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고고학
· ISBN : 9788961940320
· 쪽수 : 257쪽
· 출판일 : 2013-06-27
책 소개
목차
서론
제1장 고고학이란 어떤 학문인가?
저술의 목표/ 고고자료의 범주/ 고고자료의 독특한 성격
고고자료와 골동품ㆍ미술품과의 비교/ 사회적으로 결정된 인간 행위
발명과 사회/ 고고자료의 보존 여건
스큐어모프(skeuomorphs) / 분류의 3가지 기준
제2장 고고학의 역사
자연과학적 전통/ 인문학적 전통/ 톰젠의 삼시대법/
모르티에의 시기 구분
문화의 개념
제3장 고고학의 주요 개념
공반관계와 동시성/ 문화를 규정하는 기준/ 표준화석의 사용
형식의 개연성/ 표준화석은 고고학 연구의 방편일 뿐
제4장 고고자료의 기능 유추
인간의 욕구와 실현 수단의 기능에 대한 유추 가능성
민족지와 민간전승을 통한 기능ㆍ적응의 유추
민족지 유추, 정신분석학 등에 의한 정신문화 유추의 한계
제5장 상대편년의 설정
고고학에서의 시간/ 층위학과 그에 근거한 상대편년의 설정
형식학적 연대 설정/ 형식학과 표준화석의 이용
통계적 분석 방법과 그 적용의 한계
무덤ㆍ퇴장유구 출토 일괄유물의 편년 설정
제6장 시간의 구분
삼시대법의 비판 / 현행 시기명명법의 여러 문제
자연수에 의한 시기명 / 동시성의 확정 / 절대연대의 규정
제7장 분포권의 구획
형식적 차이, 분포적 분류, 그리고 고고학적 문화
분포도의 분석과 의미 파악 / 문화를 규정하는 표지형식
변종과 별종 / 행동 패턴을 파악하기 위한 체크리스트
사회집단의 구분
제8장 문화의 변동
분포의 변화와 문화의 변동/ 계통과 분화
집중ㆍ동화현상과 잡종문화 / 전파와 자생
제9장 고고학의 지향점
형식증가와 진보/ 사고의 진보와 세계의 성장
진화주의자의 공상 이론, 전파주의자의 비현실적 주장
선사ㆍ고대인의 인식에 접근하기
역자 후기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