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현대철학 > 현대철학 일반
· ISBN : 9788961953122
· 쪽수 : 448쪽
· 출판일 : 2023-01-16
책 소개
목차
한국어판 지은이 서문 6
서론 14
1장 프로메테우스주의 27
1. 골드스미스에서의 브라지에 29
2. 브라지에의 허무주의 40
3. 앞에 놓인 길 95
2장 생기론적 관념론 140
1. 골드스미스에서의 그랜트 142
2. 그랜트의 『셸링 이후의 자연철학』 157
3. 관념론의 한 가지 새로운 의미 189
3장 객체지향 존재론 235
1. 골드스미스에서의 OOO 236
2. 물러서 있는 것 269
3. 객체와 그 성질들 280
4. 대리적 인과관계 285
5. 미학의 매우 중요한 지위 297
4장 사변적 유물론 313
1. 골드스미스에서의 메이야수 315
2. 메이야수의 『유한성 이후』 341
3. 『신의 비현존』을 훑어보기 391
결론 : 사변적 실재론의 두 가지 축 418
참고문헌 425
인명 찾아보기 434
용어 찾아보기 440
책속에서
2007년 런던대학교 골드스미스 칼리지에서 사변적 실재론이라는 철학 운동을 낳은 워크숍이 개최된 이후로 거의 한 세대가 지나고 있다. 그리하여 우리는 지금까지 드러난 그 운동의 성공과 한계를 평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것을 신흥 청년 세대의 철학적 작업과 대조할 수 있게 되었다.
― 한국어판 지은이 서문
최초의 SR 집단은 그다지 오랫동안 지속되지 않았고, 오늘날 그 구성원 중 일부 사이에서는 철학적 견해가 뚜렷이 불일치할뿐더러 심지어 개인적 불화도 존재한다. ... 내가 알고 있는 한에서 메이야수가 두 번째 모임에 참석하지 않은 이유는 그가 SR의 명칭에 내장된 실재론보다 자신의 입장에 내장된 유물론을 강조하기를 원했기 때문이다. 훨씬 더 큰 한 가지 쟁점은 SR의 브라지에 진영과 나 자신의 진영 사이에 극명한 대립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그 결과 오늘날 브라지에는 자신이 사실상 ‘사변적 실재론’이라는 명칭을 고안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명칭조차도 거부하게 되었다.
― 서론
브라지에가 과학의 인지적 우월성을 그토록 확신한다면, 그는 소크라테스가 언제나 적당한 거리를 유지한 자연주의적인 유사지식에 공헌하기 위해 소크라테스적 철학을 강탈하기보다는 오히려 과학에서 경력을 쌓음으로써 자신의 관심사를 더 잘 충족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 1장 프로메테우스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