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문화 이론 : 사회학적 접근

문화 이론 : 사회학적 접근

필립 스미스, 알렉산더 라일리 (지은이), 한국문화사회학회 (옮긴이)
이학사
29,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6,820원 -10% 0원
1,490원
25,330원 >
26,820원 -10% 0원
카드할인 10%
2,682원
24,138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문화 이론 : 사회학적 접근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문화 이론 : 사회학적 접근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61474627
· 쪽수 : 567쪽
· 출판일 : 2025-02-10

책 소개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전 세계 대학에서 교재로 굳건하게 자리잡은 『문화 이론』의 개정판으로, 출간 후 평단과 대중의 상당한 환호를 받은 초판을 전면적으로 개정하고 확장한 것이다. 담론의 연속성을 유지하면서도 혁신을 담아낸 좋은 문화 이론 개론서가 될 것이다.

목차

초판 머리말: 이 책에 대하여
개정판 머리말
감사의 글

서론: 문화란 무엇인가? 문화 이론이란 무엇인가?
1장 고전 사회 이론에서의 문화
2장 탈코트 파슨스의 연구에서 문화와 사회통합
3장 서구 맑스주의: 이데올로기로서의 문화
4장 상징적 상호작용론, 현상학, 민속방법론의 행위로서 문화
5장 뒤르케임주의자들: 의례, 분류체계 그리고 성스러운 것
6장 구조주의와 기호학적 문화 분석
7장 포스트구조주의적 전환
8장 문화, 구조 그리고 행위 수행: 통합을 위한 세 가지 시도
9장 영국 문화연구
10장 문화의 생산과 수용
11장 텍스트로서의 문화: 서사와 해석학
12장 문화와 자아에 대한 정신분석적 접근들
13장 포스트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티에 대한 문화 분석
14장 포스트모던과 포스트구조주의 비판이론
15장 인종과 젠더에 대한 문화 이론들
16장 문화 이론에서의 몸

참고 문헌
옮기고 나서
개정판을 옮기고 나서
찾아보기

저자소개

알렉산더 라일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버크넬대학의 부교수다. 『신 없는 지식인?: 뒤르케임주의 사회학과 포스트구조주의는 어떻게 성스러움에 대한 지적인 추구를 되살렸나Godless Intellectuals?: How Durkheimian Sociology and Poststructuralism Reinvented the Intellectual Pursuit of the Sacred』(2008)를 썼다.
펼치기
필립 스미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25년 현재 예일대학 사회학과 교수이자 같은 대학 문화사회학연구소Center for Cultural Sociology의 부소장으로 있다. 주요 관심 분야는 사회 이론, 문화 이론, 문화사회학, 범죄학이다. 그는 후기 뒤르케임주의 전통을 따라 상징적 코드, 서사, 분류체계, 도덕, 의례가 사회적 삶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지, 더 나아가 그것들이 갈등, 정체성, 행위를 어떤 방식으로 구조화하는지 분석하는 데 힘을 쏟아왔다. 주요 저서로는 『왜 전쟁인가?: 이라크, 걸프전, 수에즈의 문화 논리Why War?: The Cultural Logic of Iraq, the Gulf War and Suez』(2005), 『처벌과 문화Punishment and Culture』(2008)가 있고, 엮은 책으로는 『캠브리지출판사의 뒤르케임 안내서The Cambridge Companion to Durkheim』(2005, 제프리 알렉산더 공편)와 『신미국 문화사회학The New American Cultural Sociology』(1998)이 있다.
펼치기
한국문화사회학회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의 문화사회학자들이 “문화 연구의 사회학화”를 위해 2005년 한국사회학회 분과 학회로 창립하였다. 한국문화사회학회는 사회학 전통에 풍부하게 내장된 문화 연구의 전통을 되살려, 갈수록 문화화되는 사회적 현실을 탐구할 수 있는 적실한 연구 기획으로 발전시키고자 노력하고 있다. 동시에 개별적으로 이루어졌던 연구 관행을 넘어 문화 연구자들 사이의 학문적·정서적 연대를 창출할 수 있는 의례적 시공간을 만들어가고 있다.
펼치기
한국문화사회학회의 다른 책 >

책속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