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88961472128
· 쪽수 : 606쪽
· 출판일 : 2015-03-10
책 소개
목차
한국어판 서문
서문
제1부 군위안소제도에 관한 고찰
머리말
1장 군위안부 문제의 경위와 논점
1절 전후 보상 문제의 등장과 경위
2절 군위안부 문제와 국가책임
1. 일본 정부의 견해와 방침
2. 한국 정부의 입장
3. 일본 “우익”의 주장
4. 군위안부 피해자 및 지원 단체의 주장과 국제 여론
3절 군위안소 문제의 본질
소결
2장 군위안소 정책에 대한 일본 정부·군의 통제 감독 실태
머리말
1절 군위안소 설치에 대한 군부의 인식과 통제 감독
2절 군위안부 징모에 대한 통제 감독
3절 군위안부 이송에 대한 통제 감독
4절 군위안소 운영에 대한 군의 통제 감독
소결
3장 군위안소 설치의 배경
머리말
1절 병사 및 징병 장정들의 성병 실태와 군의 인식
2절 성병 감염 원인에 대한 군의 인식 및 성병 예방 대책
3절 군기 풍기 문제 및 군의 대책
소결
부록
제2부 조선인 군위안부의 형성에 관한 고찰
머리말
4장 조선인 군위안부의 징모와 관련한 식민지기 조선의 경제적 요인
1절 식민지기 조선의 사회 상황─1930년대를 중심으로
2절 식민지기 조선의 경제 상황과 조선 여성의 직업 상황
3절 조선인 군위안부의 징모 시기와 징모 지역 및 출신 계층
4절 조선인 군위안부의 징모 당시의 생활 실태로 본 경제적 요인
1. 농촌 출신 군위안부 피해자의 경우
2. 도시 출신 군위안부 피해자의 경우
소결
5장 조선인 군위안부의 징모와 관련한 식민지기 조선의 사회적 요인
머리말
1절 전시체제라는 시대 상황이 만든 요인
2절 소개업(주선업)이 미친 영향
3절 징모의 간접 요인인 여성 차별 의식이 미친 영향
4절 일본의 징모 사정이 미친 영향
소결
6장 군위안소 관련 업자 및 징모업자의 배출 요인:
조선 접객업의 동향을 중심으로
머리말
1절 접객업에 대한 단속규칙과 경찰의 권한
2절 조선 국내의 일본인 접객업자 및 조선인 접객업자의 업종별 추이
3절 “만주사변” 발발 전후를 중심으로 본 조선 접객업의 실태
4절 중일전쟁 발발 직후를 중심으로 본 조선 접객업의 실태
5절 접객업에 대한 조선총독부의 세금 정책 및 접객업의 실태: 전시체제기를 중심으로
6절 조선인 접객업자를 통해 본 군위안소 경영자로의 전업 동기
소결
7장 조선의 징모 방식과 징모업자의 실태
머리말
1절 인신매매업자의 영리 유괴 실태로 본 조선인 군위안부의 징모 방식: 조선총독부 기관지 『매일신보』의 “유괴” 기사를 통해
2절 조선 국내 징모업자의 실태: 조선인 군위안부 피해자의 증언을 통해
소결
결론
후기
참고 문헌
부록 1 일본군위안부 문제 해결에 대한 한일 정부의 입장과 문제 해결의 궁극적 지향점에 대해서
부록 2 위안부 문제 해결책으로서의 ‘국민기금’의 문제
옮긴이의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