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해체와 연속, 근현대 한국의 유학사상

해체와 연속, 근현대 한국의 유학사상

양일모, 김선희, 노관범, 박학래, 엄연석, 박정심, 이용주, 서동일 (지은이)
블루&노트
5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57,000원 -0% 0원
2,850원
54,1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해체와 연속, 근현대 한국의 유학사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해체와 연속, 근현대 한국의 유학사상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철학
· ISBN : 9791185485133
· 쪽수 : 643쪽
· 출판일 : 2023-10-30

책 소개

격변기이자 전환기인 근현대 시기 한국 유학의 사상적 모색과 전개 및 그 함의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책이다. 현재와 미래의 한국 사회를 염두에 두고 유학자들의 다양한 처방을 어떻게 이해하고 평가할 것인지를 10권의 책 속에 담았다.

목차

간행사

머리글

제1장 근대의 도전과 유학계의 대응
제1절 근현대 한국유학사상 연구의 의의와 과제 / 양일모
제2절 서학의 파장과 조선 유학의 대응 / 김선희
제3절 근대 전환기 한국의 개화와 유교 / 노관범

제2장 사상적 모색과 실험
제1절 도학 계열의 동향과 조선 유학의 계승 / 박학래
제2절 서양사상의 유입과 유학계의 대응 / 엄연석
제3절 근대 양명학과 조선학, 그리고 실학의 발견 / 박정심
제4절 근대기 한중 유교의 위기와 ‘공교孔敎’ 운동 / 이용주
제5절 일제강점기 한국 유교계의 도전과 변형 / 서동일

제3장 한국유학의 현재와 전망
제1절 해방 이후 한국유학의 정위定位와 국면들 / 김선희
제2절 한국유학의 미래적 대응과 새로운 가치 지향 / 엄연석

찾아보기

저자소개

이용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철학과 종교학을 공부했으며, 현재 광주과학기술원 AI정책전략대학원에서 윤리학 및 다문화정책을 연구하고 있다. 《이용주의 고전 강독》 시리즈로 『노자 도덕경』, 『주역의 예지』를 출간했다.
펼치기
양일모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자유전공학부 교수 공저로 『해체와 연속 -근현대 한국의 유학사상』, 『일본 학문의 근대적 전환』, 공역으로 『근대중국사상의 흥기 3』이 있고, 논문으로 「한국적 철학사상을 찾아서 -한국의 1세대 철학 교수 박종홍」, 「유교적 윤리 개념의 근대적 의미 전환」, 「한학에서 철학으로 -20세기 전환기 일본의 유교연구」, 「20세기 전후 한국의 언론잡지 기사를 중심으로」 등이 있다.
펼치기
양일모의 다른 책 >
김선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서비교철학 및 한국철학 전공.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예수회의 중국 진출로 시작된 서양 철학과 자연학의 동아시아 전이와 그에 따른 동아시아 학술의 변화를 중심으로 연구 주제를 확장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마테오 리치와 주희 그리고 정약용』, 『하빈 신후담의 돈와서학변』, 『서학, 조선 유학이 만난 낯선 거울』, 『숙종 시대 문명의 도전과 지식의 전환』 등이 있다.
펼치기
박학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립군산대학교 철학과 교수 저서로 『기정진 - 한말 성리학의 거유』, 『근현대 지역공동체 변화와 유교 이데올로기』(공저), 『한국 근대성리학의 성격과 규모』(공저)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근대 이행기 기호 도학 계열 유림의 동향과 현실 대응」, 「노사학파의 형성과 蘆沙學의 계승」, 「면암 최익현의 문인 집단 형성과 전개」, 「연재학파의 형성과 전개」, 「간재학파의 학통과 사상적 특징」 등이 있다.
펼치기
박정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에서 한국철학을 전공하였으며, 「백암 박은식의 철학사상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25년 현재 부산대학교 철학과에 재직 중이며, 한국 근대사상과 유학을 주로 연구해왔다. 근래에는 ‘근대’에 중점을 두되 전근대와 근대 이후로 연구의 지평을 넓혀, 지금 여기에 살고 있는 한국인의 삶을 이해하고 성찰할 수 있는 철학을 고민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근대사상사>(천년의 상상, 2016) <단재 신채호- 조선의 아 비아와 마주서다> (문사철, 2019 세종우수학술도서) <박은식: ‘양지’로 근대를 꿰뚫다> (학고방, 2021 세종우수학술도서)가 있다. 『한국철학사: 16주제로 읽는 한국철학』(새문사, 2009) 『한국철학사상사』(심산, 2003) 『한국실학사상사』(심산, 2008) 『동아시아 개념연구 기초문헌 해제 Ⅲ』(선인, 2015) 『동아시아지식학의 세계를 열다』(부산대학교 출판문화원, 2021) 『해체와 연속, 근현대 한국의 유학사상』( 블루앤노트, 2023) 등의 공저와, 『역주 호락논쟁 1』(학고방, 2009) 『역주 호락논쟁 2』(학고방, 2009) 등의 역서 및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엄연석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교수 저서로 『조선전기경학사상총론』, 『조선경학의 문화다원론적 이념과 실천』, 『조선전기역철학사』가 있고, 논문으로는 「황윤석의 이수신편에 나타난 이수역학의 문화다원론적 독해」, 「여헌 역학 사상의 경위설과 분합론의 도덕실천적 의미」, 「유학 경전 속의 ‘열락’에 대한 심미적 이해와 정치적 교화」 등이 있다.
펼치기
노관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K교수 저서로 『고전통변』, 『기억의 역전』, 『백암 박은식 평전』, 『껍데기 개화는 가라』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개화와 수구’는 언제 일어났는가」, 「대한제국기 진보 개념의 역사적 이해」, 「1880년대 金昌熙의 經世思想」 등이 있다.
펼치기
서동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학교 사학과와 대학원(석사과정),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박사과정)을 졸업하고, 2021년 현재 국가보훈처 학예연구사, 건국대학교 사학과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근현대사학회 연구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초기에는 파리장서운동을 비롯해 1910~20년대 유교계 독립운동에 관심을 가졌고, 최근에는 근대 유림의 국외 이주와 지적 전환, 식민지기 국내 신지식인층의 유교 비판과 유림의 조직화, 근대 한인의 일상생활과 유교 문화 등에 주목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식민지기 유림대회의 출현과 지방의 유교권력」(2019), 「중앙사와 국가주의의 틀을 넘어-2010년대 3.1운동 연구경향-」(2018), 「1910년대 한인의 안동 이주와 접리수 한인촌 설립」(2015), 「성주 사도실 마을의 창씨 실태와 유림 김창숙의 반대 논리」(2014), 「1919년 파리장서운동의 전개와 역사적 성격」(2009, 박사학위논문)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