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반도 평화는 가능한가? (한반도 안보질서의 전환과 평화체제의 모색)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세계패권과 국제질서
· ISBN : 9788958030133
· 쪽수 : 324쪽
· 출판일 : 2004-06-10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세계패권과 국제질서
· ISBN : 9788958030133
· 쪽수 : 324쪽
· 출판일 : 2004-06-10
책 소개
'2003년 제주평화회의' 를 통해 발표된 논문을 수정, 보완하여 책으로 묶었다. 주한미군 감축과 기지이전 문제 등에서 표출된 한미동맹 이상 징후와 6자 회담을 앞두고 미국과 중국의 미묘한 갈등 앞에서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 정세는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모습을 세밀하게 분석, 진단하고 이를 토대로 한반도 평화체제를 모색한다.
목차
특별좌담: 한반도 안보 위기와 한국 시민사회의 대응
제1부 전환기 미국의 안보전략과 한반도 평화
제1장 미국의 세계전략 변화와 한반도 안보 -서재정
제2장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과 한미동맹 개혁 -서보혁
제3장 빗나간 21세기 안보 조합 -정욱식
제2부 한반도 평화체제의 모색과 동북아 협력
제4장 동북아와 한반도의 평화체제는 가능한가 -백낙청
제5장 중국의 부상과 동북아 평화체제 -이남주
제6장 동북아 경제협력과 평화운동 -이일영
제3부 한반도 평화질서를 위한 대안
제7장 남북평화협정과 한반도 평화
제8장 한반도 군축과 민족공동체 건설 -함택영
제9장 주한미군과 시민평화 -배종진
저자소개
책속에서
새로운 전략을 기획하기에 앞서 먼저 필요한 것은 새로운 시대에 걸맞은, 그리고 새로운 시대를 열어나갈 수 있는 '철학과 비전' 이라고 할 수 있다. 한반도의 과거-현재-미래를 성찰하고, 이 속에서 과거의 부정적인 유산을 극복하고 현재의 불안 요인을 제거하며, 냉전 시대와는 다른 미래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김대중 정부가 적극적으로 추진하지 못한 '새로운 안보 패러다임의 정립' 이 대단히 중요하다. 특히 '국가' 안보를 위한다는 명분으로 '인간'안보로 표현되는 인권의 부정, 억압, 왜곡, 유보를 강요당해온 우리의 현실에서 전통적인 안보를 뛰어넘는 새로운 안보 철학은 절실히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본문 137쪽 중)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