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고구려
· ISBN : 9788958770336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07-01-24
책 소개
목차
고구려 편
고구려 시대조망
1. 기원 : 압록강 중류의 으뜸고을, 고구려
2. 건국과 성장 : 우리는 하나 된 고구려인
3. 중앙집권체제의 확립 : 결집된 왕권 넓어지는 세력권
4. 팽창 : 고구려, 동아시아 4강의 중심축
5. 귀족연합정권의 등장 : 태왕의 시대에서 귀족들의 시대로
6. 고·수 전쟁 : 수, 고구려 공격하다 멸망하다
7. 고·당 전쟁과 멸망 : 나당연합군에 맞선 최후의 항전
고구려 집중탐구
1. 동북공정 논란 : 고구려사 강탈 속셈은 동북아 미래의 패권
2. 전쟁 능력 : 동북아 최강 군대 막강 무기 변천사
3. 안악 3호분 논란 : 고구려 왕릉인가 망명객의 무덤인가
4. 유주논쟁 : 고구려는 중국 유주를 점령했는가
5. 고구려의 성 : 천 년이 가도 깨지지 않는 난공불락 요새
고구려 생활문화
1. 천하관 : 고구려엔 고구려의 하늘이 있다
2. 의·식 생활 : 화려한 옷차림, 다양한 먹을거리
3. 놀이 문화 : 이미 그때 서커스의 모든 것이 이루어졌다
4. 건축 문화 : 구석구석 스며 있는 호쾌한 기상
5. 고분 벽화 : 고구려 혼 가득한 고분 벽화의 세계
6. 조각 공예 : 작품마다 새겨진 고구려의 힘
7. 신앙과 종교 : 천신과 부처, 갈라진 사회를 이어준 접합제
8. 학문과 교육 : 광대한 제국을 지탱한 인재들의 요람
고구려 인물탐구
1. 시조 주몽 : 주몽, 동방의 위대한 빛이 되다
2. 태조왕 : 한나라의 간담을 서늘하게 한 정복왕
3. 을파소 : 백성이 편해야 나라도 살고 국왕이 산다
4. 고국원왕 : 남북 협공에 시달리다 간 비운의 왕
5. 광개토대왕 : 광대한 영토 개척한 정복 군주
6. 장수왕 : 장수왕, 고구려를 장수케 하다
7. 평강공주 : 평강공주, 당찬 고구려 여인
8. 연개소문 : 민족의 영웅인가 탐욕스런 독재자인가
9. 고선지 : 동서양에 이름을 떨친 고구려인
10. 이정기 : 고구려의 후예, 당 안에 독립국 세우다
백제 편
백제 시대조망
1. 기원과 발전 : 만주 벌판 달려온 온조, 한강에 터 잡다
2. 한강 유역 상실 : 한성 백제, 고구려의 힘에 밀리다
3. 웅진시대 : 혼란을 극복하고 중흥의 기틀 마련하다
4. 사비시대 : 다시 찾아온 백제의 전성시대
5. 대외 관계 : 중원을 잡아라, 불꽃 튀는 외교전
6. 멸망 : 지배 세력의 균열, 700년 왕국의 침몰
백제 집중탐구
1. 백제 첫 도읍지 미스터리 : 추적, 하남위례성은 어디인가
2. 요서 영유설 : 백제는 요서를 지배했는가
3. 익산 천도설 : 미륵 불국토 건설의 꿈은 이루어졌는가
4. 백제인들의 일본 이주 : 나라는 잃었어도 백제 문화는 영원하리
5. 한강 유역 쟁탈전 : 한강 차지하는 자 한반도의 주인
백제 생활문화
1. 도성 생활 : 백제의 도성들, 강가에 살어리랐다
2. 신분제도 : 백제 사람들은 이렇게 살았다
3. 놀이 문화 : 흥겨움에 취해 신명나게 놀다
4. 미술 문화 : 아름답고 친근한 백제의 미소
5. 고분 문화: 시대 따라 달라진 독특한 무덤의 세계
6. 신앙과 종교 : 모든 것을 포용한 백제인들의 신앙 세계
7. 해양 활동 : 동아시아 문화 교류의 중심지, 백제
8. 학문과 교육 : 한자와 함께 생활 속에 파고든 유교
백제 인물탐구
1. 근초고왕 : 백제 전성기 이룬 카리스마 국왕
2. 무령왕 : 다시 동북아의 강자로 떠오르다
3. 성왕 : 부여 맥 이은 강대국 꿈꾸다
4. 의자왕 : 700년 왕조의 마지막 불꽃
5. 왕인과 아직기 : 야마토 문화를 일으킨 백제의 박사들
6. 흑치상지 : 나라 잃은 설움 서역 정벌로 달래다
리뷰
책속에서
고구려는 기원을 전후 한 시기로부터 약 700년 동안 만주와 한반도 북부를 지배한 동아시아의 강대국이었다. 기마 유목민을 조상으로 둔 고구려인들은 강건한 기상과 진취적인 품성을 바탕으로 고유의 문화를 일구어냈다. 또한 주변 강대국들과 어깨를 나라히 하는 자주적인 외교를 펼쳐나갔다.
고구려 이후의 동아시아 역사가 중화를 세계 질서의 중심으로 삼는 사대와 조공의 국제 정치로 접어든 것과 비교하면, 독자적인 세계관을 가지고 독창성 있는 문화를 꽃피운 고구려의 자주성과 진취성은 우리 역사의 소중한 자산임에 틀림없다. - 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