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문제 > 빈곤/불평등문제
· ISBN : 9788962800258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17-03-06
책 소개
목차
한국의 독자들에게
들어가면서
1.불평등의 탄생: 사회는 왜 하나같이 불평등한가?
2.부와 힘의 분배: 빈자와 부자는 어떻게 공존해야 하는가?
협상은 필수다 ∙ 협상의 역사와 역동성에 대하여
3.불평등의 역사: 세상의 변화는 어떻게 불평등을 낳았는가?
원초적인 권력욕의 산물 ∙ 초기 인류의 삶에서 드러난 흔적 ∙ 생존을 위한 투쟁이 벌어졌던 역사시대 ∙ 중세, 격동의 시대 ∙ 21세기 자본이 만든 거대한 차이 ∙ 불평등의 이론과 실제 ∙ 역사가 주는 힌트
4.협상의 중요성: 내 손에 든 것으로 무엇을 요구할 것인가?
가장 기본적인 협상 ∙ 협상에 대한 내쉬의 해법 ∙ 협상게임의 역동성이 낳는 균열 ∙ 모형과 실물 ∙ 현실과 당위를 잇는 가교(架橋)
5.불안정의 안정화: 정치는 협상의 기제를 극복할 수 있는가?
라이트 형제의 비행에 숨겨진 진리 ∙ 불확실한 세상 속 ‘안정’을 찾다
6.사회계약으로의 회귀: '모두를 위한 합의'는 존재하는가?
사회계약의 시초 ∙ 근대 사상가들이 바라본 사회계약 ∙ 자유주의자들의 반응 ∙ 루소의 해석 ∙ 개인과 집단의 관계에 대하여 ∙ 근대 분석 이론 ∙ 진짜 이야기의 시작
7.자유주의와 불평등: 사회는 개인의 능력과 노력을 존중하는가?
자유주의의 기본에 대하여 ∙ 안정적인 평형 상태의 부재 ∙ 정당성의 문제 ∙ 자유주의와 재분배의 정치 ∙ 서로 다름의 가치
8.보수주의와 불평등: 관습은 누구의 손을 들어주는가?
현상 유지를 위한 제도의 필요성 ∙ 정당성 확보를 위한 도구 ∙ 종교적 근거1. 힌두교 ∙ 종교적 근거2. 그리스도교 ∙ 종교적 근거3. 이슬람교 ∙ 현상 유지를 위한 세속적 토대 ∙ 재분배에 대한 회의론
9.사회민주주의와 불평등: 시장은 신뢰를 회복할 수 있는가?
균형을 되찾는 방식의 차이 ∙ 세 가지 분배 전략 ∙ 신뢰의 수준이 가지는 의미 ∙ 앞으로 우리가 해야 할 일
나오면서
주note
색인index
리뷰
책속에서
이 책에서 중점적으로 논의되는 사항 가운데 하나가 바로 불평등은 필연적이라는 사실입니다. 인류의 역사는 기본적으로 불평등의 역사이고, 경제가 발달할수록 불평등은 더욱 심화되는 경향을 보입니다. 그러나 역사는 불평등이 심화된다는 일반적인 양상을 거듭 확인해주는 동시에, 그러한 난국에서 벗어날 방법을 제시하기도 합니다.
-‘한국의 독자들에게’ 중
그렇다면 여기서 제기해야 할 핵심적인 의문은 “왜 사회는 하나같이 불평등한가?”입니다. 그리고 이에 논리적으로 뒤따르는 의문은, “불평등은 정치적으로 조정가능한가?”입니다. 보수주의자는 불평등은 거의 모든 사회에서 보이는 공통적인 특성이라는 이유 때문에 운, 소득, 자산의 분배에 인위적인 영향을 미치는 일을 삼가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이는 섣부른 결론입니다. 불평등을 완전히 제거하지는 못하더라도, 불평등의 수준과 그 구조와 정도는 정치적으로 조정할 여지가 있을지 모르며, 그렇게 함으로써 불평등의 수준과 정도를 합리적인 한도 내에 유지할 수 있을지 모릅니다.
-‘불평등의 탄생’ 중
정치적 논의의 일환으로서 명심해야 할 점은, 사회 체계가 바람직한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관리해주는 정책이나 제어 장치는 절대로 완벽하지 않다는 사실입니다. 체계는 항상 여러 가지 이유로 오작동할 위험에 노출되어있고 설계상의 결함 때문에 이러한 오작동을 완전히 제거하기란 불가능한 일입니다. 또 어떤 오작동을 관리하기 위해 개발된 장치는 그러한 오작동이 나타나야 비로소 작동합니다. 마찬가지로, 협상 과정의 불안정성에서 비롯되는 불평등의 효과를 줄이기 위해 분배 정책을 수립할 수는 있지만, 정책이 그러한 불평등 효과를 완전히 제거하지는 못하며 그러려고 해서도 안 됩니다.
-‘불안정의 안정화’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