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88958627937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15-03-24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_ 우리 역사교육이 걸어온 여정을 돌아보는 까닭
1장 고대.중세의 교육제도와 역사교육 _ 김육훈
1. 머리말
2. 교학 체계의 정비와 역사교육의 형성
3. 여말 선초의 지성사적 전환과 역사교육의 변화
4. 맺음말
2장 조선 후기 역사인식의 변화와 ‘국사교육론’ _ 방지원
1. 머리말
2. 교화정책의 강화와 역사인식의 변화
3. 보편적 중화 문명 중심의 역사교육과 ‘국사교육론’의 태동
4. 맺음말
3장 근대 개혁기 ‘국민’ 형성과 역사 교과의 성립 _ 양정현
1. 머리말
2. 근대 교육의 탐색과 역사교육의 변화
3. 근대 공교육 체제의 수립과 역사 교과의 설정
4. 갑오.광무개혁기의 역사 교재와 역사인식
5. 맺음말
4장 통감부의 교육 침략과 민족사 교육 _ 허신혜
1. 머리말
2. 통감부의 통제와 역사교육의 파행
3. 통감부 시기 발행된 역사 교과서와 주요 특징
4. 새로운 한국사 체계의 모색
5. 맺음말
5장 일제의 강점과 식민지 역사교육 _ 박범희
1. 머리말
2. 보통학교의 역사교육
3. 고등보통학교의 역사교육
4. 세계사교육
5. 맺음말
6장 황국신민화 정책기의 역사교육 _ 권오현
1. 머리말
2. ‘임시역사교과용도서조사위원회’와 역사교육 개편
3. 황국신민화 정책과 역사교육의 변화
4. 민족 말살을 꾀한 독자적인 역사교과서 편찬
5. 맺음말
특집 일제강점기 학교에서 이루어진 한국사교육 _ 박범희
7장 해방과 현대 역사교육의 시작 _ 최상훈
1. 머리말
2. 사회과의 탄생과 현대 역사교육의 시작
3. 교과과정의 공포와 역사교육의 정착
4. 사회과 통합의 표방과 국사.세계사의 통합
5. 반공 이데올로기의 부각과 국사교육 강화
6. 맺음말
8장 국사교육 강화와 국가주의 역사교육 _ 김한종
1. 머리말
2. 박정희 정부의 교육정책과 역사교육
3. 국사과 독립과 국사 교과서의 국정화
4. 국가주의 역사교육의 계승
5. 맺음말
9장 민중사학의 등장과 역사교육 논쟁 _ 김한종
1. 머리말
2. 1980년대 전반의 역사교육 파동
3. 민중사학의 성립과 국사 교과서 비판
4. 교육과정의 개정과 역사교육의 변화
5. 역사교육을 둘러싼 사회 갈등과 이념 논쟁
6. 맺음말
10장 민주화.세계화와 역사교육의 변화 _ 구난희
1. 머리말
2. 인적 자본 개발에 밀려난 역사교육
3. 한.중.일 역사 갈등과 역사교육
4. 2007 개정 교육과정과 역사교육의 재구조화
5. 정쟁의 장으로 내던져진 역사교육
6. 맺음말: 다시 역사교육 본연의 모습으로
11장 뉴라이트의 등장과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 파동 _ 김정인
1. 머리말
2.《한국 근.현대사》 교과서 파동의 배경
3.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 파동의 전개 과정
4.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 파동이 남긴 문제 2
5. 맺음말 269
12장 북한 역사교육의 변천 _ 신주백
1. 머리말
2. 정부 수립, 전후 복구와 역사교육
3. 사회주의적 교육제도의 확립과 역사교육
4. 유일사상 체계로서 주체사상과 역사교육
5. 맺음말
보론_전후 일본의 역사교육운동 ― 역사교육자협의회를 중심으로 _ 구경남
1. 머리말
2. ‘역교협’ 창립, 평화와 민주주의를 지향한 역사교육 모색
3. 교육 내용의 자주적 편성과 지역에 뿌리를 둔 교육 실천, 그리고 평화교육
4. 21세기 평화와 공존의 국제적 역사교육 연대
5. 맺음말
부록_해방 이후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의 변천
본문의 주
참고문헌
집필진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