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59066230
· 쪽수 : 292쪽
· 출판일 : 2021-12-13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 6
제1장 사람을 담다 : 도시의 공간
우리는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 : 서울역
일상에서 여행으로 · 17
풍경 속으로 빠져들다 · 21
근대의 흥망성쇠를 지켜보다 · 26
법 앞에 만인은 평등하다 : 헌법재판소
민원, 천재지변보다 무서운 재난 · 30
목소리 큰 자가 이익을 보는 세상 · 34
상식과 원칙이 지켜지는 사회 · 39
사람이 모이고 사람을 담다 : 광화문광장
하고픈 말을 품고 광장으로 나가다 · 44
자율성만으로 채워지는 사람들의 마당 · 48
무엇이 광장을 만드는가? · 52
싸우고 절충하고 타협하다 : 국회의사당
필리버스터로 진실을 알리다 · 57
민의를 대변하고 권위를 세우다 · 61
민주주의는 시끄럽고 비효율적인 것이다 · 66
자본주의의 첨병에 서다 : 캠퍼스
지성의 열매를 구하는 들판 · 71
낭만이 사라진 캠퍼스 · 75
연대감과 자부심의 공간 · 80
제2장 시간을 담다 : 기억의 공간
전쟁의 기억을 간직하다 : 철원 노동당사
덕후와 서태지 · 87
모든 것은 모든 것에 맞닿아 있다 · 91
갈라진 세계와 끊어진 기억을 잇는 시간의 터널 · 95
역사의 비극을 기억하다 : 덕수궁 정관헌
참혹한 역사의 기억 · 100
몰락해가는 조선의 자존심을 지키다 · 104
정동에 남겨진 시간들 · 107
탐욕 위에 희망을 세우다 : 히로시마 평화기념공원
우리의 미래는 어디인가? · 113
나는 네가 상상도 못할 것을 보았다 · 117
반복하지 말아야 할 역사 · 121
과거와 현재의 시간을 만나다 : 산 카탈도 공동묘지
기억의 일곱 가지 죄악 · 125
기억과 시간 속에서 길을 잃다 · 129
기억은 재구성된다 · 133
원초적인 공간과 만나다 : 발스 온천
아직도 오지 않는 ‘고도’를 기다리며 · 138
좌절하고 포기할 것이 아니라 반항하라 · 142
실존적인 나와 만나는 어떤 순간 · 147
제3장 일상을 담다 : 놀이의 공간
지식의 교류와 교감이 이루어지다 : 서점
여름은 독서의 계절 · 155
책방을 추억하다 · 159
동네 서점이 돌아왔다 · 163
그곳에 사람이 살고 있었다 : 골목
공장에서 들려오는 자본주의의 찬가 · 168
낡은 것, 더러운 것, 낙후된 것 · 172
인간에 대한 존경과 시간에 대한 경외 · 176
자유와 저항을 노래하다 : 클럽
홍대 앞 지하실, 공연장이 되다 · 182
젊음과 저항의 상징 · 186
들판으로 나간 록의 창조자와 소비자들 · 190
예술과 문화가 넘치다 : 홍대 앞과 낙원상가
우리를 사로잡는 것들 · 195
매혹의 장소들 · 199
동네의 몰락과 낙원의 매혹 · 203
사람에 대한 배려 : 서울로 7017
도시의 성장 과정 · 209
산업화 시대 이후에 남겨진 도시의 유산들 · 212
도시의 속도, 사람의 속도 · 217
제4장 자연을 담다 : 휴식의 공간
오아시스를 만나다 : 아미티스 가든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일은 과로를 피하는 것 · 225
위로와 휴식이 필요한 시대 · 229
정원에서 휴식하며 뒤를 돌아보다 · 233
자연이 땅을 치유하다 : 선유도공원
살려야 할 대상이 무엇인지 알 수 없는 재생 · 238
부수고 새로 짓자 · 242
오랜 시간 쌓여온 도시의 정체성 · 246
자연을 존경하다 : 무린암과 줘정원
자연이 자연스럽게 스며들다 · 251
이웃이 없는 집 · 256
이야기를 풍경으로 만들다 · 261
자연을 품다 : 데시마 미술관
자연으로 들어가는 건축 · 265
자연에 대한 예찬 · 269
땅속에서 만난 건축 · 273
자연을 향해 창을 열다 : 고안
차를 사랑한 추사와 초의선사 · 278
절대 자유의 경지로 드는 일 · 282
유리로 만들어진 ‘빛의 암자’ · 287
참고문헌 · 291
리뷰
책속에서
서울역은 원래 경성역이라 불렸으며 1925년 준공되었다. 1900년 개통된 약 33제곱미터 규모의 남대문정거장이 전신이며, 베이징이나 모스크바까지도 철도를 연결해 지배와 수탈의 거점으로 삼으려는 일제의 야심에 의해 건립된 역이다. 조선총독부 철도국 공무과 건축계의 주도하에 도쿄역을 설계한 다쓰노 긴고(辰野金吾)의 제자로 도쿄대학 교수인 쓰카모토 야스시(塚本靖)가 설계를 담당했다고 전해진다. 지하 1층, 지상 2층, 연면적 6,836제곱미터의 규모로, 1층은 대합실, 2층은 귀빈실과 식당(그릴), 지하는 역무실로 사용되었다. 서울역의 비잔틴풍의 돔과 르네상스적인 외관은 과거의 좋아 보이는 양식을 취사선택해서 조합하는, 당시 유럽과 일본에서 유행하던 절충주의 건축의 파편으로 보인다. 「우리는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 : 서울역」
온 국민의 눈길이 집중되었던 헌법재판소 건물은 지하 1층, 지상 5층, 1만 9,221제곱미터 규모다. 극적인 대칭과 비례를 맞춘 위압적인 형태, 끝없이 오르는 계단으로 주눅 들게 하는 대법원 청사나 여타 다른 ‘법의 공간’에 비해 권위적인 인상은 덜한 편이다. 사회적으로나 정치적으로 의미가 있는 건물이다 보니 지어진 해(1993년)에 한국건축문화대상 대상을 수상하기도 했다.……당시 설계자인 김희수 건축가는 기존에 지어진 권위적인 형태의 법원 건물들이 주는 딱딱한 이미지 대신 쾌적한 시민공원의 느낌을 주고자 했다고 말했다. 「법 앞에 만인은 평등하다 : 헌법재판소」
2002년에 근대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고, 낡고 위태로운 구조물의 보존을 위해 지금은 출입을 통제해서 외관만 볼 수 있다. 그러나 그 당시는 그런 제한이 없었고 그곳을 찾는 사람이 거의 없어 그곳에 오래 머물면서 여기저기를 보며 여러 가지 생각을 할 수 있었다. 내부가 다 허물어지고 껍데기만 위풍당당하게 남아 있는 노동당사 건물은 나무에 매달려 있는 매미껍데기같이 공허했다. 폐사지도 많이 가보았지만 여기만큼 쓸쓸하지는 않다. 그 무렵 서태지와 아이들이 3집을 발표하며 <발해를 꿈꾸며>라는 타이틀곡의 뮤직비디오를 이곳 노동당사에서 찍었다. 「전쟁의 기억을 간직하다 : 철원 노동당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