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서양철학사
· ISBN : 9788959895274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18-06-29
책 소개
목차
한국어판 서문
들어가며: 위대한 철학자가 되고 싶다면 벌집을 건드려라
밀원 채집 1: 아인슈타인의 예언
1장 꿀벌, 올림포스를 날아다니다
인간과 신을 이어지는 외계 민족 | 아리스타이오스의 꿀벌이 사라지다 | 꿀벌형 여성 그리고 여성 혐오의 탄생
밀원 채집 2: 페르세포네와 데메테르 이야기 | 밀원 채집 3: 부고니아 혹은 생명의 기원
2장 꿀벌, 철학자의 우주 망원경
우주 작동 원리의 비밀을 가르치다 | 꿀벌 치는 아리스토텔레스 | 로마 군단에 입대한 꿀벌 | 율리시스의 꿀벌
밀원 채집 4: 밀원에 얽힌 비밀 | 밀원 채집 5: 꿀벌의 성별에 관하여(1) | 밀원 채집 6: 꿀벌의 수명 | 밀원 채집 7: 유럽의 꿀벌과 아시아의 꿀벌
3장 꿀벌, 신에게서 내쳐지다
예수 앞에 무릎을 꿇다 | 기독교의 옷으로 갈아입다 | 부활절 양초를 바치는 꿀벌 | 성모 마리아의 처녀성을 증명하다 | 수도사가 된 꿀벌 | 분봉, 광신도의 상징
밀원 채집 8: 밀랍은 어떻게 생기는가 | 밀원 채집 9: 분봉
4장 꿀벌, 권력의 대가
정치가의 영원한 스승 | 나폴레옹의 꿀벌 | 군주와 귀족과 평민의 벌집 | 꿀벌은 어떤 민주주의를 선호하는가
밀원 채집 10: 수벌의 떼죽음 | 밀원 채집 11: 양날의 침 | 밀원 채집 12: 꿀벌의 성별에 관하여(2)
5장 꿀벌, 마법이 풀리다
믿음을 잃은 인간과 꿀벌 | 거미와 꿀벌 중 누가 더 우월한가 | 현미경 위에 올라선 꿀벌 | 최고의 기하학자로 등극하다
밀원 채집 13: 꿀벌의 성별에 관하여(3)
6장 꿀벌은 또다시 우리를 구원해줄까
68세대의 구원 투수로 호출되다 | 구글이라는 이름의 양봉업자 | 민주주의의 불충분한 해결사
밀원 채집 14: 《꿀벌 마야의 모험》_ 전체주의의 전주곡? | 밀원 채집 15: 꿀벌에게도 개인주의가 존재할까
나가며: 인류 문명의 무한한 지적 원천
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책속에서
꿀벌이 이처럼 조금 특별한 일을 맡아온 게 어제오늘 일은 아니다.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보면 시대와 문명을 불문하고 모든 사상가들이 벌집에서 꿀 이외에도 인생의 지침이나 모델을 구했을 뿐 아니라 자연의 숨은 비밀이나 문명의 신비를 걷어내 줄 답을 찾고 있었다는 사실이 드러나기 때문이다. 학문의 원천이자 미덕의 모델로 간주된 꿀벌은 유럽의 제국이나 봉건 군주의 문장으로도 사용되고, 무정부주의나 민주주의, 공산주의, 심지어 자본주의에서조차 그 상징으로 사용된다. 사람들은 꿀벌에게서 산업과 통치의 원리를 배우고, 서정성이나 경애심, 근검절약 정신, 혹은 열심히 자원을 그러모으는 행동방식까지도 습득한다.
_<들어가며: 위대한 철학자가 되고 싶다면, 벌집을 건드려라!> 中
이 신들의 전쟁에서 가장 큰 관건은 태초의 자연적이고 파괴적이며 무질서한 힘들을 길들여 우주의 질서와 조화로움을 만들어내는 것이었다. 이 과정에서 꿀은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자연이 내린 감미로운 음식인 꿀 덕분에 크로노스는 그동안 집어삼킨 자식들을 모두 토해낼 수 있었으며, 멜리사 신화에서도 보여주듯 인간들이 원시 상태에서 벗어난 건 정령들의 가르침에 따라 꿀을 맛보았기 때문이다. 꿀을 먹고 나서야 비로소 식인 풍습을 버리고 문명화된 삶으로 이행해 산에서 채집한 음식을 먹거나 처음으로 ‘수확한’ 음식을 먹게 되었다는 것이다.
_<1장 꿀벌, 올림포스를 날아다니다> 中
아리스토텔레스는 도시국가와 꿀벌 사회의 연결고리에 초점을 맞추면서 군집 생활이나 거주 단위, 공유 요소, 패권 장악 여부 등을 사례로 들어 기술하고 있다. 그런데 인간이 세운 국가와 꿀벌 사회를 연계시켜주는 또 하나의 결정적인 요소가 있다. 바로 양쪽 군집에서 다양한 개체들이 규합되어 있다는 점이다. 노예와 거류 외국인, 자유민, 지도층 등이 함께 살아갔던 고대 그리스의 도시국가와 마찬가지로 꿀벌 군집 사회 역시 무리를 이끄는 지도층과 일벌, 수벌 그리고 가급적 성장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한 도둑벌과 몸집이 긴 벌 등 다양한 계층 구성을 보인다. 이런 조직 구성은 동물계에서 이례적이다.
_<2장 꿀벌, 철학자의 우주 망원경> 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