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과 모노노아와레

한과 모노노아와레

(한일 미의식 산책)

박규태 (지은이)
이학사
3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0,600원 -10% 0원
1,700원
28,9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과 모노노아와레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과 모노노아와레 (한일 미의식 산책)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미학/예술이론
· ISBN : 9788961474429
· 쪽수 : 786쪽
· 출판일 : 2024-03-15

책 소개

일본 문화와 사상을 연구하고 그중 국내에서는 드물게도 신사와 신도라는 주제에 천착해온 지은이가 한국과 일본의 미의식을 비교해보겠다는 일념하에 한일 전통미의 현장을 구석구석 찾아다니며 양국의 미학적 개념들을 총망라한 역작이다.

목차

서언: 아름다움의 양면성

1부 한일 미의식과 ‘반대의 일치’
제1장 한국인의 미의식과 ‘반대의 일치’
1. 한국인의 미의식: 한의 변주곡
2. 천연주의와 곡선미
3. 한국적 미의식의 지향점: 불연기연과 ‘모순의 승화’

제2장 일본인의 미의식과 ‘반대의 일치’
1. 일본인의 미의식: 모노노아와레의 변주곡
2. 일본인의 미의식과 이념화된 자연
3. 일본인의 자연관: 텐넨과 시젠, 오노즈카라와 미즈카라
4. 일본적 미의식의 지향점: ‘절대 모순적 자기동일’과 ‘모순의 무화’

2부 한과 모노노아와레
제3장 한과 모노노아와레: ‘모순의 승화’와 ‘모순의 무화’
1. 한 담론과 ‘모순의 승화’
2. 모노노아와레 담론과 ‘모순의 무화’
3. 한과 모노노아와레의 비교

제4장 두 개의 ‘한’과 양면성: 박경리 『토지』와 ‘균형의 미학’
1. 『토지』의 일본론
2. 『토지』 속의 한(1): ‘모순에 대한 슬픔’으로서의 한
3. 『토지』 속의 한(2): ‘생명의 본질에 대한 물음’으로서의 한
4. ‘균형의 미학’

제5장 야나기 무네요시의 비애미와 모노
1. 천의 얼굴의 모노
2. 모노의 민예미: 야나기 무네요시의 모노 이해
3. 조선미의 탄생: 비애미와 모노

제6장 모노노아와레와 감성적 인식론
1. ‘모노노아와레를 아는 것’이란 무엇인가: 주체와 대상의 쌍곡선
2. 감성적 인식론으로서의 모노노아와레론
3. 모노노아와레 공동성: 감정의 제국

제7장 타자론의 관점에서 본 모노노아와레
1. 노리나가 이전의 아와레와 모노노아와레
2. 아와레에서 모노노아와레로: 일본미의 탄생
3. 모노노아와레의 타자론

3부 한국과 일본의 예술
제8장 한국과 일본의 불상 및 건축
1. 석굴암 불상과 광륭사 반가사유상
2. 종묘와 이세신궁

제9장 한국과 일본의 정원
1. 부석사 무량수전과 용안사 돌정원
2. 창덕궁 후원과 소쇄원
3. 가쓰라리큐와 슈가쿠인리큐

제10장 한국과 일본의 문예와 예능
1. 시조와 와카·하이쿠
2. 『춘향전』과 『주신구라』
3. 탈춤과 노

제11장 한국과 일본의 미술
1. 이중섭과 무나카타 시코
2. 민화와 우키요에

4부 한일 도자기의 만남
제12장 한국 도자기의 미학과 일본
1. 고려청자: ‘화이불치’의 푸른 꽃
2. 분청사기: ‘화이부동’의 민중미
3. 조선백자: ‘검이불루’의 선비향

제13장 한일 도자기의 중계자: 규슈의 조선 도공들
1. 규슈의 조선 도공 개관
2. 규슈 북부의 조선 도공과 도자기 마을
3. 규슈 남부의 조선 도공과 도자기 마을

제14장 일본 도자기의 미학과 한국
1. 가키에몬야키·육고요·구타니야키
2. 미노야키와 오리베야키, 교야키와 라쿠야키
3. 이도다완: 일본 속의 조선 도자기를 대표하는 명품 브랜드

5부 한일 미의식의 사상적 밑그림
제15장 한국과 일본의 조화 사상
1. 비교의 정신: 한일 문화의 유사성과 차이
2. 일본형 조화 모델: 「17조헌법」의 화
3. 한국형 조화 모델: 원효의 화쟁
4. 일본형 화와 한국형 화의 접점: 화이부동의 ‘화’를 찾아서

나오는 말: 정신적 균형잡기

후기: 소원 빌기의 아름다움을 위하여
참고 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박규태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종교학과에서 문학석사 학위를, 일본 도쿄대학 대학원 종교학과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양대학교 일본학과 명예교수이다. 주요 저서로 『일본재발견: 일본인의 성지(聖地)를 걷다』(2020), 『현대일본의 순례문화』(2020), 『일본정신분석』(2018), 『신도와 일본인』(2017), 『일본 신사(神社)의 역사와 신앙』(2017), 『포스트-옴 시대 일본 사회의 향방과 ‘스피리추얼리티’』(2015), 『라프카디오 헌의 일본론』(2015), 『일본정신의 풍경』(2009), 『상대와 절대로서의 일본』(2005), 『아마테라스에서 모노노케히메까지』(2001) 외 다수가 있으며, 주요 역서로 『일본문화사』(폴 발리, 2011), 『신도, 일본 태생의 종교시스템』(이노우에 노부타카, 2010), 『국화와 칼』(루스 베네딕트, 2008), 『신도』(스콧 리틀턴, 2007), 『황금 가지 1·2』(제임스 프레이저, 2005), 『세계종교사상사 3』(미르치아 엘리아데, 2005), 『일본 신도사』(무라오카 쓰네쓰구, 1998), 『현대일본 종교문화의 이해』(시마조노 스스무, 1997)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한옥, 사찰 건물, 서원, 정자나 누각 등 한국의 전통 건축은 주변의 자연 풍광을 조금도 압도하지 않는다. 그러기는커녕 자연이라는 큰 그림 속의 작은 점으로 존재하는 듯한 소박한 느낌을 준다. 한옥 안의 사방탁자는 서랍 하나 없는 소박미로 분노에 지친 우리 마음을 편안하게 해준다. 사방탁자뿐만 아니라 모든 조선 목가구는 마치 소소한 자연을 방안에 들여놓은 것처럼 작위의 냄새를 풍기지 않는다. 그래서인가 야나기 무네요시도 중국이나 일본 가구보다 조선 목가구를 최고로 쳤다. 자연을 그림 속에 불러들인 조선 문인화도 그 소박하고 간결한 표현으로 여백의 멋을 보여준다. 분청사기, 막사발, 백자달항아리, 석가탑 등에서도 중국이나 일본에서 느끼기 어려운 한국 특유의 자연 친화적인 소박미를 엿볼 수 있다.


한국인의 미의식은 크게 멋 계열과 한 계열로 대별할 수 있다. 가령 풍류·고졸·파격·비균제 등이 멋의 미의식 계열이라면, 비애·삭임·씻김·흥·신명·흰그늘·해학 등은 한의 미의식 계열에 속한다. 그리고 이 양자를 연결시켜주는 미의식이 천연주의에 토대를 둔 자연미라 할 수 있다.


비유컨대 한국춤은 ‘바람의 몸짓’이다. 그리고 언젠가 『르몽드』지가 비유한 대로 여성 한복은 날개에 가까운 ‘바람의 옷’이다. 일본의 기모노는 한복처럼 휘날리는 옷이 아니다. 한복은 부푼 곡선 안에 자유로움을 품은 채 날고 있다. 이에 비해 기모노는 옷에 허리띠를 여러 번 묶어 입은 사람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한복은 여러 시점에서 하늘을 바라보고 있는 것 같은 자유로움의 미학을 품고 있다. 이에 비해 위에서 아래를 내려다보는 느낌의 기모노는 속박과 질서와 절제의 미학을 보여준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