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차마 울지 못한 당신을 위하여

차마 울지 못한 당신을 위하여

(이별과 상실의 고통에서 벗어나 다시 살아가는 법)

안 앙설렝 슈창베르제, 에블린 비손 죄프루아 (지은이), 허봉금 (옮긴이)
민음인
12,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5개 5,5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8,960원 -10% 440원 7,620원 >

책 이미지

차마 울지 못한 당신을 위하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차마 울지 못한 당신을 위하여 (이별과 상실의 고통에서 벗어나 다시 살아가는 법)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교양 심리학
· ISBN : 9788960173347
· 쪽수 : 183쪽
· 출판일 : 2014-04-22

책 소개

프랑스의 저명한 두 심리학자가 펴낸 상실과 애도에 대한 책. 실제 사례와 수십 년간의 연구를 통해 소중한 사람을 잃은 경험을 비롯하여 갖가지 상실을 경험한 이들이 그 고통을 충분히 애도하고 다시 삶으로 되돌아가는 방법을 친절히 안내한다.

목차

들어가며 _ ‘애도’는 치유의 과정이다
Part 1 _ 상을 당한 사람을 위한 치유 의식
Part 2 _ 무엇이 나에게 가장 큰 스트레스인가?
Part 3 _ 남을 돕기 위한 올바른 방법
Part 4 _ 에너지를 재충전하기 위한 훈련
Part 5 _ 모든 상실과 사별은 고통스럽다
Part 6 _ 사회적 수치심 때문에 애도를 할 수 없을 때
Part 7 _ 왜 애도를 거부하는가
Part 8 _ 애도의 단계
Part 9 _ 용서하는 법을 배우다
Part 10 _ 감춰진 선물
마치며 _ 애도를 마치고 다시 살아가기 위하여
에필로그 _ 이제는 터널에서 빠져나올 시간

저자소개

에블린 비손 죄프루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태어났다. 프랑스 바칼로레아를 취득한 후, 뉴욕 사라 로렌스 대학에서 심리학과 예술사를, 파리 소르본 대학에서 고고학을 전공했으며, 프랑스 필적학회의 학위를 가지고 있다. 아동미술심리를 전공하고, 프랑스의 저명한 아동심리학자인 프랑수아즈 돌토의 지도하에 어린이의 그림에 담긴 상징성에 대해 연구했다. 지앙 도자기와 바카라 크리스탈의 예술부장을 지냈고, IBM에서 직원 채용 업무에 관여했다. 안 앙설렝 슈창베르제에게 심리가족력, 심리극, 집단요법에 관해 지도를 받았고, 신경 언어 프로그래밍(NLP) 교육을 받고 코치가 되었다. 현재 심리 상담가로, 일시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거나 직업 전환을 원하는 사람들을 전문으로 상담하는 코치로, 또한 필적 감정 전문가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심리가족력 연구소 부소장이며, 파리, 부에노스아이레스, 바르셀로나 등지에서 심리가족력에 대한 연수와 강연을 하고 있다. 저서로 『하루에 적어도 네 개의 즐거움』이 있다.
펼치기
안 앙설렝 슈창베르제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19년 파리 출생으로 법학사, 심리학 박사, 문학 박사 학위를 가지고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때에는 레지스탕스 활동을 했다. 제이콥 모레노에게 심리극을, 어빙 고프만에게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을, 프랑수아즈 돌토에게 정신분석학을 수학했으며, 칼 로저스, 마거릿 미드, 그레고리 베이트슨과 함께 연구 활동을 했다. 국제 집단 심리치료 협회를 공동으로 창설하고, 초대 사무총장과 부회장을 역임했다. 1964년에 파리 의과 대학에서 제1회 국제 심리극 대회를 개최하였고, 1967년부터 니스 대학의 교수로 재직하며 니스 대학 사회임상심리연구소의 연구를 이끈다. 1970년대에 암 환자를 위한 보조 치료 방법과 암 환자와 그 가족들을 심리적으로 돕는 문제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고 1985년 말부터는 말기 암 환자를 치료하는데 일부 환자들은 아직도 살아 있다. ‘엥스티튀 라 수르스’(Institut La Source : 파리, 로잔, 브뤼셀, 퀘벡 주의 셀브룩)에서 집단 심리극을 가르치는 한편, ‘프랑스 심리극 학교’를 공동 설립해 심리극과 집단 치료 요법을 강의하면서 치료 기법을 개선하고 있다. 안 앙설렝 슈창베르제의 상담의 특징과 힘은 사건이 일어날 당시의 상황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인다는 데에서 나온다. 현상과 상황을 제도 안에서 파악하고, 가족적, 역사적, 경제적, 문화적, 국가적, 심리 역사적 맥락에서 파악한다. 『조상님, 아파요!』, 『낫기를 원하다』, 『가족 심리력』, 『심리극』,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연구』, 『삶의 즐거움』, 『부모들 때문에 아픈 아이들』 (공저) 등 십여 권의 저서가 있다.
펼치기
허봉금 (옮긴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했다. 프랑스 프로방스 대학교에서 불문학 석사학위를 받고 박사과정을 수료했으며, 소르본 누벨 대학교에서 외국어 교수법 학위를 받았다. 부산대, 울산대, 부산 알리앙스 프랑세즈 강사를 지냈으며, 파리에서 KBS 라디오 해외 통신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개가 주는 위안』, 『하루에 적어도 네 개의 즐거움』과 시집 『나무의 명상』을 불어로 옮긴 『Contemplations de l’arbre』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모든 것은 변하고, 영원히 계속되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어머니 몸에서 떨어져 나오는 순간부터 인생은 이별과 상실의 연속이다.
-우리를 병들게 하는 것은 우리가 입은 트라우마 그 자체가 아니라 우리가 어떤 일을 당했는지 말을 할 수가 없다는 것이다.
-충분히 애도하고 난 후에야 고인은 우리 마음속에 살아 있게 된다. 하지만 슬픔이 우리를 파괴하지 않도록 스스로를 잘 보살펴야 한다.
-기쁘게 할 수 있으면서도 비용이 적게 드는 일의 목록을 만들고 일과 가운데 시간적 여유를 만들어 실제로 그것을 실천해야 한다.
-도움받은 사람이 진 빚을 갚는 가장 좋은 방법은, 기회가 주어질 때 받은 만큼 다른 사람에게 돌려주는 것이다.
-살아 있는 다른 사람을 새로 사랑하게 된다고 해서 죽은 사람에 대한 사랑이 사라지는 일은 절대로 없다. 애도 작업을 끝내고 나면 상실과 죽음은 의미를 갖는다.
-우리 삶이 끝날 때까지 언제나 우리와 함께 있을 것이 확실한 단 한 사람은 다른 그 누구도 아닌 바로 자신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