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눈 밖에 난 철학 디지털로 본 철학

눈 밖에 난 철학 디지털로 본 철학

신승철 (지은이)
리좀
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3,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눈 밖에 난 철학 디지털로 본 철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눈 밖에 난 철학 디지털로 본 철학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88959244874
· 쪽수 : 214쪽
· 출판일 : 2005-07-28

책 소개

책은 첨단기술이 집약된 디지털 카메라가 던져주는 눈, 이성, 감시, 가상성, 얼굴성, 복제.복사, 욕망의 문제 등의 철학적 의미를 진지하게 탐색한다. 또한 제3의 시선, 얼짱과 몸짱, 뽀샵의 의미, 그리고 생명복제 등에 대하여 쉽고 명쾌한 진단을 내놓는다.

목차

들어가는 말_ 눈에 얽힌 몇 가지 에피소드

첫 번째 여행_ 이원론, 세상을 둘로 만드는 카메라-기관
눈이 세상을 둘로 나눈다?
인간 중심주의 철학의 진실
동전의 양면, 정신과 물질의 분리
눈의 철학은 관조의 철학이다
평행론, 디지털 세계로 초대하다
이원론, 데카르트의 철학
일원론, 스피노자의 철학
다원론, 라이프니츠의 철학
현대에 마주친 데카르트와 스피노자의 대담
스펙타클의 사회를 넘어서
카메라의 정치, 근대의 정치

두 번째 여행_ 제3의 시선, 누군가가 당신을 보고 있다
CCTV의 눈들이 곳곳에서 당신을 보고 있다면?
당신이 제3의 눈에 스토킹을 당한다면?
푸코가 판옵티콘을 통해 본 세상은?
제3의 눈에 대한 정신분열증 환자의 절규
의식철학, 관음정적 장치를 만들다
'라'의 눈, 제3의 눈, 초월의 눈
간주관성과 제3의 눈
사회적 관계 내부에는 제3의 눈이 없다
초월성인가, 내재성인가?

세 번째 여행_ 가상성, 실재보다 더 실재적인
나는 접속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
인터페이스, 가상세계로의 관문
기계인간은 무엇을 먹고 사는가?
눈은 우리르 어디로 이끄는가?
라이프니츠, 컴퓨터에 대한 꿈을 꾸다
마음을 넘어서는 기계
눈은 몇만 화소까지 볼 수 있는가?
반영보다 표현을!
가상성과 코드
재현의 논리, 가상의 논리
실재성과 가상성
가상성과 잠재성

네 번째 여행_ 복제.복사, 원본을 알 수 없는 디카의 세계
구텐베르크의 인식론적 충격
DNA 복제와 복제양 돌리
생명도 복제한다
인간도 복제할 수 있는가?
생명복제와 생명윤리
자유로운 복제.복사, 이데아세상은 어디에 있는가?
사진 속의 꽃은 무엇을 상기하는가?
사본의 세계, 시뮬라르크의 세계
플라톤이 디카를 본다면?
지적 재산권과 공유, 그리고 평행론

다섯 번째 여행_ 얼굴성, 무엇이 가면인가?
카메라 시선에 비친 얼굴
뽀샵의 비밀원리
얼짱, 몸짱은 무엇을 도착하는가?
동물의 머리, 인간의 얼굴
서로를 바라보는 커플은 어디를 향하는가?
얼굴과 권력
얼굴과 주체

여섯 번째 여행_ 욕망의 시선은 무엇을 원하는가?
욕망의 이미지들
욕망의 두 갈래길
타자에 대한 욕망인가?
욕망의 눈으로 세상을 본다면?
욕망의 미시정치

맺는말_ 첨단기술사회에 보다 많은 상상력을!

저자소개

신승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10년 프랑스 철학자 펠릭스 가타리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고, 줄곧 생태 철학과 공동체 운동, 사회적 경제 등을 연구해 오다, 2023년 세상을 떠났다. 생전에 생태적지혜연구소(ecosophialab.com) 소장으로 활동하면서 기후위기 시대의 대안 마련을 위해 고심해 온 그의 뜻을 유산삼아, 동료 연구자·활동가·예술가 들이 탈성장 전환 사회를 향한 실험과 도전을 계속하고 있다. 저서로 『낭만하는 공동체 넘어서기』(공저, 2022), 『기후 전환 사회』(2022), 『정동의 재발견』(2022), 『떡갈나무 혁명을 꿈꾸다』(2022), 『지구살림, 철학에게 길을 묻다』(2021), 『묘한 철학』(2021), 『모두의 혁명법』(2019), 『탄소자본주의』(2019), 『구성주의와 자율성』(2017) 등 40여 권의 저작을 남겼다.
펼치기

책속에서

우리는 여성의 신체를 탐닉하는 관음중 환자의 욕망 어린 시선과 누드모델 앞에서 예술작품을 창조하는 화가의 욕망 어린 시선을 동일시하지는 않을 것이다. 둘 사이에는 분명히 다른 무엇인가가 있다. 욕망의 시선 하면, 전자의 이미지를 떠올리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욕망은 부정적이고 반사회적이며 탐욕적이며 이성의 통제에 따라야 한다는 생각은 관음증적인 욕망만을 욕망으로 바라보는 관점에 근거한다. 사실 그런 사람의 욕망이야말로 관음증적이라는 것을 반증한다.

그러나 이성 중심주의자들이 생각하는 부정적 욕망의 상처럼 욕망의 문제가 단순한 것은 아니다. 욕망은 복잡 미묘하며 다층적이고 어디로 향할 것인지 결정되어 있지 않다. - 본문 192~193쪽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