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비평/칼럼 > 한국사회비평/칼럼
· ISBN : 9788958289135
· 쪽수 : 324쪽
· 출판일 : 2015-10-27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 신영복.따루 살미넨
들어가며
1부. 백성은 나라를 잃고, 나라는 주인을 잃고: 식민지와 분단
독립과 개화의 딜레마
tag 안중근 / 윤치호 / 러일전쟁
조선 근대화와 해방의 두 갈래 길
tag 공산주의 / 기독교
다시 8.15의 성격을 묻다
tag 광복절 / 건국절 / 분단 / 신탁통치
대한민국 보수의 기원
tag 미군정 / 한민당 / 친일경찰
왜 국가보안법은 헌법 위에 군림해왔나?
tag 정부수립 / 좌익숙청 / 국보법
2부. ‘자유세계’의 최전선: 국가 종교가 된 반공.친미
6.25한국전쟁이 남긴 것들
tag 제한전쟁 / 폭격 / 반공국가
월남자들이 만든 대한민국?
tag 신천학살 / 반공주의 / 선교기적
반공이 국시가 된 이유
tag 자유당 / 부정선거 / 김창룡
한미 관계는 외교 관계?
tag 혈맹 / 주한미군 / 전작권
왜 일본은 사과하지 않을까?
tag 과거사 / 청구권 / 한일협정
3부. 싸우면서 일하고, 일하면서 싸워라: 근대화의 그늘
부활하는 식민통치 박정희의 유신과 그 이후
tag 만주인맥 / 유신헌법 / 공안통치
교육 천국과 교육 지옥
tag 가족 / 학력간판 / 교육폭발
왜 대한민국은 ‘재벌공화국’이 되었나?
tag 대북경쟁 / 재벌형성 / 노동탄압
위대한 민주화운동, 왜 절반만 성공했는가?
tag 민주화운동 / 세계화 / 신자유주의
마치며
함께 읽기
찾아보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1909년에 일본의 사주를 받아 2대 조선통감 소네 아라스케에게 「합방청원서」를 제출한 일진회는 동학농민군에 가담했던 하층민과 중인 등 소외받던 세력 중심의 10만 명 이상의 회원을 거느린 단체였다. 이들은 조선의 독립을 포기하는 대신 일본이 열어줄 개화 세상에 희망을 걸었다.
제헌헌법은 분명히 의회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원칙에 서 있었다. 그러나 당시 의원들이 독재의 위험을 알고서도 이승만의 대통령제 주장을 받아들인 것은 공산주의의 위협이라는 비상 상황을 인정했기 때문이다. 자유민주주의 가치를 중시할 것인가, 공산주의 위협에 맞서는 것을 우선시할 것인가는 헌법 제정 과정에서도 큰 논란이 되었는데, 결국 후자를 강조하면서 반공의 이름으로 일제의 식민 지배가 남긴 각종 제도·법·인물의 청산을 포기하게 됐다.
김구의 예언대로 남북한의 코리안들은 일제의 식민지 지배에서 벗어난 지 5년 만에 동족 간의 살육 전쟁을 벌여 결과적으로 일본과 미국, 중국 등 주변 국가들만 기쁘게 만들었다. 그것은 남북한 정치가나 지도자들이 민족의 자주독립, 즉 한반도의 통합과 통일을 향한 노력을 포기하고 단독정부 수립에 매진했던 역사의 필연적인 결과다. 정치 세력 간에 이념과 노선의 차이가 있었다고 하더라도, 상대를 원수처럼 여기고 400만 명의 동포를 희생시킬 전쟁까지 벌일 이유는 결코 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