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금공품으로 본 고대 동아시아 세계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고고학
· ISBN : 9788963474915
· 쪽수 : 594쪽
· 출판일 : 2022-03-02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고고학
· ISBN : 9788963474915
· 쪽수 : 594쪽
· 출판일 : 2022-03-02
책 소개
금공품으로 본 고대 동아시아 세계. 삼국시대가 되면 금, 은, 동으로 만든 금공품이 고구려, 백제, 신라에서 성행한다. 원삼국시대까지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재질의 이 금공품은 중국대륙의 영향을 받아 한반도에서 유행하였는데 이내 바다 건너 일본열도까지 확산된다.
목차
발간사 13
서장 고대 금공품 연구의 현상과 과제 14
제Ⅰ부 고대 철기문화의 전파와 동아시아 47
제1장 동북아시아 철기문화의 전개와 한야공철 정책 48
제2장 후쿠오카현 미야지다케(宮地嶽)고분 두추대도의 도신 복원 84
제3장 고대의 제강법에 대하여 126
제4장 삼국·고훈시대 상감기술의 전개와 한일교섭 172
제5장 원삼국~삼국시대 철제도검의 제작기술과 그 의미 212
Column 1 칠지도는 주조로 제작되었다!? 242
제Ⅱ부 대장식구로 본 고대 동아시아 253
제6장 동아시아 중원식대장식구의 전개와 의의 254
제7장 삼연·고구려 대장식구의 전개와 특질 296
제8장 신라 대장식구의 전개와 의미 324
제9장 백제 대장식구의 전개와 특질 378
제10장 고훈시대 대장식구의 전개와 특질 414
Column 2 유물의 관찰과 실측, 그리고 사진 촬영 452
제Ⅲ부 고대 동아시아의 금공기술 457
제11장 한·일 모조(毛彫)의 전개와 특질 458
제12장 삼국·고훈시대 금공품의 생산과 유통 484
제13장 삼국~통일신라시대 각명기술(刻銘技術)의 특징과 변천 518
Column 3-1 실험고고학 ①: 용봉문환두대도 외환의 제작 방법과 복원실험 558
Column 3-2 삼국시대 금공품 제작의 협업 체계 568
Column 3-3 실험고고학 ②: 황남대총 북분 출토 ‘夫人帶’명의 선조기술 574
Column 3-4 삼국시대의 조금기술과 조각끌의 열처리 580
후기 589
저자소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