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전시의 전시

전시의 전시

국립현대미술관, 임대근, 이보경, 김동일, 이지희, 양지연 (지은이)
국립현대미술관
3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전시의 전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전시의 전시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도록
· ISBN : 9788963033556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23-03-29

책 소개

본 도록은 국립현대미술관의 과거 전시 중 ‘기념’ 관련 전시를 재조명하여 전시의 목적, 기능, 역할 등 미술관 전시를 폭넓게 이해하고자 기획된 국립현대미술관 청주 『전시의 전시』에 관한 내용을 수록한다.

목차

발간사
04 《전시의 전시》를 개최하면서─윤범모

기획의 글
06 전시를 전시한다는 것─김유진

전시의 전시_기술
25 국립현대미술관 전시 1986-2023
43 미술관 전시-드러난 평가─임대근
69 큐레이터, 전시기획자로서 역할과 의미 변화─이보경
89 기념 의례로서의 전시─김동일
107 전시를 기록하기, 기록을 전시하기─이지희
117 전시는 무엇을 변화시키는가-미술관 전시의 재성찰─양지연

전시의 전시_기념
131 전시의 전시
183 별 헤는 날: 나와 당신의 이야기
201 내가 사랑한 미술관: 근대의 걸작
221 신호탄
235 한국미술 100년(1부)

전시의 전시_전시 이후
큐레이터 인터뷰
259 별 헤는 날: 나와 당신의 이야기─이추영, 김유진
285 내가 사랑한 미술관: 근대의 걸작─김인혜, 심지언
319 신호탄─기혜경, 정필주
343 한국미술 100년(1부)─김현숙, 김유진

359 ‘전시’를 주제로 한 대화형 인공지능 ChatGPT와 대화
370 작품목록

저자소개

국립현대미술관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69년 경복궁에서 개관한 국립현대미술관은 이후 1973년 덕수궁 석조전 동관으로 이전하였다가 1986년 현재의 과천 부지에 국제적 규모의 시설과 야외조각장을 겸비한 미술관을 완공, 개관함으로써 한국 미술문화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 1998년에는 서울 도심에 위치한 덕수궁 석조전 서관을 국립현대미술관의 분관인 덕수궁미술관으로 개관하여 근대미술관으로서 특화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리고 2013년 11월 과거 국군기무사령부가 있었던 서울 종로구 소격동에 전시실을 비롯한 프로젝트갤러리, 영화관, 다목적홀 등 복합적인 시설을 갖춘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을 건립·개관함으로써 다양한 활동을 통해 한국의 과거, 현재, 미래의 문화적 가치를 구현하고 있다. 또한 2018년에는 충청북도 청주시 옛 연초제조창을 재건축한 국립현대미술관 청주를 개관하여 중부권 미술문화의 명소로 자리잡고 있다. 배명지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
펼치기
양지연 (옮긴이)    정보 더보기
동덕여자대학교 큐레이터학과 교수다. 학부에서 동양화를, 대학원에서 예술경영학을 전공하고 미술관과 미술 경영, 정책 분야에서 연구와 교육, 기획 및 평가에 참여하고 있다. 『큐레이팅을 말하다』(2019), 『Museums of Language and the Display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2021), 『사례로 본 한국 예술경영』(2021)을 함께 썼으며, 「미술관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탐색적 연구: 서울시립미술관 전시 사례를 중심으로」(2022), 「뮤지엄과 대중참여: 크라우드소싱 기반 전시기획의 실천과 전망」(2018)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현재 서울시립미술관과 경기도미술관, 국립한글박물관의 운영자문위원이며 한국문화교육학회와 한국예술경영학회 회장으로 활동했다.
펼치기
김동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구가톨릭대학교 글로벌문화콘텐츠학과 교수다. 서강대학교 사회학과 학부, 석사, 박사 과정을 졸업했다. 한국사회학회 논문상(2009), 월간미술대상 학술평론 부문(2011)을 수상했다. 『상징투쟁의 사회학』이 2021년 대한민국학술원 사회과학 분야 우수학술도서에 선정되었다. 예술 현상을 사회학적으로 개념화하는 작업에 관심을 두고 있다. 부르디외를 중심으로 하우저, 단토, 라투르 등이 서로 교차하는 지점에서 비평적 글쓰기를 수행하고 있다.
펼치기
임대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서양화과, 동대학원 미술이론과를 졸업하고 멜버른대학 미술사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1997년부터 현재까지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전시 기획 업무를 주로 담당하며 ≪멀티플/다이얼로그∞≫(2009), ≪무제≫(2015), ≪균열≫(2018), ≪박이소: 기록과 기억≫(2018), ≪MMCA 현대차 시리즈 2019: 박찬경-모임≫(2019), ≪가면무도회≫(2022) 등을 기획했다. 현재 국립현대미술관 과천의 전시 업무를 총괄하고 있다.
펼치기
이보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프랑스 파리8대학에서 논문 〈예술을 전시하는 예술: 스펙따악뙤흐의 발명(L’Art d’exposer l’art : Invention du spectacteur)〉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포항시립미술관 학예연구팀장으로 일하고 있으며, 대전시립미술관 학예사, 포항시립미술관 학예사 등을 역임했다. 《우리는 어디로 가야 하는가》(2023), 《한국근현대미술: 봄이 와있었다》(2021), 《리믹스》(2020), 《포에틱 딕션》(2019), 《장두건 탄생 100주년 기념전, 삶은 아름다워라!》(2018), 《프로젝트 대전 2014: 더 브레인》(2014) 등의 전시를 기획했다.
펼치기
이지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13년부터 국립현대미술관 아키비스트로 일하며 2013년 과천관 미술연구센터, 2014년 서울관 디지털정보실 개관을 준비했다. 국립현대미술관 역사에 관한 기록물 약 30만 점을 구축했으며, 아카이브 관리시스템(AMS, IAMS) 등 아카이브 이용과 관련된 여러 플랫폼을 만들고 있다. 서울관 개관기념 아카이브 전시(2013) 및 과천관 30주년 기념 《기억의 공존》(2016-18) 전시와 출판, 〈다다익선〉 재가동 기념 《다다익선: 즐거운 협연》(2022)을 기획했다. 아카이브가 생산자의 영역에서 이용자의 영역으로 가기까지의 전과정을 체계화하는데 관심을 두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전시를 전시한다는 것은 이미 보여졌던 전시를 다시 펼쳐 보이거나 혹은 전시의 과정과 부산물 등 전시 자체를 구성하는 여러 요소들을 꺼내 보인다는 의미이다. 과거의 전시를 다시 살펴봄으로써 변화된 시점과 맥락에서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을 열고, 하나의 전시를 만들기 위한 과정과 남겨진 기록들, 전시에 참여한 다양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는 것은 전시를 보다 폭넓게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이다.
- 김유진, 「전시를 전시한다는 것」


미술관의 가장 본질적인 기능은 가치에 대한 판단이라고 할 때, 작품소장, 교육, 전시 등 모든 활동은 같은 판단에 근거한 서로 다른 양상이라고 볼 수 있다. 그중에서도 가장 겉으로 드러나는 형식이 전시다. 즉 이 전시들을 통하여 미술관은 끊임없이 평가하고 그 평가를 공유하고 다시 그 평가에 대한 평가를 받는 과정을 되풀이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 임대근, 「미술관 전시-드러난 평가」


큐레이터 역할을 전시기획자의 행위로 정의한다면, 전시를 만드는 실천 자체를 묘사하는 ‘전시제작자’(Ausstellungsmacher)부터 제조, 생산 역할을 강조하는 ‘프로듀서’(Producer), 전시 개념, 의미를 창조하는 ‘개념가’(Conceptor), 전시에서 소비되는 각 요소를 구성하고 편성하는 ‘조직자’(Organizer) 혹은 각 요소를 조화롭게 짜깁는 ‘작곡가’(Composer), 전시의 모든 진행 상황을 통제하는 ‘기획자’(Commissaire) 등등까지 다양하다. 나열한 각각의 명칭은 전시를 기획하고 구현하는 일을 어떻게 접근하느냐에 따라 논의할 수 있는 큐레이터 역할에 관한 입장이다.
- 이보경, 「큐레이터, 전시기획자로서 역할과 의미 변화」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