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목간으로 보는 일본 고대인의 일상

목간으로 보는 일본 고대인의 일상

나라문화재연구소 (엮은이), 하시모토 시게루, 팡궈화, 김도영 (옮긴이)
주류성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목간으로 보는 일본 고대인의 일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목간으로 보는 일본 고대인의 일상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일본사 > 일본고대/중세사
· ISBN : 9788962464863
· 쪽수 : 216쪽
· 출판일 : 2022-09-10

책 소개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HK+사업단 번역총서 4권. 일본에서 가장 많은 목간을 소장한 나라문화재연구소의 연구자가 목간을 가까이에서 관찰하고 연구한 성과를 일반인 대상으로 쓴 성과물이다.

목차

머리말 – 목간으로의 초대 15

I. 목간이란 무엇인가?
1. 땅속의 글자는 무엇을 말하는가?
2. 수종(樹種), 서풍, 형태-다채로운 하찰(荷札)
3. 하나가쓰오인가 대나무 잎인가
4. 목간 사용의 시작
5. 목간의 세기는 언제부터?
6. 『日本靈異記』에 보이는 목간
7. 헤이안(平安)시대에 없어지는 하찰과 삭설

II. 목간의 발견! 역사의 발견!
8. 목간의 중요성을 결정지은 발견
9. 쓰레기 구덩이가 ‘표본창고자료’로
10. 메이지 시대와 전전(戰前)에 발견된 것-목간 연구 전사(前史)
11. 『日本書紀』 의 수식을 간파하다-‘군평논쟁(郡評論爭)’과 목간
12. 후지와라쿄(藤原京) 조영 과정의 해명
13. 나가야왕(長屋王) 저택을 결정지은 관청의 편지
14. ‘나라쿄(奈良京)’의 발견
III. 목간 사용법
15. 문서를 감는 「축」도 목간
16. 깎아서 철저히 재활용
17. 폐기된 후 화장실이나 제사에서 또 다시 목간을!
18. 개, 학, 우유도 등장
19. 밝혀진 고대의 문서주의
20. 정창원이 지킨 목간
21. 나무와 종이의 차이점

IV. 저것도 목간? 이것도 목간!
22. 추첨인가, 게임인가, 점인가
23. 일상 업무를 전달하는 제첨축
24. 마게모노(曲物)에 남아 있는 장인과 관인의 시선
25. 나무의 특성과 목간의 기능
26. 주술에 관한 의미 탐구
27. 얇은 판자에 쓰인 ‘고케라경’
28. 다이조인(大乘院)의 장기알 목간
27. 얇은 판자에 쓰인 ‘고케라경’
28. 다이조인(大乘院)의 장기알 목간

V. 목간 깊게 이해하기
29. 명품 미역은 예나 지금이나
30. 한국 전복에 대한 쇼무(聖武)의 마음
31. 문자 형태는 시대를 알려준다
32. 관리와 장작의 의외의 관계
33. 고대의 쌀은 적미(赤米)?
34. 기록되지 않은 연대를 찾다
35. 도성 밖의 하찰은 무엇을 이야기하는가?

VI. 목간으로 보는 고대인의 일상
36. 약 하찰과 꼬리표가 말하는 것
37. 잃어버린 대보령(大寶令)을 풀어내다
38. 핑계를 대며 쉬는 것도 목간으로
39. 필적에 번진 관리의 민얼굴
40. 부탁하는 편지를 쓰는 방법 – 하급 관인의 교양
41. 이즈베(出部) 씨, 신모노(真慕) 씨는 누구? - 희귀한 성씨
42. 헤이조큐(平城宮)의 불사(佛事)를 엿보다

VII. 목간을 미래에 전하기 위해
43. 물갈이의 여름, 만남의 여름?
44. 보존과 활용 사이에서 - 실물을 보여드리고 싶다
45. 적외선은 만능인가?
46. 목간과 연륜연대학의 만남
47. 연륜(나이테)으로 목간을 해독하기 위하여
48. 목간을 연결하는 나뭇결 바코드
49. 연륜(나이테)을 통해 목재의 산지를 좁히다

맺음말 – 그들이 살아 있었던 증거

참고문헌
후기
역자후기
집필자 소개(2020년 현재)
색인

저자소개

나라문화재연구소 (엮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김도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85년 대구 출생 2011년 경북대학교 고고인류학과 졸업 2013년 경북대학교 고고인류학과 대학원 석사 졸업 2018년 総合硏究大學院大學 文化科學硏究科 박사 졸업 현재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HK교수 [주요저서 · 논문] 「三國~統一新羅時代 刻銘技術의 特徵과 變遷」(『嶺南考古學』第89號, 2021) 「함안 성산산성 출토 목간의 제작 유형과 제작 단위」(『木簡과 文字』제26호, 2021) 『금공품으로 본 고대 동아시아 세계』(2022)
펼치기
하시모토 시게루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HK연구교수 『韓国古代木簡の研究』(吉川弘文館, 2014) 「新羅 文書木簡의 기초적 검토-신 출토 월성해자 목간을 중심으로」(『영남학』77, 2021) 「월지(안압지) 출토 목간의 연구 동향 및 내용 검토」(『한국고대사연구』100, 2020) 「월성해자 신출토 목간과 신라 外位」(『木簡과 文字』24, 2020)
펼치기
팡궈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HK연구교수 「고대 동아시아 목간자료를 통해 본 “參”의 이체자와 그 용법」(『木簡과 文字』25,2020) 「부여 부소산성 출토 토기 명문의 검토-동아시아 문자자료와의 비교」(『木簡과 文字』26, 2021) 「신라·백제 문자문화와 일본 문자문화의 비교연구-출토문자자료를 중심으로」(『영남학』77, 2021)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