, 2010) 등이 있다.
펼치기
안윤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양학/철학 교수. 서울대학교에서 철학을 공부하고(B.A., M.A.) 장로회신학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했으며 MA(M.div.), 독일 튀빙엔대학교에서 칸트의 이론철학에 관한 논문을 쓰고 철학박사(서양근대철학 전공) 학위를 취득했다(Ph. D). 박사논문: Ph DTranszendentale und empirische Subjektivitat im Verhaltnis - Das reziproke Seinsverhaltnis der beiden Subjektivitaten in Kants Transzendentalphilosophie (Wurzburg: Konigshausen & Neumann, 2012). 서양근대사상사에서 펼쳐진 이성과 반(反)이성의 대결, 특히 1800년 어간의 고전주의와 낭만주의 문제에 큰 관심을 갖고 있으며, 철학적 주제가 종교와 문학, 예술, 더 나아가 국가와 교육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확산되는 모습을 예의주시하며 추적하기를 좋아한다. 또한 로이힐린, 바움가르텐, 멘델스존, 하만, 야코비 등 국내에 덜 알려진 인물을 발굴하고 소개하는 데 힘쓰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근대미학과 경건주의」, 「자기의식 문제와 지성적 직관」, 「초월철학과 무신론 문제」, 「칸트의 Cogito, ergo sum」, 「칸트에게서 악의 문제와 기독교의 원죄론」, 「자연주의 문제: 플랜팅가의 비판과 이에 대한 데닛의 반박」, 「칸트 철학은 반(反)종교적인가?」, 「18세기 범신론 논쟁」, 「하만의 ‘이성 순수주의에 대한 메타비판’(1784)」, 「철학사 읽기」 등이 있다.
펼치기
백승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강릉원주대학교 철학과 조교수. 서울대학교 철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마쳤고, 공군사관학교에서 철학교수요원으로 군복무를 마친 후에 유학하여 존스홉킨스대학교(Johns Hopkins Univ.) 철학과에서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양근대철학에서 논의되는 형이상학적, 인식론적, 과학철학적, 윤리학적, 심리철학적 문제들을 주로 연구하며 강의하고 있다. 최근에 출간된 주요 논문으로는 「계산주의, 연결주의, 그리고 칸트의 건축술」(『근대철학』 제23집, 2024), 「칸트의 지각의 예취들」(『철학논집』 제74집, 2023), 「흄의 외부 세계 현존 문제」(『근대철학』 제20집, 2022) 등이 있다.
펼치기
손성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명지대학교 방목기초교육대학 부교수. 서울신학대학교 신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철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독일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등에서 강의했다, 칸트 철학에서 인식론과 형이상학을 주로 연구했으며, 독일 관념론 중 셸링의 동일철학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과학에 대한 형이상학적 이해, 종교와 철학의 학제간 연구에 주로 관심을 두고 있다. 논문으로는 「셸링의 자유개념과 악의 가능성」, 「셸링의 『자유론』에서 나타난 악의 개념의 자연철학적 기원」, 「칸트 물질개념에서 나타난 밀도와 인력의 순환성 문제」, 「셸링 『인간 자유의 본질에 관한 철학적 탐구』에서 악의 현실성과 극복에 대한 철학적 해명과 종교적 성찰」 등이 있다.
펼치기
이혜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인문학펠로우,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객원연구원,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미학과 강사.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미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튀빙겐 대학교에서 칸트 철학을 주제로 철학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칸트 철학 및 칸트 전후 독일어권의 사상과 문화를 중심으로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세계시민적 관점에서 본 칸트의 취미 이론Kants Geschmackstheorie in weltburgerlicher Absicht』(Verlag Karl Alber, Baden-Baden 2022)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 「계몽 정신에 부응하는 철학의 사명과 미에 대한 지성적 관심」, 「칸트의 순수한 취미판단 이론에 나타난 두 가지 합목적성 개념과 그 의미」, 「칸트의 “자연미에 대한 직접적 관심”에서 ‘직접적unmittelbar’의 의미」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어떤 동물이든, 어떤 인공지능 로봇이든, 그것이 인격성을 갖지 않는 한 인권과 유사한 권리를 가질 수 없다. … 납세의 의무, 성실한 근로의 의무도 감당하지 않는 어떤 동물이나 사물은 결코 시민일 수가 없으며, 시민의 위격을 갖추지 못한 사물이 ‘인권’과 유사한 권리를 가질 수는 없다. 일찍이 칸트는 ‘동물권’ 논의에 포함될 만한 인간의 의무에 관해 말했지만, 그 의무는 동물에 대한 인간의 의무가 아니라, 인간의 인간에 대한 의무의 일환이다.


칸트는 우리가 신, 곧 초월적 이상에 대해 생각하는 것이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일이라고 보았는데, 그 이유는 이상이 한낱 자의적인 이념이 아니라, 도리어 이성의 본성에서 자연스럽게 비롯된 이념에 기초하기 때문이다.


인간의 존엄성은 당위적인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당위는 바로 인간의 자율성에서 비롯한다. 인간에게 자율성이 없다면 인간은 한낱 동물이거나 기계의 일종일 터이다. 인간은 자율적인 한에서만 인간일 수 있다. ― 인간인 한에서 인간은 자율적이어야 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