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경남 근현대사 : 사건, 공간, 운동

경남 근현대사 : 사건, 공간, 운동

김명희, 이향아, 김중섭, 전갑생, 장상환, 박영주, 김정호, 이혜숙, 고영남 (지은이)
경상국립대학교출판부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000원 -0% 0원
1,250원
23,7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경남 근현대사 : 사건, 공간, 운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경남 근현대사 : 사건, 공간, 운동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한국전쟁 이후~현재
· ISBN : 9788962573664
· 쪽수 : 506쪽
· 출판일 : 2023-03-01

책 소개

기존의 한국 근현대사와 관련한 역사 서술이 지역의 현대사를 충분히 담아내지 못하고 있다는 인식에서 출발한 책이다. 지역에 기반한 역사 쓰기와 근현대사 역사 교재의 필요성에 저자들은 뜻을 모았다.

목차

여는 글: 지역에 기반한 근현대사 쓰기의 서장을 열며 / 김명희·이향아

제1부 사건으로 보는 경남 근현대사

I. 근대 사회로 이끈 3·1운동과 형평운동: 진주 지역을 중심으로 / 김중섭
II. 강제 동원과 ‘합천의 히로시마’ / 전갑생
III. 강제로 끌려간 경남의 일본군‘위안부’들과 운동의 역사 / 김명희
IV. 경남이 겪은 한국전쟁: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학살 사건 / 전갑생
V. 산청·함양·거창 학살과 유족운동의 전개 과정 / 김명희
VI. 경남의 산업 경관과 국토 개발: 70년대 마산, 창원, 거제의 국가산업단지 형성 과정을 중심으로 / 이향아

제2부 경남의 사회운동과 로컬 민주주의

Ⅶ. 경남의 농민운동: 진주농민항쟁에서 우리영농조합법인까지 / 장상환
Ⅷ. 경남의 민주화운동: 3·15의거와 부마항쟁 / 박영주
Ⅸ. 경남의 노동운동: 1987년 이후 마창 지역 민주노조운동을 중심으로 / 김정호
Ⅹ. 경남의 여성운동 6월항쟁 이후 경남 여성운동의 흐름 / 이혜숙
Ⅺ. 경남의 교육운동: 민주주의와 인권의 길 / 고영남

찾아보기

저자소개

장상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상대학교 경제학과 명예교수, 한국농어촌사회연구소 이사장 1951년 대구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상대학교 경제학과 명예교수이며, 한국농어촌사회연구소 이사장을 맡고 있다. 지은 책에《진보정당을 말한다》《한국 농업 농민 문제 연구1》(공저)《경남 근현대사》《자본의 세계화와 한국사회의 계급구조 변화》 《한국 사회의 이해》(공저) 《한국 사회의 현단계》(공저) 《제국주의와 한국 사회》(공저) 《한국 경제론 강의》(공저) 《한국의 농업 정책》(공저) 등이 있으며, 옮긴 책에《경제학의 역사》《자본주의 역사 바로 알기》《경제학사 입문》《자본주의, 공산주의 그리고 공존》《서양 경제사 강의》 등이 있다.
펼치기
김중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상국립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정년퇴직한 뒤 명예교수로 있다. 형평운동에 관하여 『형평운동연구: 일제침략기 백정의 사회사』(1994), 『형평운동』(2001, 일본어 번역본 『衡平運動: 朝鮮の被差別民·白丁, その歷史とたたかい』, 高貞子 옮김, 大阪: 解放出版社, 2003), The Korean Paekjong under Japanese Rule: The Quest for Equality and Human Rights (London: RoutledgeCurzon, 2003), 『평등 사회를 향하여: 한국 형평사와 일본 수평사의 비교』(2015), 『형평운동과 인권의 시대』(공편, 2023) 등의 저서와 여러 논문을 발표하였다. 인권 분야에 관하여 『인권의 지역화: 일상생활의 인권 증진을 위하여』(2016), 『인권제도와 기구: 국제 사회, 국가, 지역 사회』(공저, 2018) 등의 저서와 『한국 지역사회의 인권: 2001 진주 지역사례 연구』(2001), 『한국 어린이・청소년의 인권: 진주 지역 사례 연구』(2002), 『세계화와 인권 발전』(공편, 2004, 일본어 번역본 『グローバル時代の人權を展望する』 大阪: 解放出版社, 2004) 등을 엮어냈고, 여러 논문을 발표하였다. 그리고 진주 지역 역사에 관하여 『사회운동의 시대: 일제침략기 지역 공동체의 역사사회학』(2012), 『진주 3.1운동과 근대 사회 발전』(공저, 2020) 등의 저서와 여러 논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이혜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 졸업 서울대 대학원 사회학과 석사 및 박사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UCLA) 사회학과 방문교수 미국 워싱턴대학교(UW) 사회학과 방문교수 경상국립대 여성연구소 소장 역임 한 국여성학회 회장 역임 보건복지부 성평등자문위원회 위원 현재 경상국립대 사회학과 교수 <주요저서> 「미군정기 지배구조와 한국사회:해방이후 국가-시민사회 관계의 역사적 구조화」(선인, 2009) 「지방자치와 지역여성의 전망: 지역여성정책과 지역여성운동의 동학」(집문당, 2012) 「여성의 눈으로 보는 대학사회와 젠더정치」(오름, 2012)(공저) 「나는 대한민국 경남여성: 역사 속에서 소외되었던 지역여성의 삶」(지앤유, 2015)(공저) 「여성과 사회」(다산출판사, 2015)(3판) 「국가와 여성정책」(다산출판사, 2016) 「지방자치와 여성의 정치세력화」(다산출판사, 2016) 「국가와 정치의 사회학」(오름, 2017) 「지구화 지방화 시대의 여성정치」(패러다임북, 2019)(공저)
펼치기
전갑생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1년 경남 거제 아양리 관송에서 태어나 유년 시절부터 한학과 역사에 관심을 가졌다. 성장한 뒤 지역 노동과 시민사회운동에 활동하다가 대학에서 국문학과 한국현대사 전공하고 서울대 사회발전연구소 연구원, 성공회대 동아시아연구소 냉전평화센터 선임연구원과 한국냉전학회 이사 등을 맡아 학살과 수용소, 계급과 국가폭력 연구를 계속 이어가고 있다. 지금까지 한국전쟁전후 민간인학살과 수용소, 지역역사 외에도 최근 들어 전쟁심리전과 국군귀환포로 등 국가폭력과 전시 폭력 관련 논문과 공저서를 내었고 미국, 유럽, 아시아 주요 국립기록관이나 공문서관 등에서 한국근현대사 자료들을 수집해 연구를 확장시키고 있다.
펼치기
박영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남대학교박물관 비상임연구위원
펼치기
김정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래를 준비하는 노동사회교육원 소장
펼치기
고영남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제대학교 법학과 교수
펼치기

책속에서

종교 단체 중심으로 전개된 어린이 운동의 주요 내용은 전통 사회의 폐습을 없애는 것이었다. 그것은 3·1운동 이후 진주 지역 사회에 형성된 사회운동계의 분위기를 반영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이 전통 사회의 유습을 극복하려는 사회적 분위기는 여성에게도 적용되었다. (…) 1905년 11월 진주에 이주한 호주의 의료선교사 커를 일행은 우선 진료소를 개설하고 학교를 열었다. 그들은 남자 학교와 여자 학교를 같이 세웠다. 교회에서는 여성의 사회 활동을 허용했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권장했다. 학교와 교회는 여성 교육과 활동의 근거지가 되었다. 이러한 활동은 여성에 대한 인식을 일깨우는 데 이바지했다.


인권은 개개인이 누리며 적용되지만, 또한 사회적 보장이 요구된다. 이것을 실현하기 위하여 형평사 활동가들은 공동체 운동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리고 사원들에게 끊임없이 단결과 연대를 요구했다. 이렇듯 이 형평사는 창립 초기부터 특정한 개인이 아니라 백정 공동체 전체의 권익을 위한 활동을 벌였다. 백정 사회도 빈부 격차가 있고, 배움의 정도가 달랐다. 그렇지만, 형평사는 백정 공동체를 강조했고, 백정 모두의 권익을 위한 활동을 벌여 나갔다. 특히, 형평사 내의 사회적 약자를 위하여 활동했다. 배우지 못한 사원들을 위하여 교육과 계몽 활동을 펼쳤고, 일자리가 불안정하고 부당하게 대우받는 사원들을 위하여 공동 사업을 구상했다. 때로는 곤란에 놓인 사원들을 위하여 동맹 파업을 벌였다. 차별받고 공격당하는 사원들을 위하여 연대 투쟁을 벌였고, 불합리한 차별 관습에 연대하여 대항했다. 더 나아가 사원의 상부상조와 친 목, 경제적 권익 증진을 위한 산업별 조합을 결성했다. 이처럼 형평사의 활동 방향과 내용은 공동체 운동의 성격을 끊임없이 견지했다.


가까스로 조국에 돌아온 피폭자들은 잠시 부산에 머물다가 전국 각지로 흩어졌다. 하지만 그들을 맞이한 것은 지독한 가난과 차별이었다. 일본에서 온갖 고생 끝에 모아둔 재산은 원폭으로 일순간 잿더미로 변해 사라져 버렸다. 자연재해와 식량난을 견디지 못해 일본으로 갔다가 원폭을 맞고 돌아온 고향은 달라진 게 없었다. 혹독한 굶주림을 견디다 못한 일부 피폭자나 농민들은 고향을 등지고 다시 일본으로 밀항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