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집은 그리움이다

집은 그리움이다

(인문학자와 한옥 건축가의 살고 싶은 집 이야기)

최효찬, 김장권 (지은이)
인물과사상사
1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100원 -10% 0원
950원
16,1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3,300원 -10% 660원 11,310원 >

책 이미지

집은 그리움이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집은 그리움이다 (인문학자와 한옥 건축가의 살고 싶은 집 이야기)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59065110
· 쪽수 : 396쪽
· 출판일 : 2018-12-21

책 소개

집에는 그 집만의 고유한 이야기가 있다. 각기 다른 얼굴을 하고 있는 집이라면 주인의 취향과 그 집을 지으면서 고심한 흔적들이 드러나게 마련이다.

목차

프롤로그 - 6

제1장 집에 대한 그리움

집은 어떤 곳인가? - 17
영원한 집은 어디에 있는가? - 22
오두막집에서 행복 찾기 - 28
작은 집을 짓다 - 34
영혼이 따뜻해지는 집 - 39
외가에 대하여 - 45
고택, 그 오래된 미래 - 51
나바렝스에 살고 싶다 - 56

제2장 집을 위한 인문학
그리움이 완성되어 집이 되면 - 65
이황, 이상향을 짓다 - 71
철학으로 짓는 집 - 78
산수간에 집을 짓고 - 85
두보의 집은 어디인가? - 90
르코르뷔지에의 작은 집 - 96
생텍쥐페리의 유년의 집 - 101
몽테뉴의 서재가 있는 집 - 107
데카르트의 철학을 잉태한 집 - 114

제3장 나의 집 순례기
나는 33번을 이사했다 - 123
기억 속의 영원한 고향집 - 129
3남매가 살았던 자취방의 기억들 - 138
무작정 상경과 얹혀살기 - 143
지상에서 가장 큰 방 - 148
전셋집과 하숙집에 대한 추억 - 155
전세로 신혼 생활을 시작하다 - 163
내 집을 마련하다 - 169
다시 전세살이를 하다 - 175
단독주택에 살다 - 179
빌라와 아파트에 살다 - 186
다시 내 집을 마련하다 - 191
다시 아파트에 살다 - 197
정주의 꿈을 꾸다 - 201

제4장 집을 짓다
토지를 매입하다 - 216
자금을 마련하다 - 219
집을 설계하다 - 222
땅을 측량하다 - 252
설계도를 심의받다 - 256
시공을 맡기다 - 260
착공을 하다 - 263
당호를 짓다 - 268
상량식을 하다 - 273
기와를 얹다 - 277
창문을 달다 - 281
보일러를 놓다 - 284
도배와 장판을 하다 - 287
현판식을 하다 - 290
책을 버리다 - 293
대문을 놓다 - 296
담장을 두르다 - 301
준공검사를 받다 - 305
건축물대장을 받다 - 308

제5장 내가 만든 한옥 이야기
관훈재 : 보전과 발전을 동시에 품다 - 318
#200 : 들어가고 싶은 집, 살고 싶은 집 - 330
일우재 : 하루도 넉넉하고 햇살도 넉넉한 집 - 342
일연재와 교월당 : 자연을 닮은 집, 달빛이 밝은 집 - 354
건명원 : 사람이 나무를 키우고 나무가 사람을 키우는 집 - 366
채효당 : 세상에서 가장 큰 집 - 378

에필로그 - 390
참고문헌 - 394

저자소개

최효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합천에서 태어나 진주동명고등학교와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거쳐 동 대학원에서 비교문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신문기자로 인생 1막(16년)을 보내고 마흔두 살부터 자녀교육, 인문학, 비교문학 분야의 글을 쓰며 인생 2막(16년)을 살았다. 주요 저서로 첫 책인 『테러리즘과 미디어』를 비롯해 『5백년 명문가의 자녀교육』, 『세계 명문가의 독서교육』(2010년 문화체육관광부 우수도서), 『일상의 공간과 미디어』(2008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도서), 『서울대 권장도서로 인문고전 100선 읽기』, 『보드리야르 읽기』(2020년 한국연구재단 우수연구성과 50선) 등이 있다. 2015년 『한국수필』 12월호 신인상으로 등단하였고, 2022년 『한국수필』에 ‘특별기획 집’을 연재하며 인생 3막을 시작하였다. 2024년 아르코 문학창작기금을 받았으며, 한국수필가협회, 한국문인협회, 국제PEN 한국본부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김장권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학에서 경영학을 전공하고, 고려대학교 건축학과에서 석사과정을 수료했다. 그 후 건축과 관계되지 않는 사업은 하지 않기로 결심하고 본격적으로 한옥을 짓기 시작한 지 20년이 넘었다. 북촌HRC 대표로 한옥 리모델링, 신축 설계, 시공회사를 운영하고 있으며, 서울시 은평한옥마을 건축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지금까지 200여 채의 한옥을 건축했으며, 한옥 건축가들이 사찰 위주로 짓는 데 반해 대부분 가정집을 리모델링하거나 신축해왔다. 2008년 제1회 한국 내셔널트러스트 한옥전에 ‘현우재(玄遇齋)’가 선정되었고, 2009년 유네스코 아시아 태평양 문화유산 보존상 디자인·시공 부문(UNESCO ASIA-PACIFIC HERITAGE AWARD Designers, General Contractors)에서 우수상을 수상했다. 2011년 대한민국 한옥 공모전 준공 부문 올해의 한옥 대상에 ‘가회동 L주택’, 2012년 대한민국 한옥 공모전 건축 부문 올해의 한옥상에 ‘관훈재’, 2013년 대한민국 한옥 공모전 건축 부문 올해의 한옥상에 ‘#200’이 선정되어 3년 연속 한옥상을 수상했다. 2015년 대한민국 목조건축대전 준공 부문 본상에 ‘일연재와 교월당’, 2018년 대한민국 목조건축대전 준공 부문 본상에 ‘채효당’이 선정되었다. 그 외 주요 작품으로 일우재·만경재·안헌(이상 주택), 건명원(교육기관), 알서림(화랑), e-믿음치과(현대 한옥 치과 1호), 와노和の(일식집), 샤떼뉴(레스토랑), 소담·융(이상 카페), GS홈쇼핑 복합문화센터 등을 건축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헤세에게 방랑은 그의 삶이 되었고 문학이 되었다. 그는 방랑의 정신을 문학에 투영했다. 그는 『방랑』에 소개한 「찬란한 세계」라는 시에서 “완만하게 굽어진 달빛 속의 하얀 길……나는 영원히 그곳을 나의 집으로 삼으리라”고 다짐한다. 그러고 보면 집을 떠나는 것도 인간에게는 근원적인 행위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헤세는 집에서도 본질을 추구하는 삶을 살았지만, 집을 떠남으로써 경계를 허물며 더 본질적인 문학으로 들어갈 수 있었다. 그렇다면 ‘인간에게 과연 집은 무엇일까?’


“아버지가 경성과 같은 타관에 가서 몇 날이고 몇 달이고 돌아오지 않는 밤이면 예닐곱 살 백석은 여우난골이라는 깊은 산골의 짐승 소리와 바람 소리에 놀라 어머니가 깔아놓은 이불 속으로 자지러들곤 했다.” 시인 백석의 평전을 쓴 안도현 시인은 백석의 어린 시절 풍경을 이렇게 묘사한다. 누구나 한 번쯤 이런 경험을 해보았을 것이다. 천둥이 치고 폭풍우가 내리는 여름날 밤이나 눈보라가 매섭게 치는 겨울밤 혼자 방 안에 있다면 말이다. 우리는 아파트 주거 문화에 길들여지면서 인디언 소년처럼 따뜻한 영혼을 죄다 잃어가고 있는 것은 아닐까? 할아버지와 할머니와 함께 살면서 따뜻한 영혼을 키울 수 있었던 인디언 소년은 이 지상 어디에서 만날 수 있을까?


황상은 어린 제자였지만 스승과 은자의 삶에 이심전심으로 통했던 것이다. 황상은 스승의 염원을 담아 “구름과 안개 노을이 포근히 덮어 가려주고, 가는 대나무숲과 향기 짙은 꽃들이 푸름과 향기를 실어주는 곳”에 은자의 거처를 마련하고 스승의 가르침을 실천에 옮겨 시골 소년에서 훌륭한 시인으로 성장했다. 그는 죽을 때까지 일속산방에 살며 부패한 사회를 고발하는 풍자의 다산 시풍을 계승하고, 『치원유고(梔園遺稿)』라는 문집을 남겼다. 이 얼마나 아름다운 인연이며 삶이런가.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