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트렌드/미래전망 > 트렌드/미래전망 일반
· ISBN : 9788962603484
· 쪽수 : 395쪽
· 출판일 : 2012-02-29
책 소개
목차
이 책의 탄생배경_ 10년 후 나와 우리 아이는 어떻게 먹고 살 것인가?
서문_ 준비하고 열망하면 그것이 미래가 된다
1부_ 미래를 바꿀 다섯 가지 힘
1장 2025년을 뒤바꿀 힘
기술발전이 만든 스마트 세상|세계화의 명암|인구통계와 수명증가|요동치는 사회|화석연료의 종말|일의 미래에 대한 나만의 이야기 만들기
2부_ 파편화와 고립, 소외가 만들어낸 암울한 미래
2장 3분이 한계인 세상
연중무휴의 삶|1990년 어느 직장인의 하루|생각하지 않는 사람들|무엇이 집중을 방해하는가|산산조각 난 일상 이어붙이기
3장 외로움에 익숙한 사회
병원에 출근하지 않는 외과의사|혼자 일하는 컴퓨터 전문가|허물없는 동료가 있던 1990년의 어느 날|편안한 동료관계의 실종|가족의 붕괴|고립은 어디에서 시작되었나|행복이 사라진 사회
4장 빈곤과 불평등에 무감각한 사람들
순식간에 경쟁에서 밀려나다|변화하는 소외의 축|승자독식 사회의 눈물|불안감과 수치심의 증가|과시형 인간의 홍수|소외의 법칙|어둠에 휩싸인 미래
3부_ 협력과 참여, 창조가 만들어낸 밝은 미래
5장 함께 생각하면 크게 바뀐다
아무 대가 없이 재능을 공유하는 사람들|경쟁만이 존재하던 과거|협력이 만든 현명한 해결책|50억 명을 끌어모은 힘
6장 연봉보다 중요한 것을 찾는 사람들
봉사, 남이 아닌 나를 위한 삶|글로벌 의식 확산|일과 생활의 균형|참여와 공감은 어떻게 시작되었나
7장 정년퇴직, 그게 뭔가요?
활력 넘치는 70대 1인 기업가의 하루|수십억 개의 소기업 탄생과 인터넷 빅뱅|나이와 생각의 한계를 허문 힘
4부_미래를 위한 세 가지 터닝포인트
8장 평범한 제너럴리스트 vs. 유연한 전문가
일반 지식과 기술의 한계|중요한 것은 깊이다|가치 있는 능력의 비밀|미래에 주목받을 경력과 기술|좋아하는 일을 하라|전문성 갖추기|일탈과 변형을 통한 유연성 확보|변형의 규칙|자신만의 고유성을 지녀라|길드와 커뮤니티의 중요성|미래형 경력 곡선 그리기
9장 불행한 싸움꾼 vs. 현명한 해결사
나만의 네트워크, 수색대를 구성하라|대규모 아이디어 집단의 놀라운 힘|휴식과 활력을 주는 공동체|믿음직한 내 편 구하는 법|현명한 조언을 얻기 위한 세 가지 방법|몸과 마음에 꼭 맞는 공동체 찾기
10장 탐욕스러운 소비자 vs. 열정적인 생산자
고액 연봉과 소비를 추구하던 시대|소비가 주는 행복과의 작별|돈과 지위, 그 낡은 잣대|사회적 우월감의 이면|생산적인 경험을 목표로 삼아라|선택과 희생의 딜레마|나만의 일의 미래|보다 나은 내일로 이동하라
5부_ 가까이 있는 분명한 미래, 2025년을 준비하라
11장 변화는 이미 시작되었다
우리 아이의 특별한 미래|기업의 생존을 좌우할 CEO의 선택|번영을 가져올 정치인의 결단
감사의 말
미래를 준비하기 위한 추가 학습
주석
참고문헌
리뷰
책속에서
경영대학원 교수이자 30년 동안 여러 기업의 자문 역할을 맡아온 나는 일을 행하는 이유와 방식에 관한 전문가라고 자부한다. 그러나 분주했던 그날 아침, 일의 미래에 대해 적어도 한 가지 관점 정도는 필요하다는 생각이 뇌리를 때렸다. 문제는 내 관점에 있었다. 오랫동안 기업에 전문적 의견을 제공하고 직장생활을 연구해왔지만, 그날 아침 아이들의 미래 설계에 도움을 줄 만한 것이라고는 비참할 정도로 구식인 데다 초라하고 불완전한 ‘단편적’ 데이터로 이루어진 설익은 가정들뿐이었다.
2025년에 나는 무엇을 하고 있을까? 아침 10시에 어떤 업무를 하고 있을까? 점심시간에 누구를 만나고 있을까? 어떤 업무를 수행하고 있을까? 2025년에는 어떤 능력이 가장 높은 평가를 받고 중요하게 여겨질까? 나는 어디에서 살고 있을까? 내일이 가족생활이나 교우관계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까? 내게 월급을 주는 사람은 누구일까? 나는 언제 은퇴하게 될까?
기술은 경제성장의 주요 원동력으로서 세계의 인구 규모, 인간 수명, 교육 가능성에 큰 영향을 미쳐왔다. 앞으로 기술 변화는 일상적인 업무 속성과 의사소통 방식을 계속 바꿔 나가 보다 심층적, 간접적인 방식으로 직장생활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다른 사람들과 함께 일하는 방식, 동료에 대한 기대치, 심지어 도덕성과 인간성에 대한 시각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