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세계패권과 국제질서
· ISBN : 9788959750313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06-03-14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부 세계경제의 핵, 중국과 석유
1. 중국의 경제성장과 석유
2. 중국의 해양안보와 석유
제2부 중앙아시아 석유를 둘러싼 강대국 사이의 경쟁
1. 중앙아시아의 생존공간
2. 미래의 석유보고 중앙아시아
3. 미국과 중앙아시아
4. 미국의 카스피해 석유전략
5. 러시아의 카스피해 석유전략
6. 중국의 카스피해 석유전략
7. 인도의 카스피해 석유전략
8. 중국과 상해협력기구
9. 일본과 중앙아시아
제3부 러시아유전을 둘러싼 중국과 일본의 충돌
1. 석유는 러시아 외교의 최대무기
2. 러시아는 누구의 손을 들어줄 것인가
3. 중러관계의 변천과정과 발전전망
제4부 서해유전을 둘러싼 한국과 중국의 경쟁
1. 한국의 서해유전개발
2. 제7광구, 검은 진주
제5부 태평양을 둘러싼 에너지전쟁
1. 일본의 해양전략사
2. 미국과 일본의 극동, 태평양 쟁탈사
3. 21세기 일본의 해양전략구상
제6부 동중국해를 둘러싼 중국과 일본의 석유충돌
1. 중국과 일본의 갈등
제7부 미국과 석유, 그리고 동북아시아
1. 미국과 소련의 중동석유정책
2. 미국의 전략석유비축
3. 중미 중동석유갈등
4. 남중국해에서의 중미석유충돌
5. 미국과 일본의 석유갈등
6. 21세기 미국의 에너지안보전략
제8부 중국과 미국의 패권경쟁
1. 해상패권의 흥망
2. 정화의 해양개척역사
3. 패권국가의 조건
4. 되돌아보는 중미관계
5. 중미관계의 규율성
6. 중미관계와 한반도
7. 중국의 국가안보전략에 대한 사고와 심리상태
제9부 동아시아 에너지 공동체
1. 에너지를 화합의 촉매제로
참고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중국은 앞으로 서해 해저 경계선 구획 문제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이의를 제기할 가능성이 있다. 첫째 황해 및 동중국해의 광대한 해저가 황하와 양쯔 강에서 흘러내린 점토로 덮여 있다는 사실을 근거로 이곳이 중국의 것이라고 주장할 가능성, 둘째 1958년 9월 4일 자기들의 영해선언 때 채택한 직선기선 제도에 입각하여 한국이 그은 중간선은 참다운 중간선이 아니라고 주장할 가능성, 셋째 그때까지 실시된 모든 해저탐사에 자기들이 참여한 적 없으므로 인정할 수 없다고 주장할 가능성, 넷째 조어도에 대한 영유권을 전제로 거기서부터의 중간선이 확보되지 않았다고 주장할 가능성이 그것이다. - 본문 141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