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삐딱한 예술가들의 유쾌한 철학교실

삐딱한 예술가들의 유쾌한 철학교실

프랑수와 다고네 (지은이), 신지영 (옮긴이)
부키
11,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7개 2,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삐딱한 예술가들의 유쾌한 철학교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삐딱한 예술가들의 유쾌한 철학교실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88960510265
· 쪽수 : 228쪽
· 출판일 : 2008-03-12

책 소개

프랑스의 대학 입학 자격시험 ‘바칼로레아’에 출제된 철학 논제들에 대해 스물두 명의 예술가·지식인들이 형식 및 조건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답했다. 철학이 철학자들의 이름이나 이론 및 개념을 외우는 학문이 아니라, 살아가면서 부딪치는 문제에 대해 비판하고 질문하며 답을 만들어 가는 여정임을 보여 준다.

목차

서문
독서욕을 불러일으키는 머리말
미셸 옹프레와 6문 6답

자연과 문화
조헨 제르네|자연은 풍요로운가?

의식, 무의식, 주체
엠마누엘 바야막 탐|변한다는 것은 다른 사람이 되는 것인가?
파트릭 부베|우리는 자기 자신이 되는 것을 배워야 하는가?

언어, 의사소통
리샤르 모르지에브|사유는 언어의 포로인가?

시간, 존재, 죽음
알베르 자카르|우리에게 미래에 대한 책임이 있는가?

기술
니콜라스 비트코브스키|기술적인 것에 지능이 있는가?

예술과 아름다움
미셸 가지에르|예술 작품은 해석하는 것이 더 나은가?
피에르 부르기아드|아름다움에 대한 정의를 포기해야 하는가?
조안 스파르|자연적인 아름다움이 있다면 예술은 쓸모가 없는가?

이성과 감성
프랑수아 다고네|나는 나의 감각을 믿을 수 있는가?

의견, 지식, 진리
브루스 베구|나는 나의 환상을 벗어 버릴 수 있는가?
마리 도미니크 포플라르|의견을 주장할 수 있는가?
테오 하콜라|진리는 시간에 종속하는가?
마르잔느 사트라피|우리는 다른 사람들의 생각에 신경 쓰지 않고 스스로 사유할 수 있는가?
장 베르나르 푸이|우리는 무엇에 대해 확신할 수 있는가?

논리와 방법
엠마누엘 피에라|증거는 무슨 소용이 있는가?

신화, 과학, 철학
티에리 엔체|실재에 대한 우리의 인식은 과학적 지식으로 한정되는가?

자유
사비에르 듀렝게르|나는 내가 원하는 것을 생각하는 데 있어서 자유로운가?
앙투안 피아자|우리는 우리 자신의 존재로 인해 비난받을 수 있는가?

노동과 교환, 역사
스파클 헤이터|노동이 없는 사회를 생각할 수 있는가?
프랑수아 뮤라테|역사의 흐름을 예측할 수 있는가?

2001년 일반 경쟁 주제
미셸 비토|실재와 실재가 아닌 것을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옮긴이 말

저자소개

프랑수와 다고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조르주 깡귀옘으로 대표되는 프랑스의 의사-철학자의 계보를 잇는 중요한 인물이다. 1924년에 태어나 독학으로 중등교육을 마친 후, 대학에서 철학을 공부하여 철학교사 자격증을 획득했다. 이후 다시 의학을 공부하여 의사가 되었다. 리용대학에 있다가 소르본느 대학의 철학교수로 은퇴했다. <Philosophie biologique>, <Le Catalogue de la vie>, <La Raison et les remede> 등을 비롯하여 의학과 철학의 경계선상에서 작업하며 많은 저서를 남겼다.
펼치기
신지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deleuze.gnu.ac.kr 한국외대 불어과를 졸업하고 대학원 철학과에서 석사학위를, 프랑스 리옹 3대학교에서 들뢰즈의 윤리와 미학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경상국립대학교 철학과에 재직 중이다. 최근 『들뢰즈의 드라마론』((사)한국대학출판협회 선정 2022년 올해의 우수도서), 『들뢰즈의 정치-사회철학, 통제사회에 던지는 질문』(2024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을 쓰고, 들뢰즈의 『대담, 1972~1990』을 번역 출간했다. 『들뢰즈로 말할 수 있는 7가지 문제들』, 『내재성』, 『들뢰즈 개념어 사전』,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 해설과 비판』 등의 저서와 역서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그러나 아름답다는 사실은 거기에 있고, 우리는 그것을 아름답다고 인정한다. (중략) 그런데 내가 나중에야 읽을 수 있었던 당시의 한 작품에서 그는, 자신의 아름다움은 잊고 다른 이들의 아름다움에 매료되었던 시절...예고된 끝을 늦추기 위해 주사 바늘에 시달리면서 병원 이외의 다른 곳에서는 더 이상 약속을 잡을 수 없었던 시절...그 시기가 어땠는지를 이야기하고 있다....그때 그가 아름다움이라는 운명적인 단어를 들을 수 있었던 유일한 순간은, 간호사가 주사 바늘을 꽂기 위해 혈관을 상당히 세게 튀어나오게 하고 나서 "아, 이 혈관은 정말 아름다워!"라고 즐겁게 소리치면서 주사를 놓던 때였다고 적고 있다.
아무리 드물더라도 병에 걸려 의사를 방문할 때면 (병이 치명적이라면 어떻게 의사를 찾아가지 않을 수 있겠는가?) 아름다운 죽음이라는 말을 듣지는 않겠지만 아름다운 혈관, 아름다운 암, 아름다운 종양, 아름다운 내출혈이라는 말을 자주 듣는다.
우리는 이렇게 가장 일상적인 언어 생활에서 아름다움과 가장 모순된 것은 아니더라도 가장 먼 것을 아름다움과 연결 짓고 있다. '태양과 죽음은 똑바로 쳐다볼 수 없다...' 그렇다면 아름다움은? (90~91쪽, '아름다움에 대한 정의를 포기해야 하는가?'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