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커리큘럼
· ISBN : 9791188990313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19-04-25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1부 역사수업 연구공동체의 등장과 지향
1장 역사수업연구분과의 출범
역사수업연구분과의 시작: 소박한 출발과 꿋꿋한 전개 | 수업 연구공동체로서 분과: 인적 구성과 수평적 리더십
2장 수업 연구 주제와 연구 방법
‘좋은 역사’ 수업에 대한 호기심: 책으로 빗장 열기 | 수업 보기와 반성: 수업을 다각도로 보는 연습 | 새로운 수업 만들기: 공동의 수업 구상과 실행 연구
2부 역사수업 구상과 실행 1: 3·1 운동 수업, ‘역사가처럼 읽기’의 적용
1장 역사를 역사답게 가르치기 위한 궁리
《역사가처럼 읽기》와의 마주침 | ‘역사가처럼 읽기’의 적용
2장 3·1 운동 수업의 실행과 변주
3·1 운동 수업 시나리오 구상 | 공동의 수업 실행과 중심 질문의 수렴 | 3인 3색의 수업과 중심 질문의 변화
3부 역사수업 구상과 실행 2: 고려시대 수업, 교과서 서사의 재구성
1장 새로 엮은 고려시대 수업
새로운 도전, 교과서 서사는 완전무결한 것일까? | 천천히, 긴 호흡으로 고려시대사 공부 시작하기
2장 고려사 수업 실행과 확장
서희의 담판을 외교적 맥락에서 보다 | 공민왕 반원자주화 정책의 목적을 다시 묻다
3장 교과서 서사의 해체와 수업 구상
4부 역사수업의 두 날개: 가르침과 배움에 대한 성찰
1장 학생의 배움을 고민하는 교사의 성장
수업을 본다는 것: 수업 성찰, 어떻게 해야 할까? | 수업 성찰 사례: 수업의 주요 장면 되새기기 | 수업 성찰의 새로운 접근법: 깊이 있는 성찰 방법의 모색
2장 학생의 역사 이해를 반영하는 역사수업
역사수업에서 학생의 역사 이해를 살펴야 하는 까닭 | 학생의 역사 이해를 반영하는 역사수업, 어떻게 할까?
5부 교사연구자와 역사수업 연구의 새로운 지평
1장 역사수업 연구와 교사의 성장
역사수업 연구자로서 교사 | 역사교육 이론의 프로슈머로서 교사 | 역사과 교육과정 디자이너로서 교사
2장 수업 연구공동체의 과제와 전망
수업 연구 확산의 플랫폼으로서 연구공동체 | 수업 연구공동체의 전망: 새로운 연구공동체에 말 걸기
부록
학습지 | 역사수업 연구 관련 참고도서 | 수업 후 협의 녹취록(일부) | 역사수업 보기 프로토콜 | 역사수업연구분과가 걸어온 길
역사교육연구소, 역사수업연구분과 소개
필자 소개
저자소개
책속에서
책을 펴내며
이 책 《역사수업, 함께 궁리하고 더불어 성장하다》는 역사교육연구소 역사수업연구분과 교사들이 함께한 지난 10년의 수업 연구 여정을 담고 있습니다. 분과 모임 초기, 교사들의 고민은 ‘교사로서 우리는 왜 행복하지 않은가?’라는 공통분모를 가지고 있었던 것 같습니다. 짧지 않은 경력의 역사 교사들이 온갖 수업 실패의 경험을 드러내게 된 배경에는 역사수업에 대한 위기감, 교사로서의 정체성, 학생에 대한 책임감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책을 펴내며
지난 10년의 기록을 뒤로하고, 이제 우리는 교사 개인으로 또 교사 공동체로서 새로운 출발을 하려고 합니다. 교사와 학생 양 날개로 비상하는 역사수업을 위해, 새로 나온 연구자의 논문을 읽으며 학생들에게 줄 지적 자극을 고심하고, 학생들과 함께하는 역사 토론의 장면을 상상하며 행복한 미소를 짓습니다. 수업을 든든히 지켜줄 동료와 그들에게 기대어 함께 성장할 교사로서의 나의 전문성에 대해 기대하는 바가 무척 큽니다.
1부 역사수업 연구공동체의 등장과 지향
교사의 전문성은 연구와 실천, 그리고 피드백을 통해 길러진다. 교사의 연구와 실천은 학생의 배움을 증진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어야 의미가 있으며, 이는 수업 연구공동체 안에서 검증되고 피드백될 때 실질적 성과를 거둘 수 있다.3) 다양한 수업 논의는 수업 구상을 풍부하게 만들고, 다각적 수업 관찰은 수업을 입체적으로 만들기에 수업 연구공동체의 필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2000년대 후반부터 경기도 교육청을 필두로 여러 시·도 교육청에서 학교 현장의 필수적 모임으로 수업 연구공동체가 확산·제도화되고 있다. 교사 개인이 아니라 교사 집단의 전문성 차원에서 문제를 인식하게 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