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일반문학론
· ISBN : 9788959661718
· 쪽수 : 389쪽
· 출판일 : 2007-08-27
목차
머리말
1장 여성과 문학
1_ 성(性)이란 무엇인가
1. 당신은 여성인가? 남성인가?
2. 정말 남자와 여자는 다른 걸까?
3. 섹스, 젠더, 섹슈얼리티에 대하여
4. 누가 여성인가?
2_ 문학 속에 나타난 성(性)
1. 외설과 예술의 오래된 전쟁
2. 문학 작품 속에 성이 나타나면 무슨 일이 생길까
3. 막달라 마리아와 성모 마리아를 구분하는 기준?
2장 페미니즘 문학비평 이론
1_ 여성의 시각으로 문학 작품 다시 읽기
1. 남성 작가들이 그려낸 여성 인물의 이미지
2. 여성문학의 전통 세우기
2_ 여성적 글쓰기에 대한 이론적 정립
1. 양성적 글쓰기
2. 여성의 쾌락 구조에 기반한 텍스트
3. 시적 언어의 전복적 힘
3_ 주변부의 복원 - 최근의 페미니즘 이론
1. 백인중심주의의 벽을 넘어
2. 하위주체의 재현
3. 인간과 자연의 평화로운 공존
3장 고전 여성문학 - 묵종과 부재의 삶 투영
1_ 여성 명명의 배경과 의미
2. 본분(本分) 명명
3. 성적(性的) 명명
2_ 묵종·부재 강요의 역사
1. 신화적 여성의 존재양상
2. 여화(女禍) 콤플렉스
3. 대외적 자기표현의 금기
3_ 고전 여성 문학의 소사(小史)와 그 의미
1. 여성 존재를 다룬 서사문학
2. 조선조의 여성 문인
4장 여성 시의 어제와 오늘
1_ 여성시의 전사(前史) - 1920년대 여성시
1. 전통적 여성의 굴레 벗기, 사랑으로 살기
2. 1920년대 여성시의 성과와 한계
2_ 여성이 처한 현실 바로보기
1. 여성상에 내재된 억압 들춰내기
2. 부권의 거부를 통한 시 쓰기
3_ 여성성, 여성적 글쓰기 탐구하기
1. 모성성, 여성 시인의 정체성
2. 여성 몸, 치유와 구원
3. 여성성의 원천, 둥근 몸의 미학
4. 전망. 대안으로서 생태시
5장 여성소설의 어제와 오늘
1_ 가부장제에 대한 저항과 도전
1. 고발과 저항의 글쓰기
2. 비판적 읽기와 글쓰기
3. 가족 신화를 넘어 마이너리티 세계 감싸안기
2_ 대안적 공동체 탐색
1. 여성성의 탐색
2. 자매애의 모색과 구현
3. '히스토리 History'를 넘어 '허스토리 Herstory'를 향하여
부록: 고전 여성 문학 자료
1_ 여성 존재를 다룬 서사 문학
1. 단군신화
2. 김현감호와 신도징 설화
3. 온달설화
4. 열녀함양박씨전
5. 딸을 비밀리 재가시킨 재상
6. 길지를 차지한 계집종
7. 검녀
8. 평양기생이 잊지 못하는 두 남성
9. 양반과 나이어린 계집종(혹은 기녀)에 관한 몇몇 이야기
2_ 여성 작가 시
1. 기녀 작가의 시
2. 규방 작가의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