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59067220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23-10-20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 7
제1부 한국의 옛집
제1장 이야기를 담다
산과 하늘처럼 변하지 않는 집 : 산천재
마음으로 도를 깨닫다 ․ 19 제일 큰 집이자 좋은 집 ․ 23 세상의 바람에 휩쓸리지 않다 ․ 27
세상의 중심이 되는 집 : 선교장
위계가 없고 기능도 없다 ․ 31 모든 땅이 명당이다 ․ 34 진정한 의미의 대가족을 이루다 ․ 39
서로를 배려하는 집 : 김명관 고택
호남의 풍족한 들판을 닮다 ․ 43 다양한 공간의 조화로운 구성 ․ 46 시어머니 영역과 며느리 영역의 균형감 ․ 52
권력의 상징이 된 집 : 운현궁
야심가이자 영리한 정치가 ․ 56 몰락해간 조선의 두 주인공 ․ 60 집이지만 집이 아닌 곳 ․ 63
제2장 생각을 이어가다
스승과 제자의 집 : 임리정과 팔괘정
꽃이 피고 지듯 사람도 피고 지다 ․ 69 시대를 설계하고 시공하다 ․ 72 예학자의 삶을 담다 ․ 76
존중하며 공부하는 집 : 소수서원
학교와 군대와 감옥은 같다 ․ 81 성리학을 잇고 후학을 양성하다 ․ 84 서로에 대한 존경과 애정 ․ 88
반듯하고 삼가는 집 : 병산서원과 도산서원
선비처럼 반듯하고 엄격하다 ․ 93 몸과 마음을 삼가다 ․ 97 인간으로서 완성되어가는 과정 ․ 101
유쾌하고 인간적인 집 : 도동서원
철학자가 나라를 다스리는 이상적인 국가 ․ 104 성리학적인 이상세계를 꿈꾸다 ․ 108 아주 정연한 좌우 대칭의 공간 ․ 111
제3장 조화를 이루다
물 위에 앉은 집 : 남간정사
고집스럽고 타협을 모르는 정치가 ․ 117 만화경 같은 세상의 풍경 ․ 121 자연과 집의 조화 ․ 125
그림자가 쉬는 집 : 소쇄원과 식영정
아름다운 풍경과 문학적 향기를 담다 ․ 129 시작과 끝의 존재적 순환 ․ 132 한 발 물러서 있어 밖으로 드러나지 않다 ․ 136
감각을 뛰어넘는 집 : 종묘
움직이는 것도, 정지해 있는 것도 아닌 ․ 141 처음으로 느껴보는 감각 ․ 145 모든 소리와 생각을 압도하다 ․ 148
왕이 사는 집 : 경복궁
국가의 상징인 궁궐 ․ 153 단정하고 품위 있는 집 ․ 156 마당에 나무를 심지 않는 이유 ․ 160
제2부 한국의 사찰
제1장 처음으로 돌아가다
그물같이 긴밀하게 상생하다 : 화엄사
서로 어울리는 경지 ․ 167 수많은 절을 품은 지리산 ․ 171 모든 것의 경계가 사라지다 ․ 175
없음으로 가득한 존재 : 통도사
보이지 않지만 존재하는 것 ․ 179 모든 형상은 모양이 없다 ․ 184 석가모니도 없고 미륵불도 없다 ․ 186
티끌에도 세계가 있다 : 해인사
모든 것이 곧 하나다 ․ 191 스님들의 기상이 넘치는 예불 ․ 194 화엄의 정신이 깃들다 ․ 197
부처의 세상을 함께 만들다 : 부석사
가장 오래된 목조 건축물 ․ 202 천상의 소리처럼 황홀하다 ․ 206 성과 속이 함께 있다 ․ 209
제2장 미래를 보다
존재하는 것은 순환한다 : 내소사
시작이 끝이 되다 ․ 215 모든 차원이 서로 물려 있다 ․ 219 맞물리는 공간의 구조 ․ 221
살아 있는 이야기를 들려주다 : 선운사
4월의 동백꽃을 보러 갔다 ․ 226 금강석처럼 견고하고 자유롭다 ․ 229 중생의 자리에서 부처의 자리로 ․ 233
모든 것을 품어주다 : 실상사
어머니 같은 깊은 산 ․ 238 천왕봉은 쉽게 만날 수 없다 ․ 242 누구나 부처가 될 수 있다 ․ 245
창조의 영감을 얻다 : 무위사
바람과 같고 그림자와 같다 ․ 250 진리의 전당에 들어서다 ․ 253 여행을 통해 배우는 건축 ․ 257
제3장 경계를 넘나들다
그곳에 깨달음이 있다 : 기원정사와 황룡사지
비틀스와 동양의 정신 ․ 263 깨달음이 찾아오는 순간 ․ 268 비어 있음으로 가득 차다 ․ 271
사라진 것을 기억하다 : 진전사지와 대동사지
폐허가 들려주는 이야기 ․ 275 크게 비어 있다 ․ 279 천년을 비추는 빛 ․ 282
인간이 짓고 시간이 완성하다 : 거돈사지와 흥법사지와 법천사지
아름다운 시간의 흔적 ․ 286 도시의 풍경을 구경하는 여행 ․ 290 시간의 성찬을 즐기다 ․ 293
영원한 현재를 살다 : 미륵사지와 굴산사지
시간은 흘러간다 ․ 297 시간을 지워버리다 ․ 301 과거를 더듬는 시간의 문 ․ 304
주 ․ 308
리뷰
책속에서
이런 이색적인 정면의 모습은 이 집이 다른 집과 다른 무엇인가 있다는 것을 슬그머니 암시해주는 것 같다. 그런 느낌은 안에 들어가면 더욱 강해지는데, 물건을 나란히 늘어놓듯이 집들이 가로로 길게 들어서 있다. 보통의 집들은 남자의 공간인 사랑채를 한구석에 두고 집안을 관장하는 안채가 가운데 앉아 있다. 그리고 나머지 기능들은 그 주변으로 빙 돌아가며 배치되는데, 이 집은 그런 일반적인 규범에서 크게 벗어나 있다. 어떻게 보면 위계가 없고 정확한 기능도 없어 보인다. 사랑채만 해도 열화당을 비롯해서 여러 곳이 있고, 안채의 기능도 여기저기 흩어져 있다. 그러다 보니 집 안에 들어가서 느껴지는 공간감이 무척 다양하다. 「세상의 중심이 되는 집 : 선교장」
운현궁은 사실 집은 집인데 집이 아니다. 언뜻 보면 일반인이 사는 집의 모습을 갖추고 있지만, 그 내용을 보면 왕이 사는 궁의 형식이 알알이 박혀 있다. 대표적인 것이 방이 방을 둘러싸고, 그 밖으로 마루가 둘러쳐져 있는 구조다. 경호와 안전, 보이지 않는 서비스 동선이 집에 숨겨져 있는 구성이다. 이런 방식은 궁궐의 내전(內殿)이나 침전(寢殿)에서 주로 볼 수 있는데, 운현궁의 건물들은 모두 그런 여러 겹의 공간 구성을 갖추고 있다. 또 하나는 세 채로 이루어진 본채를 건물 뒤편에서 살펴볼 수 있도록, 동쪽으로 얇고 길게 끊어지지 않고 연결된 긴 복도가 하나로 묶고 있다는 것이다. 「권력의 상징이 된 집 : 운현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