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한국고대사 일반
· ISBN : 9788961875141
· 쪽수 : 377쪽
· 출판일 : 2019-12-30
목차
권은주 박은식의 역사 저술에 보이는 역사관과 한국 고대 북방사 인식
Ⅰ. 머리말 18
Ⅱ. 역사 ‘국혼’론의 형성 21
Ⅲ. ‘대동’ 개념의 변화 34
Ⅳ. 한국 고대 북방사 인식 43
Ⅴ. 맺음말 59
김영수 신채호와 대한제국의 전근대사 인식
- 신채호의 저서와 고종시대 관찬기록의 전근대사 비교를 중심으로
Ⅰ. 머리말 64
Ⅱ. 고종시대 관찬기록의 전근대사 인식 70
Ⅲ. 신채호 저서의 전근대사 인식 82
Ⅳ. 맺음말 96
김선숙 장도빈(1888~1963)에 나타난 한국고대사 계승 인식
- 고조선·고구려·발해를 중심으로
Ⅰ. 머리말 104
Ⅱ. 광복 이전 저술에서의 고조선·고구려·발해 계승 인식 106
Ⅲ. 광복 이후 저술에서의 고조선·고구려·발해 계승 인식 120
Ⅳ. 맺음말 133
임상선 안확(1886~1946)의 저술에 나타난 한국고대사 계승 인식
Ⅰ. 머리말 140
Ⅱ. 조선사와 조선민족에 대한 왜곡되고 그릇된 학설 144
Ⅲ. 상고 소분립 정치시대에 대한 인식 149
Ⅳ. 중고 대분립 정치시대 전기에 대한 인식 159
Ⅴ. 중고 대분립 정치시대 후기에 대한 인식 170
Ⅵ. 맺음말 178
최보영 정인보의 『조선사연구』에 나타난 한국고대사 계승 인식
Ⅰ. 머리말 188
Ⅱ. 정인보의 생애와 학술·저술 활동 191
Ⅲ. 한국고대사 체계화와 민족의식 196
Ⅳ. 일제의 역사왜곡 비판 208
Ⅴ. 맺음말 217
한상준 계봉우(1880~1959)의 생애와 한국고대사 연구
Ⅰ. 머리말 224
Ⅱ. 북우 계봉우의 생애와 활동 226
Ⅲ. 계봉우의 역사저술 232
Ⅳ. 계봉우의 한국고대사 인식 235
Ⅴ. 결론 241
박인호 황의돈(1890~1964)의 한국고대사 인식과 역사 계승 인식
Ⅰ. 머리말 246
Ⅱ. 황의돈에 대한 연구 동향 248
Ⅲ. 황의돈의 저술 251
Ⅳ. 황의돈의 한국고대사 인식 265
Ⅴ. 황의돈의 역사 계승 인식 275
Ⅵ. 맺음말 287
우성민 근현대 한중 역사교과서에 나타난 고구려·발해 역사인식
Ⅰ. 머리말 296
Ⅱ. 대한제국 시기 역사교과서의 고구려·발해 서술과
역사인식 303
Ⅲ. 조선총독부 역사교과서의 고구려·발해 서술과
역사인식 315
Ⅳ. 청말 및 민국 시기 중국 역사교과서의
고구려·발해 서술과 역사인식 321
Ⅴ. 맺음말 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