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가야
· ISBN : 9788963474762
· 쪽수 : 269쪽
· 출판일 : 2021-08-31
책 소개
목차
1 「가락국기」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선석열
I. 머리말·11
II. 「가락국기」의 구성과 그 특성·12
1. 「가락국기」 내용의 배분 비율·12
2. 「가락국기」의 역사서적 특징·13
3. 신화 서술의 비교 ·14
4. 「가락국기」와 『개황력(록)』의 성씨 유래·17
5. 수로왕廟 제사의 특성·18
6. 『삼국유사』 왕력과 「가락국기」 왕대의 역대 가락국왕의 曆數 비교·20
Ⅲ. 나머지말: 「가락국기」의 사료적 가치 모색·20
2 「가락국기」 편찬과 역사적 의미 유우창
I. 머리말·27
II. 「가락국기」 편찬의 배경·28
III. 「가락국기」 편찬의 저본·34
IV. 「가락국기」의 역사적 의미·45
V. 맺음말·52
3 가락국의 건국신화와 역사적 의미 이연심
I. 머리말·63
II. 가락국의 건국신화·65
Ⅲ. 가락국 건국신화의 역사적 의미·74
Ⅳ. 맺음말·79
4 「가락국기」의 고고학적 접근 시도 송원영
I. 머리말·89
II. 「가락국기」 내용 분석과 고고학적 검토·91
1. 탄강설화의 고고학적 의미·91
2. 나성 축조 기사의 해석 ·99
3. 수로왕비 혼인설화 검토·105
4. 왕과 왕비의 능에 대한 검토·108
III. 「가락국기」의 고고학적 접근·112
IV. 맺음말·117
5 「가락국기」로 본 가락국의 형성 안홍좌
I. 머리말·135
II. 「가락국기」의 검토·136
1. 「가락국기」의 편찬 시기·136
2. 「가락국기」의 편찬자·138
3. 「가락국기」의 자료·140
III. 「가락국기」로 본 가락국의 형성·142
1. 구간사회와 가락국·142
2. 가락국의 형성·147
IV. 맺음말·157
6 전기 가야의 대중국 교류-중국 북방 지역과의 교류를 중심으로- 김일규
I. 머리말·165
II. 장송의례에서의 중국 북방의 문물 ·166
1. 주·부곽식 목곽묘·168
2. 석곽묘·170
3. 殉葬·170
III. 부장 유물에서의 중국 북방 문물·174
1. 동복·174
2. 보요부 금동관·175
3. 마구·177
4. 무기와 무구·181
IV. 맺음말: 전기 가야의 대중국 교류의 범위와 성격·182
7 「가락국기」로 본 首陵王廟의 조성과 그 성격 이현태
I. 머리말·191
II. 殯宮의 성격·193
III. 首陵王廟의 의미와 성격·200
IV. 首陵王廟의 구조·207
V. 맺음말·214
8 가야불교와 파사석탑 조원영
I. 머리말·225
II. 가야불교를 보는 관점·227
1. 가야국명 및 수로왕과 불교와의 관계·227
2. 전승 자료를 통해 본 가야불교·230
3. 전래된 불교의 성격·235
III. 「금관성파사석탑」조 분석·238
1. 아유타국과 허왕후의 정체·238
2. 「금관성파사석탑」조에 나타난 가야불교 전래 시기·244
IV. 파사석탑의 양식과 조성 시기·248
V. 맺음말·256
편집 후기·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