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치학 일반
· ISBN : 9788958208730
· 쪽수 : 192쪽
· 출판일 : 2024-01-30
책 소개
목차
서문
1 정치적 가치와 갈등
2 정의의 문제와 권리의 본질
3 자유의 본질과 가치
4 재산권
5 평등과 분배정의
6 사회 정의론의 문제
7 시민권: 표현과 라이프스타일의 자유
8 경제적 자유의 범위
9 정부의 권위와 적격성
10 사회란 무엇인가?
11 정치경제학의 필요성
옮긴이 해제
주석·참고문헌
리뷰
책속에서
정치철학은 어떤 제도가 좋고 어떤 것이 나쁜지 혹은 어떤 것이 정당하고 어떤 것이 그렇지 않은지 가늠할 수 있는 적절한 준거를 세우고자 한다. 물론 제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제 도가 현실에서 실제로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아야 하며 가능한 대안은 무엇인지도 알아야 한다. 즉 사회과학 특히 경제학, 정치학, 사회학 그리고 인류학 등에 대해 알아야 한다.
- 서문
모든 정치철학적 입장이 모든 것에 대해 중립적인 것은 아니다. 특정 정치철학설은 종종 하나의 원칙을 다른 것에 비해 더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고전적 자유주의와 자유지상주의 정치철학은 개인의 자유와 자율에 방점을 둔다. (…) 공동체주의와 보수주의 정치철학은 질서와 공동체에 무게를 둔다. (…) 진보주의와 사회주의 정치철학은 물질적 평등과 사회적 지위 평등에 초점을 맞춘다.
- 정치적 가치와 갈등
단 한 사람일지라도 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는 것이 불특정 다수의 권리를 보호하는 것에 우선한다. 국정원이 영장 없이 누군가를 감청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일반 국민의 권리를 더 잘 보호하는 방법이라고 해보자. 권리를 울타리처럼 생각하는 노직의 입장에서 영장 없는 국정원의 감청은 잘못된 행동이다. 그로 인해 아무리 많은 사람이 혜택을 누려도 누군가의 권리를 침해해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 정의의 문제와 권리의 본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