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재테크/투자 일반
· ISBN : 9788959751778
· 쪽수 : 332쪽
· 출판일 : 2008-12-08
책 소개
목차
추천사
프롤로그 | 마침내 열리는 자본시장통합법 시대, 변화하는 투자의 패러다임
1장 자본시장통합법이라는 변화
01 자본시장통합법의 주요 내용
02 금융투자상품
03 금융투자업과 이해상충 방지체계
04 자본시장과 관련한 기타 규제의 완화
05 투자자 보호제도의 선진화
06 자본시장통합법 시대를 대비하는 금융회사의 자세
2장 펀드의 진화 : 펀드가 세상을 움직인다
01 원하는 방식대로 조달하라 : FCM
펀드는 금융이다│증권회사의 한계│자본시장통합법 이후의 역할 확장 : 금융투자회사
02 펀드가 인생을 설계한다 : LCF
영국의 라이프사이클펀드│라이프사이클펀드의 특징│라이프사이클펀드의 종류│정기이자 지급식 펀드│노년을 준비하기 위한 라이프사이클펀드
03 투자전략의 개념을 바꾸다 : 헤지펀드
헤지펀드는 공공의 적?│헤지펀드의 성장 그리고 몰락│헤지펀드의 전략│헤지펀드의 미래 그리고 대한민국
04 투자대상에 제한이 없다 : 혼합자산펀드
05 펀드의 새로운 미래 : ETF
ETF, 펀드의 미래를 꿈꾸다│ETF는 진화 중, 신종 ETF의 출현
06 투자클럽이 뜬다 : 사모펀드
3장 대안투자 : 세상 모든 것에 투자한다
01 인플레이션 피하기
인플레이션 연계채권│원자재펀드│주식
02 환경이라는 새로운 투자처 : Eco상품
환경의 역습│교토의정서로 친환경 노력 점화│세계 탄소시장의 동향│신·재생 에너지 개발열풍 및 녹색성장 시대│신·재생 에너지산업에 투자하라│우뭇가사리를 활용한 바이오에탄올 사업│바이오매스(생물자원)를 활용한 에너지화 사업(바이오에탄올, 전력)│유채꽃이나 자트로파를 활용한 에너지화 사업 : 바이오디젤, 바이오에탄올│태양광발전│풍력발전│기타 Eco 관련 사업│녹색금맥을 찾아라 : Green Rush
03 메인화 되는 대안투자
전통적 투자에서 벗어난다 : 제조와 금융의 결합, 특별자산펀드│먹고 쓰는 것에 투자한다 : Commodity 펀드│금융기관을 통해 더욱 활성화된 부동산펀드│부동산에서 금융자산으로│상상하라, 그러면 만들어질 것이다
4장 파생상품 : 생각대로 설계한다
01 파생상품의 빛과 그림자
02 투자와 투기와 헤지 사이 : 장내파생상품
시장은 24시간 계속되어야 한다│국내 및 해외 장내파생상품시장
03 금융, 과학을 만나다 : 장외파생상품
04 화폐전쟁이 시작되다 : Retail FX
차세대 메가트렌드 : Retail FX│FX : 상품에 대한 개념을 바꾸다│일본에서 배운다 : 외환시장의 큰손, 와타나베 부인을 아십니까?│FX Margin Trading이 주목받는 이유
5장 금융 서비스의 혁신
01 원스톱 서비스
02 소액결제
CMA와 소액결제가 만났을 때│고객 서비스 향상│증권회사도 주거래 금융기관│증권회사의 서비스 개선
03 위험 헤지의 대상으로서 금융투자회사
6장 자본시장통합법의 등장배경 : 21세기 금융전쟁
01 자본시장통합법의 등장 배경
금융이 지배하는 사회│신자유주의 경제의 등장│투자은행의 영향력 확대│거대 펀드자본의 등장│금융기관과 금융허브│자본시장통합법의 등장
02 한국의 금융시장
한국 민족과 금융산업│직접투자시장│금융산업의 비효율성│간접투자시장
03 국내 금융산업의 문제점
국내 금융산업에 대한 평가│정부의 노력│부족한 금융인재의 육성│부족한 국제 네트워크│정부의 교육 지원│금융산업의 국제화│직접투자의 추세적 감소│금융산업의 해외자본 유치│해외자본의 부정적인 효과│법인세율의 조정│국민의 영어 능력 높이기
04 금융허브
한국형 금융허브
05 해외 사례
아일랜드│호주│영국│홍콩과 중국│대만도 실용주의│싱가포르의 전략
06 한국의 금융허브로서의 가능성
한국도 2015년에는 세계 강국│석학들이 인정하는 금융허브의 가능성│한국 금융시장의 주변 환경
07 기타 고려사항
증권회사 육성│국내 수요 활성화│직접금융시장 육성│해외 소규모 운영회사와의 파트너십│신중한 규제완화
에필로그
책속에서
자본시장통합법은 2006년 이후 우리 금융산업에서 가장 큰 화두였다. 어느 금융회사든 전략과 비전을 이야기할 때 자본시장통합법은 빠지지 않고 등장했고, 자본시장통합법이 시행되면 엄청난 변화 속에 기회가 찾아올 것이라고들 했다. 그리고 어떤 사람들은 자본시장통합법을 통해 금융혁신이 일어나 대한민국도 세계의 금융허브로 자리 잡을 수 있다고도 했다.
물론 이에 못지않게 자본시장통합법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시각도 존재한다. 입법화 과정에서는 업계 및 정치권 이해당사자들의 입장과 주장이 첨예하게 대립되어 입법이 지연되기도 했고, 최근 금융혼란 속에서는 미국식 투자은행을 모델로 하는 자본시장통합법의 시행이 재검토되어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오고 있다. 그야말로 자본시장통합법은 현재 대한민국 금융산업의 핵심 화두인 것이다. - 본문 29~30쪽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