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디지털 폭식 사회 : 기술은 어떻게 우리 사회를 잠식하는가?

디지털 폭식 사회 : 기술은 어떻게 우리 사회를 잠식하는가?

(2022 우수출판콘텐츠 선정작, 2023년도 한국과학기술출판협회 선정 우수과학도서)

이광석 (지은이)
인물과사상사
1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300원 -10% 0원
850원
14,4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2,000원 -10% 600원 10,200원 >

책 이미지

디지털 폭식 사회 : 기술은 어떻게 우리 사회를 잠식하는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디지털 폭식 사회 : 기술은 어떻게 우리 사회를 잠식하는가? (2022 우수출판콘텐츠 선정작, 2023년도 한국과학기술출판협회 선정 우수과학도서)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비평/칼럼 > 한국사회비평/칼럼
· ISBN : 9788959066520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22-11-18

책 소개

우리 삶을 파고드는 기술만능주의와 그 기술 효과가 미치는 독성과 폭력을 비판한다. 또한 우리 사회의 경제성장과 삶의 편리를 위해 디지털 기술이 만능 해결사가 된 상황을 비판한다.

목차

프롤로그 : 별점, 평점, 주목 사회
피지털 효과 ․ 4 피지털, 플랫폼의 새로운 권력장 ․ 6 디지털 기술의 독성 ․ 9 디지털 기술 폭식 현상의 가속화 ․ 11 디지털 기술은 만능 해결사인가? ․ 14

제1장 메타버스 플랫폼 질서의 탄생

현실을 무너뜨리는 메타버스와 아바타
사이버공간 독립선언문 ․ 25 사이버공간과 메타버스 ․ 27 메타버스 비즈니스의 탄생 ․ 29 메타버스의 자산 증식 욕망 ․ 32 게임과 오락을 넘어 ․ 34
크립토아트와 NFT 창작 노동의 비애
『훈민정음 해례본』이 NFT로 거래된다면 ․ 37 디지털 아우라 ․ 40 디지털 자유 문화의 위기 ․ 42 무기력한 데이터 창작 노동 ․ 44 인류의 창발력을 거세하다 ․ 46
인공지능에 혐오와 편향이 스며들었다
이루다의 오염된 말뭉치 ․ 48 이루다는 ‘어린아이’ 같은 지능체였는가? ․ 51 이루다를 둘러싼 혐오 논쟁 ․ 54 인공지능 윤리 가이드라인과 법적 규제책 ․ 57 인공지능 기술의 오남용을 막기 위해 ․ 59
클럽하우스 열풍은 무엇을 남겼는가?
음성 기반형 소셜미디어 ․ 61 클럽하우스 사용법 ․ 63 인플루언서 경제 ․ 65 폐쇄적이고 위계적인 소셜미디어 ․ 68 클럽하우스의 모순과 한계 ․ 71

제2장 인공지능 자동화와 노동의 미래

노동의 소멸과 ‘하류 노동’의 무한 증식
질 나쁜 ‘위태로운’ 노동 ․ 75 플랫폼 공장의 탄생 ․ 77 플랫폼 기술 예속형 노동자들 ․ 79 노동자의 심신을 피폐화하는 하류 노동 ․ 82 플랫폼 노동의 미래 ․ 84
알고리즘의 무자비성과 노동 인권의 실종
플랫폼 앱에 매달린 노동자 ․ 87 판교 노동문화의 민낯 ․ 89 인공지능의 ‘알고리즘 경영’ ․ 92 노동자를 위협하는 알고리즘 ․ 96
택배상자 손잡이 구멍과 약자의 기술정치학
비대면 자동화 사회 ․ 98 택배상자의 착한 손잡이 ․ 100 인공지능의 편향과 왜곡 ․ 102 ‘사람 중심’ 인공지능의 한계 ․ 104 약자와 타자를 위한 인공지능의 인권 원칙 ․ 107
모터에 실려올 미래와 정의로운 전환
‘레거시’ 내연기관 자동차 ․ 109 비정규직 무노조 하도급 노동 ․ 112 테슬라와 ‘위장 환경주의’ ․ 114 전기차의 ‘정의로운 전환’을 위해 ․ 116

제3장 성장 강박과 지속가능한 기술 환경

플랫폼 공룡, 카카오의 그림자
일상이 멈추었다 ․ 121 플랫폼에 대한 정부의 모호한 태도 ․ 124 플랫폼 독점에 길들여지다 ․ 127 카카오 먹통 사태가 깨우쳐주는 것 ․ 128
성장 중독에 급조된 ‘한국형 뉴딜’의 유물
‘한국형 뉴딜’의 탄생 ․ 131 ‘그린 뉴딜’이라는 신기루 ․ 134 ‘디지털 뉴딜’의 딜레마들 ․ 138 ‘데이터 댐’의 부실 ․ 142 ‘디지털 플랫폼 정부’를 뜯어고쳐라 ․ 144
스마트 시티와 시민의 데이터 인권 침해
도시의 기술 욕망 ․ 147 중앙 통제형 도시 관리 시스템 ․ 149 구글의 밴쿠버 스마트 시티 계획 ․ 151 완벽하게 통제되는 ‘유토피아 도시’는 가능한가? ․ 154
도시 경관과 생태주의적 균형 찾기
인공으로 덧칠한 ‘불빛정원’ ․ 157 스펙터클한 도시 경관 ․ 159 기술 과잉의 도시 디자인 ․ 161 기술과 생태 사이에서 ․ 163

제4장 코로나19 팬데믹과 생태 위기

코로나19로 드러난 자본주의의 민낯들
자본주의적 생태 파괴와 균열의 대가 ․ 169 멈추니 드러나고 보이는 것들 ․ 172 ‘코로나19 난민’의 탄생 ․ 175 자본주의의 광란을 멈춰라 ․ 178
코로나19 난민과 사회적 백신
‘위드 코로나’라는 상시 방역 체계 ․ 181 방역 조급증과 사회안전망의 부재 ․ 183 비대면 기술의 진화 방식 ․ 186 인간의 ‘기술에 대한 욕망’ ․ 189
포스트 코로나19 시대 공통 감각의 재구축
안전 사회, 방역 사회, 비대면 사회 ․ 192 기술 논리가 낳은 사회 병리 ․ 194 ‘공통 감각’에 대하여 ․ 196 ‘생태 감각’을 배양하는 법 ․ 198 ‘연대 감각’과 ‘기술 감각’ ․ 200

제5장 기술 폭식 사회와 기술민주주의

기술을 향한 맹목적 욕망에 저항하라
기술 폭식 욕망에 압도된 사회 ․ 205 KT의 인터넷 통신망 마비 ․ 207 인공지능 식별 추적 시스템 ․ 209 표류하는 데이터 인권 ․ 211 ‘기술 리얼리즘’의 단초들 ․ 212
‘조회수 알고리즘’ 사회와 공론장의 위기
온라인 공론장의 퇴락 ․ 215 물리적 사회관계에서 소셜미디어 관계로 ․ 217 조회수와 주목 경제 ․ 219 정치적 부족주의 ․ 221 가짜뉴스와 알고리즘 정치 ․ 223
시민 자율과 자치에 기댄 기술민주주의
‘초기술 사회’를 향해 ․ 227 시민 주도 정책 사업의 성과 ․ 229 데이터 민주주의와 시빅 해킹 ․ 232 개인 리터러시와 기술 역량을 넘어 ․ 235
성장의 욕망에서 공생의 기술로
첨단기술에 녹아 있는 욕망 ․ 237 소셜미디어 플랫폼의 알고리즘 논리 ․ 239 IT 기술의 반환경 ‘독성’ 효과 ․ 241 ‘디지털 탄소 다이어트’ 캠페인 ․ 243 공생과 호혜의 생태주의적 기술 ․ 245

에필로그 : 성찰 없는 기술주의
숭배와 탐욕 ․ 247 신생 청정 기술의 독성 ․ 249 생태 기술과 공생 기술 ․ 251 생태 패러다임으로 전환하기 ․ 253

주 ․ 255
찾아보기 ․ 258

저자소개

이광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테크놀로지, 사회, 생태가 상호 교차하는 접점에 비판적 관심을 갖고 연구, 비평 및 저술 활동을 해 오고 있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대학원 디지털문화정책 전공 교수이며, 비판적 문화이론 저널 《문화과학》의 편집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기술문화 연구, 커먼즈, 플랫폼, 기술 생태정치학, 자동화 사회 등에 걸쳐 있다. 《디지털 폭식 사회》, 《피지털 커먼즈》, 《포스트디지털》, 《디지털의 배신》, 《데이터 사회 미학》, 《데이터 사회 비판》, 《뉴아트행동주의》, 《사이방가르드》, 《디지털 야만》, 《옥상의 미학 노트》, IT development in Korea: A Broadband Nirvana?를 썼다. 직접 기획하고 엮은 책으로 《불순한 테크놀로지》, 《현대 기술·미디어 철학의 갈래들》,《사물에 수작 부리기》 등이 있고, 그 외 다수의 국내외 학술 논문이 있다.
펼치기
이광석의 다른 책 >

책속에서

사이버공간과 메타버스의 운영 주체도 다르다. 메타버스를 주도하는 이들은 주로 빅테크와 문화산업이다. 역사적으로 이들은 개방된 사이버공간을 무단 점유해 사유화했던, 이른바 ‘인클로저(enclosure)’의 장본인이자 후예다. 13세기 유럽에서 가진 것 없던 영국 농민들이 나눠 경작하던 농경지(공유지)를 그 땅의 재산권 소유자인 지주들이 대규모 목축업을 위해 몰수했던 역사적 사건을 우리는 보통 ‘인클로저’라고 칭한다. 메타버스는 닷컴기업이 또다시 창작과 문화의 공유 공간을 사적인 이윤의 전쟁터로 만들려는 또 다른 ‘인클로저’ 현실로 볼 수 있다. 빅테크와 문화산업은 메타버스를 가상의 증강된 현실 속에서 오락·쇼핑·사회·경제 활동을 밀접하게 연결하고 묶는 또 하나의 생활공간으로 구상하고 있다. 「현실을 무너뜨리는 메타버스와 아바타」


혁신의 메카라는 경기도 판교 일대의 노동문화를 보자. 2021년 5월 네이버 노동자가 업무 스트레스에 시달리다 극단의 선택을 했다. 카카오와 네이버 모두 초과 근무 등 근로기준법 위반 사례가 무더기 적발되었다. 넥슨은 프로젝트가 사라진 직원들에게 차별적인 월급 삭감과 대기 발령을 해서 노조의 큰 반발을 샀다. 이들 국내 빅테크 기술 노동의 실상은 불법 연장 근무, 스트레스 압박과 폭력, 노동 외 시간 통제, 임산부 시간 외 근무, 과도한 근태 관리와 직무 경쟁 체제 등 구태와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이 드러났다. 전근대적인 노동 관행과 새로운 기술 혁신 논리가 한데 뒤섞여 기괴한 ‘판교 노동문화’를 만들어내고 있는 셈이다. 「알고리즘의 무자비성과 노동 인권의 실종」


이들 첨단 지능형 기술에 다치고 강제 예속되는 약자와 타자를 위한 인공지능의 인권 원칙을 우리 현실에 구체화하기 위한 범사회적인 숙의 과정이 필요하다. 이에 더해 인공지능의 사회 대안적 윤리 원칙을 찾으려는 국제 시민사회의 기술 인권 모델에 대한 모색은 우리에게도 긍정적 시사점을 줄 것이다. 곰곰이 따져보면 인공지능의 인권 원칙을 세우는 일은 택배상자에 손잡이 구멍을 내는 일과 그리 다르지 않고, 기실 맞닿아 있다. 모두 일상의 야만에 맞서 약자의 기술정치학을 도모하는 일이지 않은가? 「택배상자 손잡이 구멍과 약자의 기술정치학」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590670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