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후기(영조~순종)
· ISBN : 9788957337400
· 쪽수 : 468쪽
· 출판일 : 2021-07-30
책 소개
목차
서언
Ⅰ 기술직 중인의 신분적 연원
1. 기술직 중인과 잡과중인
2. 기술관의 충원 양태
3. 기술직 중인의 사회적 위상
Ⅱ 기술직 중인과 잡학 교육
1. 잡학과 잡과
2. 잡학 생도 현황
3. 잡학 교육과 학습
4. 잡학 교육의 특징과 의의
Ⅲ 의역주팔세보의 편찬과 체제
1. 팔세보 편찬 배경
2. 편찬 체제와 구성
3. 팔세보의 수록 내용
Ⅳ 의역주팔세보 현전 자료와 특성
1. 의팔세보 자료와 특징
2. 역팔세보 자료와 특징
3. 주팔세보 자료와 특징
Ⅴ 의역주팔세보의 성관과 가계 분석
1. 의팔세보 성관 실태
2. 역팔세보 성관 실태
3. 주팔세보 성관 실태
4. 팔세보와 잡학, 세전성
Ⅵ 기술직 중인과 사회적 위상
1. 기술직 중인과 사회 변화
2. 기술직 중인의 타과 진출
3. 기술직 중인 가계의 세전 양상
4. 사회적 유동성과 그 의미
결어
부록
참고문헌
저자 후기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각 신분층에 대한 다양한 측면과 시각에 입각한 연구가 진척될 때 조선후기 사회 변동의 전체적인 역사상이 보다 선명하게 드러날 것이다. 팔세보에 관한 연구는 기술직 중인의 세전 양상 등 그들의 사회적 성격을 밝히는 기초 자료인 만큼, 기존 신분사 연구에 새로운 계기를 마련할 것이다.
― 「서언」
사회 전반적으로는 급격한 신분제의 동요와 이동이 있었지만, 그들의 경우 그런 전체적인 흐름 가운데서 오히려 자신들의 신분과 지위를 공고하게 만들어가며 계층 간의 결속력을 강화해 가는 현상을 보여주었다. 필자는 그런 현상을 ‘사회적 유동성 속의 비유동성’이라 부를 수 있다고 생각한다.
― 「저자 후기」
기술직 중인의 신분적 연원에 대해서 검토한다. 기술직 중인과 잡과중인의 개념과 범주를 다루며 그들의 충원 양태를 잡학 생도와 양가 자제, 향리와 서리, 서얼, 기술직 종사 양반, 기술관서 재관자 및 자손, 향화인(向化人) 등을 중심으로 살핀다.
― 「1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