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인문학 일반
· ISBN : 9788982226649
· 쪽수 : 412쪽
· 출판일 : 2020-08-10
책 소개
목차
발간사
서문
제1부 자유주의의 새로운 얼굴
진보적 자유주의의 한국적 의미/ 윤평중
세계화와 자유민주주의 위기의 두 얼굴/ 정진영
-신자유주의와 포퓰리즘의 정치적 동학
글로벌 경제의 시각에서 본 민주주의와 자유주의의 새로운 모색/ 김경수
하이에크 사회정의론 옹호/ 정연교
자유주의 문명의 경계에서/ 허우성
- 간디에서 이토를 넘어 롤스까지
제2부 민주주의의 변화
민주주의의 새로운 모델/ 진미경
-새로운 국가와 사회관계
민주주의의 이중성/ 이동수
-르포르의 포스트모던 민주주의
시민적 공화주의/ 신중섭
복합평등의 철학적 기원/ 박정순
문명 진보를 위한 국가행정의 제도화/ 정용덕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서문_현대 문명의 중요한 요소인 자유주의와 민주주의, 시장경제와 관련된 여러 문제, 특성과 한계, 제기한 문제와 문제 해결을 위한 제안과 대안을 폭넓게 논의하는 책이다. …이를 계기로 우리 사회에서 자유주의와 민주주의의 위기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이를 지혜롭게 극복함으로써 좀 더 나은 사회가 도래하길 바란다.
_신중섭(강원대학교 교수)·정연교(경희대학교 교수)
진보적 자유주의의 한국적 의미_한국 진보가 이처럼 마르크스주의를 그 비전의 원점으로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의 자유주의 이해도 대체적으로 마르크스주의 패러다임 안에 머물러 있다. 따라서 나는 마르크스주의의 자유주의 이해가 갖는 문제점을 정면에서 거론함으로써 한국 진보의 자유주의관을 결과적으로 논파하는 정공법을 택하고자 한다. 진보의 다양한 분파가 마르크스주의의 표준적 공식을 따르면서 나름대로 변용시키고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21세기인 지금도 한국 진보의 마르크스주의적 상상력에 본질적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세계화와 자유민주주의 위기의 두 얼굴_신자유주의가 어떻게 자유민주주의를 위기에 빠뜨리는가? 이 물음에 답하기 위해서 우리는 우선 신자유주의의 본질에 대해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 우리는 신자유주의 이념의 두 측면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소극적 측면과 적극적 측면이다. 우선 소극적 측면에서 신자유주의는 하비(David Harvey)가 잘 설명한 것처럼, “케인스주의로부터의 탈피” 또는 “(배태된 자유주의 타협)의 제약들로부터 자본을 해방시키는 것”을 의미한다(Harvey, 2005: 11). 그리고 이러한 작업은 “신고전파 경제학”의 “자유시장 원칙들”로 복귀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의미에서 신자유주의의 ‘신(neo)’은 ‘신고전파’에서 왔다(Harvey, 2005: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