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도록
· ISBN : 9788963033556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23-03-29
책 소개
목차
발간사
04 《전시의 전시》를 개최하면서─윤범모
기획의 글
06 전시를 전시한다는 것─김유진
전시의 전시_기술
25 국립현대미술관 전시 1986-2023
43 미술관 전시-드러난 평가─임대근
69 큐레이터, 전시기획자로서 역할과 의미 변화─이보경
89 기념 의례로서의 전시─김동일
107 전시를 기록하기, 기록을 전시하기─이지희
117 전시는 무엇을 변화시키는가-미술관 전시의 재성찰─양지연
전시의 전시_기념
131 전시의 전시
183 별 헤는 날: 나와 당신의 이야기
201 내가 사랑한 미술관: 근대의 걸작
221 신호탄
235 한국미술 100년(1부)
전시의 전시_전시 이후
큐레이터 인터뷰
259 별 헤는 날: 나와 당신의 이야기─이추영, 김유진
285 내가 사랑한 미술관: 근대의 걸작─김인혜, 심지언
319 신호탄─기혜경, 정필주
343 한국미술 100년(1부)─김현숙, 김유진
359 ‘전시’를 주제로 한 대화형 인공지능 ChatGPT와 대화
370 작품목록
저자소개
책속에서
전시를 전시한다는 것은 이미 보여졌던 전시를 다시 펼쳐 보이거나 혹은 전시의 과정과 부산물 등 전시 자체를 구성하는 여러 요소들을 꺼내 보인다는 의미이다. 과거의 전시를 다시 살펴봄으로써 변화된 시점과 맥락에서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을 열고, 하나의 전시를 만들기 위한 과정과 남겨진 기록들, 전시에 참여한 다양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는 것은 전시를 보다 폭넓게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이다.
- 김유진, 「전시를 전시한다는 것」
미술관의 가장 본질적인 기능은 가치에 대한 판단이라고 할 때, 작품소장, 교육, 전시 등 모든 활동은 같은 판단에 근거한 서로 다른 양상이라고 볼 수 있다. 그중에서도 가장 겉으로 드러나는 형식이 전시다. 즉 이 전시들을 통하여 미술관은 끊임없이 평가하고 그 평가를 공유하고 다시 그 평가에 대한 평가를 받는 과정을 되풀이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 임대근, 「미술관 전시-드러난 평가」
큐레이터 역할을 전시기획자의 행위로 정의한다면, 전시를 만드는 실천 자체를 묘사하는 ‘전시제작자’(Ausstellungsmacher)부터 제조, 생산 역할을 강조하는 ‘프로듀서’(Producer), 전시 개념, 의미를 창조하는 ‘개념가’(Conceptor), 전시에서 소비되는 각 요소를 구성하고 편성하는 ‘조직자’(Organizer) 혹은 각 요소를 조화롭게 짜깁는 ‘작곡가’(Composer), 전시의 모든 진행 상황을 통제하는 ‘기획자’(Commissaire) 등등까지 다양하다. 나열한 각각의 명칭은 전시를 기획하고 구현하는 일을 어떻게 접근하느냐에 따라 논의할 수 있는 큐레이터 역할에 관한 입장이다.
- 이보경, 「큐레이터, 전시기획자로서 역할과 의미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