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91171176960
· 쪽수 : 548쪽
· 출판일 : 2024-08-01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면서
머리말 철학은 당대의 내비게이션이다 - 이명현
1부 현대 문명 비판
현대 과학 기술 문명에 대한 하이데거의 철학적 물음 - 한충수
푸코의 문제화로서의 철학과 철학의 문제화 - 윤영광
동물을 사랑하는 것과 윤리적으로 대우하는 것 - 최훈
2부 정의 실천의 모색
한국 및 독일 사회의 ‘현실’과 하버마스의 사회‘철학’ - 선우현
현실의 역설과 다차원적 구성에 관한 루만의 체계이론 - 정성훈
부뤼노 라투르의 새로운 사회학과 행위자 개념 - 손화철
롤즈: 평화의 정치철학 - 정원섭
아마티아 센의 역량 접근법과 비교적 정의론 - 목광수
오킨, 여성주의적 정의론의 가능성을 탐색하다 - 김은희
3부 경험의 한계와 진리에 대한 사색
러셀의 논리 원자론 - 박정일
사용으로서의 의미: 비트겐슈타인의 통찰과 브랜덤의 추론주의 의미 이론 - 석기용
원초적 해석과 의미: 데이빗슨의 인과주의 비판 - 이영철
정신에 대한 형이상학은 여전히 유효한가? - 백두환
분석 철학은 꼭 현실을 반영해야 하는가? - 김도식
인문 교육의 힘: 유명론과 언어적 전환 - 백도형
4부 다시 ‘참’을 추구하는 노고(勞苦)
베르그손이 말하는 물리학자의 사유와 그 토대 - 이서영
현상학의 현상학: ‘현상학함’에 대한 스승과 제자의 대화 - 문아현
다시금 인간이란 무엇인가: 메를로퐁티의 지각철학의 문제형성과 전개 - 박신화
일상의 삶과 행복 - 강영안
철학과 현실의 소통 변증법: 열암 박종홍의 철학관 소고 - 황경식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창조적 사색인은 선현들의 저술들을 탐독한다. 그러나 그것은 그의 창조적 활동을 위한 토대요 뜀틀은 될 수 있으나, 그의 창조적 활동의 탐구 대상은 아니다. 그의 탐구 대상은 어디까지나 자신이 몸 담고 있는 현실이 제기하는 문제 상황이다. 그 문제 상황에 대한 적절한 진단과 처방을 내리는 것이 그 시대와 호흡하는 창조적 사색인의 임무요, 사명이다. 그 시대가 해명해야 할 과제를 명료히 하고, 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향을 보여주는 개념적 지도가 창조적 철학이 산출하는 내비게이션(navigation)의 본 모습이다. (…) 신문명은 새로운 개념적 지도, 신-문법(neo-grammar)을 요청한다. 이러한 철학적 작업이 산출하는 신문법이 다름 아닌 그 시대를 위한 내비게이션(navigation)이다.
【머리말】
철학의 문제화라는 관점에서 보면 역사함을 통한 철학함, 즉 철학의 역사화보다 더 중요한 것은 그러한 역사화의 이유 혹은 동기다. 문제화로서의 철학의 ‘어떻게’와 ‘왜’ 모두가 철학을 문제화하지만 ‘어떻게’는 ‘왜’와의 관계에서 논의되지 않으면 과녁에 도달하지 못한다. 푸코는 왜 역사적 문제화의 방식으로 철학을 수행했는가? 이것이 이 글을 인도하는 물음이며, 이 물음의 인도하에서만 ‘비오스(bios)’와 ‘에토스(ethos)’라는 철학의 오랜 문제가 철학의 문제화의 정점으로 제기되는 후기 푸코의 행로의 철학적 함축을 이해할 수 있다.
【1부 현대 문명 비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