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88961474436
· 쪽수 : 615쪽
· 출판일 : 2024-04-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서문
서장 근대국학의 방향 모색: 국학에서 민족주의와 과학주의
1. 국수파의 등장
2. 국수 및 국학 개념의 등장
3. 민족주의와 국수파의 운명
4. ‘국고’ 개념을 둘러싼 신구의 대립
5. 국고정리: 호적의 과학주의
제1부 근대국학의 방법과 논쟁
제1장 근대국학의 방법과 목적: 호적의 문헌학과 양계초의 덕성학
1. 신문화운동과 국고정리
2. 국고정리의 의미와 지향
3. 국고정리의 원칙과 방법
4. 국고정리의 실천과 성과
5. 근대국학의 두 방향
제2장 근대적 국학 연구와 ‘제자백가’: 장병린, 호적, 풍우란의 제자백가론
1. 근대 제자백가학의 탄생
2. 장병린의 전통주의
3. 호적의 반전통주의
4. 풍우란의 절충주의
제3장 근대국학과 ‘노자’ 문제: 호적과 양계초, 『고사변』의 노자 토론
1. 양계초의 호적 비판
2. 호적의 ‘노자 조출설’
3. 양계초의 ‘노자 만출설’
4. 『고사변』의 노자 논쟁
5. 미해결로 남은 노자 문제
제2부 호적, 양계초, 풍우란의 국학 연구
제4장 호적의 묵가 연구: 중국 논리학과 과학 사상의 기원
1. 청말-민국 초기의 묵자학
2. 『묵자』 및 묵가 개괄
3. 호적과 묵가 연구의 의의
제5장 호적의 유가 이해: 유학에 대한 굴절된 양가감정
1. 근대국학 형성에서 호적의 위상
2. ‘공교’에 대한 호적의 반응
3. 유학에 대한 호적의 관점
4. 호적과 유교와 자유주의
제6장 양계초의 묵자 연구: 묵가의 윤리학과 정치철학을 중심으로
1. 국학 대가 양계초
2. 양계초의 초기 묵자 연구
3. 후기 양계초의 묵자 연구
4. 왜 묵자인가?
제7장 양계초의 청대 학술 연구: 근대국학과 청대 사상사의 발견
1. 양계초의 ‘청학’ 연구
2. 「근세의 학술」의 청대 학술 정리
3. 『청대학술개론』의 청대 학술론
4. 『중국근삼백년학술사』의 ‘청대 학술’ 연구
제8장 풍우란의 ‘인생철학’: ‘과학과 인생관 논쟁’에 대한 반응
1. 풍우란의 학문 역정
2. 배경으로서 ‘과학과 인생관 논쟁’
3. 풍우란이 보는 ‘인생 문제’
4. ‘인생철학’의 세 가지 길
5. 동정적 이해와 선의의 비평
6. 『인생철학』의 위치
제9장 풍우란과 중국철학의 해석: 철학사의 방법론과 시대구분, 그리고 공자에 대하여
1. ‘중국철학사’의 방법
2. ‘중국철학사’의 시대구분
3. ‘중국철학사’에서 공자의 위치
4. 공자는 구제도의 옹호자인가?
제10장 풍우란의 제자백가 이해: 선진유가와 선진도가의 ‘석고(동정적 이해)’
1. 선진유가와 도덕 경계
2. 풍우란의 맹자 이해
3. 순자와 그 이후의 유가
4. 풍우란의 도가 이해
제3부 국학 연구의 여러 형태
제11장 근대국학과 의고주의: 호적 및 전현동의 고사변위학
1. 고사변파의 성립과 의고주의
2. 호적의 고사변위학 방법과 내용
3. 호적과 ‘고사변파’의 탄생
4. 전현동의 변위학과 고사변파
5. 공자와 육경의 관계
제12장 고힐강과 전목의 국학론: 고사변파의 창설과 전목의 의고주의 극복
1. 고힐강의 학술 생애
2. 누층적 조성설: 의고 변위학의 방법론적 핵심
3. 고힐강와 『고사변』의 출간
4. 전목과 고사변파의 관계
5. 의고를 넘어 전통의 재평가로
제13장 근대국학의 정치화: 국민당파와 공산당파의 국학 연구
1. 전환기의 국학 연구
2. 대계도의 손문주의 전통 해석
3. 도희성과 진립부의 전통 해석
4. 공산당파의 국학 연구
5. 풍우란의 유물사관적 전향
제14장 후외려의 국학 연구: 사회주의 중국과 유물론적 사상사의 정립
1. 학문 역정과 저작
2. 유물사관과 중국 사상사
3. 아시아적 생산방식과 선진 사상사
4. 자본주의 맹아론과 중국적 계몽사조
5. 유물론적 사상사의 의미
종장 경학을 넘어 중국철학사로: 경학의 해체와 근대국학의 탄생
1. 청말 경학 해체의 발단
2. 경학에서 제자백가학으로
3. 서학의 충격과 경학의 몰락
4. 중국철학사 분과의 성립
5. 풍우란 철학사의 방법과 한계
참고 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