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부산의 도시 형성과 일본인들

부산의 도시 형성과 일본인들

홍순권, 김승, 최인택, 하지영, 강재순, 이송희, 박철규, 전갑생, 양미숙 (지은이)
도서출판선인(선인문화사)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000원 -0% 0원
0원
28,000원 >
25,2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2,520원
22,6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부산의 도시 형성과 일본인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부산의 도시 형성과 일본인들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88959331406
· 쪽수 : 414쪽
· 출판일 : 2008-06-30

목차

<지역문화총서>를 처음 간행하면서

서설 : 부산 도시사 연구의 기초적 검토 - 홍순권
개항기 오쿠무라 엔신의 조선포교 활동과 이동인 - 최인택
개항기 조선상인과 일본상인 간의 자금거래와 곡물유통 - 하지영
1910년대 부산학교조합의 구성과 성격 - 강재순
일제하 부산지역 일본인의 초등교육 - 이송희
개항 이후 1910년대 용두산신사와 용미산신사의 조성과 변화과정 - 김승
1914년 전후시기 부산지역 유력 일본인 - 박철규
보론 : 1910년대 전후 부산·경남 조선인의 일체 협력 - 전갑생

자료 소개
자료 1. 1910년대 부산의 종교시설 / 번역 및 주석 : 하지영
자료 2. 개항기~1910년대 지도를 통해 본 부산의 변화 / 해제 : 양미숙

논문 출전

저자소개

홍순권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1991년 3월~2019년 8월 동아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한국근현대사를 강의했다. 재직 중 역사학연구소 소장, 한국제노사이드연구회 회장, 부산경남사학회 회장을 지냈고,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위원, 부마민주항쟁진상규명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일제하 조선인 노동자 및 일본군 ‘위안부’ 강제동원 문제와 관련된 시민사회운동에 관여했으며, 시민단체 ‘포럼 진실과정의’ 공동대표로 일하면서 학술지 『역사와 책임』의 편집 책임을 맡은 바 있다. 현재 동아대학교 명예교수이다. 주요 저서로 『한말 호남지역 의병운동사 연구』(1994), 『근대도시와 지방권력』(2010), 『제노사이드와 한국근대』(공저, 2009), 『전쟁과 국가폭력』(공저, 2012), 『한국 현대사와 국가폭력』(공저, 2019) 등이 있다.
펼치기
김승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63년 부산에서 태어나 부산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박사과정을 마쳤다.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전임연구원을 거쳐 2009년부터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인문한국(HK)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 <신편 부산대관>(공저), <해항도시의 역사적 형성과 문화교섭>(공저), <일제시기 재부산일본인사회 주요인물 조사보고>(공저), <산수 이종률 민족혁명론의 역사적 재조명>(공저) 등이, 연구논문으로는 '1920년대 경남동부지역 청년운동'(박사학위논문), '한말·일제하 울산군 장생포 포경업과 사회상' 외 다수의 글이 있다. 일제하 청년운동과 민족운동으로 학계에 입문하였으나 2006년 이후 역사, 사회, 문화 등을 통해 해항도시 부산의 특성을 구명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펼치기
최인택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58년생. 계명대학교 일본학과 졸업. 동경도립대학 대학원 사회과학연구과 사회인류학전공. 사회인류학박사. 일본 미야자키공립대학 조교수를 거쳐 현재 동아대학교 중국일본학부 일본학전공 교수. 논문 「평양명승 사진그림엽서 ‘현무문’에 얽힌 전쟁영웅담-청일전쟁 평양전투 영웅 하라다 주키치의 표상과 기억-」(2019) 「일제침략기 사진그림엽서를 통해서 본 기생기억」(2018) 「일제침략기 사진.그림엽서를 통해서 본 조선의 풍속 기억」(2017) 「오키나와 야에야마지역의 系譜觀에 대한 史的考察-石垣市史叢書를 중심으로-」(2015) 「현대일본의 무연사회와 장례문화의 변용-多死시대의 도래-」(2013) 「일본의 오키나와 오키나와의 일본」(2012) 저서 『일제침략기 사림그림엽서로 본 제국주의의 프로파간다와식민지 표상』 민속원(2019, 공저) 『오키나와 깊이 읽기』 민속원(2014, 역서) 『우암동사람들의 공간과 삶』 임시수도기념관(2014, 공저) 『마음을 이식한다 : 장기이식의 문화사』 심산(2006, 역서)
펼치기
하지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아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한 후 동아대학교 대학원에서 석·박사 과정을 졸업했다. 저서로는 『부산의 도시형성과 일본인들』(공저, 2008), 『부산·울산·경남지역 항일독립운동과 기억의 현장』(공저, 2011), 『부산민주운동사』(공저, 2021), 『동해포구사』(공저, 2021), 『일본인 이주정책과 재조선 일본인사회』(공저, 2022)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일제시기 조선우선주식회사의 阪神航路 경영」(『지역과 역사』 42, 2018), 「일제시기 조선우선주식회사의 경영 분석」(『석당논총』 71, 2018), 「1910년대 조선우선주식회사의 연안항로 경영과 지역」(『역사와 경계』 109, 2018), 「일제강점기 동해횡단항로 개설을 둘러싼 역학관계」(『지역과 역사』 46, 2020), 「1930년대 동해횡단항로와 조선총독부 해운정책」(『인문사회과학연구』 21-2, 2020) 등이 있다. 현재 동아대학교에서 강사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강재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연구교수
펼치기
이송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 신라대 역사문화학과 교수 이화여대 문리대 사학과 졸업, 동대학원 석사 및 박사영국 런던대학, 미국 일리노이 주립대학, 캐나다 요크대학 Visting Scholar한국여성사학회 회장 역임, 부산시사편찬위원 역임사) 부산여성사회교육원 이사저 서 : <근대사 속의 한국여성>(2014), <대한제국기의 애국계몽운동과 사상> (2011), <여성주의 교육, 시공을 묻다>(공저, 2016), <부산여성사 III―역사 속의 부산여성(현대)> (공저, 2011), <부산여성사 II―역사 속의 부산여성 (고대―근대편)> (공저, 2010), <부산여성사 I―근현대 속의 부산 여성과 여성상>(공저,2009), <새로운 한국사 길잡이>(공저, 2008), <부산의 도시 형성과 일본인들>(공저, 2008)
펼치기
박철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조사1팀장
펼치기
전갑생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1년 경남 거제 아양리 관송에서 태어나 유년 시절부터 한학과 역사에 관심을 가졌다. 성장한 뒤 지역 노동과 시민사회운동에 활동하다가 대학에서 국문학과 한국현대사 전공하고 서울대 사회발전연구소 연구원, 성공회대 동아시아연구소 냉전평화센터 선임연구원과 한국냉전학회 이사 등을 맡아 학살과 수용소, 계급과 국가폭력 연구를 계속 이어가고 있다. 지금까지 한국전쟁전후 민간인학살과 수용소, 지역역사 외에도 최근 들어 전쟁심리전과 국군귀환포로 등 국가폭력과 전시 폭력 관련 논문과 공저서를 내었고 미국, 유럽, 아시아 주요 국립기록관이나 공문서관 등에서 한국근현대사 자료들을 수집해 연구를 확장시키고 있다.
펼치기
양미숙 (엮은이)    정보 더보기
동아대 사학과 외래교수. 『개항기~1910년대 부산의 유곽도입과 정착과정』, 『1920·1930년대 부산부의 도시빈민층 실태와 그 문제』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