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고대 동아시아의 기록 방식과 도구

고대 동아시아의 기록 방식과 도구

윤재석, 홍승우, 이용현, 리훙차이, 장쥔민, 오준석, 이누카이 다카시, 팡궈화, 오수문, 홍보식, 박장호, 구스미 다케오, 이노우에 하야타 (지은이)
진인진
3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4,200원 -5% 0원
1,800원
32,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고대 동아시아의 기록 방식과 도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고대 동아시아의 기록 방식과 도구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88963475356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22-12-31

목차

발간사

1부 고대 동아시아의 문서와 서식
제1장 한국 고대 문서목간의 서식과 서사재료 / 홍승우
제2장 高句麗 石碑의 敎 / 이용현
제3장 肩水金關漢簡 중 특수 重文부호 해독 문제 / 李洪財
제4장 漢代 서북 邊塞 간독 刻齒의 몇 가지 문제 / 張俊民
제5장 중국 고대 簡牘 文書의 형태와 규격 / 오준석
제6장 출토 문자자료로 본 일본어 표기방법과 부호 / 犬飼隆
제7장 일본 고대 목간의 비문자 표기에 관한 몇 가지 문제 / 方國花
제8장 헤이안 문학에서 본 히라가나와 종이의 관계성 고찰 / 오수문

2부 고대 동아시아의 기록 도구
제9장 백제와 통일신라의 벼루 생산과 보급 / 홍보식
제10장 원삼국시대 서사도구와 다호리유적 / 박장호
제11장 야요이 시대의 ‘板石硯’과 문자사용의 가능성에 대해 / 久住猛雄
제12장 도연의 쓰임새를 생각하다 -문필 행위와 신체 행위- / 井上隼多

編·著者 소개

저자소개

홍보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공주대학교 사학과 교수 『가야사의 인식변화(공저)』 (주류성, 2021) 「부산 기장 고촌리 유적의 단계와 운영 양상 검토」 (『항도부산』 44, 2022) 「소가야지역의 횡혈식석실수용과 특징?내산리고분군의 횡혈식석실을 중심으로?」 (『한국학논총』 56, 2021)
펼치기
이용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HK 연구교수 『한국목간총람(공저)』(주류성, 2022) 「城山山城 木簡에 보이는 신라의 지방경영과 곡물·인력관리-城下麥 서식과 本波, 喙의 분석을 중심으로」(『동서인문』17, 2021) 「慶山 所月里 文書 木簡의 성격-村落 畓田 基礎 文書-」(『木簡과 文字』27, 2021)
펼치기
오수문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13년 경북대학교 문학박사 2013년 대구대학교 일본어문학과 조교수 2021년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HK 사업단 HK조교수 (현재) [주요 도서 및 논문] 『日本木簡總覽(上·中·下)』(주류성, 2022) 「일본의 한자 전래에 관한 일고찰」(『일본문화연구』74, 2020) 「『贄』목간과 『延喜式』의贄 비교」(『日本文化學報』84, 2020) 「나라 헤이안 시대의 荷札목간」(『대한일어일문학회』86, 2020) 등
펼치기
팡궈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HK연구교수 「고대 동아시아 목간자료를 통해 본 “參”의 이체자와 그 용법」(『木簡과 文字』25,2020) 「부여 부소산성 출토 토기 명문의 검토-동아시아 문자자료와의 비교」(『木簡과 文字』26, 2021) 「신라·백제 문자문화와 일본 문자문화의 비교연구-출토문자자료를 중심으로」(『영남학』77, 2021)
펼치기
오준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HK연구교수 『중국목간총람(공저)』 (주류성, 2022) 「秦漢 田律을 통해 본 秦漢代의 律典 체계」 (『역사와 세계』60, 2021) 「嶽麓秦簡을 통해 본 簡牘 文書의 형태와 규격」 (『中國史硏究』136, 2022)
펼치기
홍승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 「대구 팔거산성 출토 신라 목간 검토」 (『大丘史學』 149, 2022) 「경산 소월리 목간의 내용과 성격」 (『동서인문』 16, 2021) 「창녕 교동11호분 출토 명문대도 재검토」 ( 『韓國古代史硏究』 101, 2021)
펼치기
리훙차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湖南大學 嶽麓書院 교수 「從走馬樓西漢簡?異幹支談漢初曆法混用問題」 (『社會科學戰線:簡牘?究』第4期, 2022) 「秦漢簡中標識術語“剽”之新證」 (『中國農史』第5期, 2021) 「敦煌馬圈灣漢簡草書釋正」 (『出土文獻』第3期, 2021)
펼치기
장쥔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甘肅寧縣石家墓地M4,M166發掘簡報」 (『考古與文物』第5期, 2020) 「懸泉漢簡新見的兩例漢代職官制度」 (『敦煌研究』第6期, 2015) 「漢代敦煌郡縣置名目考——以懸泉漢簡資料爲中心的考察」 (『秦漢研究』第九輯, 2015)
펼치기
이누카이 다카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어학자 『木簡による日本語書記史【2011増訂版】』 (笠間書院, 2011) 『儀式でうたうやまと歌』 (塙書房, 2017) 「古事記と木簡」 (『古事記年報六十』, 古事記学会, 2018)
펼치기
박장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산시청 문화관광과 주무관 「진·변한인의 중서부지역 이주와 그 역사적 함의」 (『영남고고학』 90, 2021). 「부여계·한(漢)식계 유물과 중서부지역의 세력」 (『동북아역사논총』 71, 2021) 「중서부지역 진변한계 철기의 변화와 철생산」 (『고문화』 96, 2020)
펼치기
구스미 다케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 福岡市役所経済観光文化局文化財活用部埋蔵文化財センター 文化財主事 「布留遺跡における「板石硯」の認識とその意義」 (『ここまで判った布留遺跡–物部氏以前とその後–発表資料集』, 天理市観光協会, 2022) 「三世紀のチクシと三韓と倭国」 (石野博信 編 『魏都·洛陽から倭都·邪馬台国へ–『親魏倭王』印の旅』, 雄山閣, 2019) 「「博多湾貿易」の成立と解体」 (『考古学研究』 53–4, 2007) 「北部九州における庄内式併行期の土器様相」 (『庄内式土器研究』 ⅩⅨ, 1999)
펼치기
이노우에 하야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 名古屋大学 人文学研究科 博士候補研究員 「考古資料3Dデータの図化システムについて(공저)」 (『宗教遺産テクスト学の創成』, 勉誠出版, 2022) 「機械学習を用いた陶邑窯·猿投窯出土須恵器の判別実験(공저)」 (『下国雑誌』 3, 2021) 「人工知能による機械学習を用いた須恵器資料の断面形状分析(공저)」 (『日本情報考古学会講演論文集』 23, 2020) 「古代日本における陶硯の使用実態と統制」 (『古代文化』 72–1, 2020)
펼치기

책속에서

목간과 종이라는 기록매체와 이를 제작하고 기록하는 필기도구 및 기록방식, 나아가 이러한 기록문화의 전승 과정을 중심으로 고대 동아시아 기록문화의 양상과 그 역사적 함의에 대한 이해

인류가 문자 생활을 영위한 이래 기록물의 효용성은 인간의 의사소통과 감성표현의 주요 수단이자 각종 지식과 정보의 생산과 유통 및 축적·전승을 가능케 하는 저장 공간으로서, 인류문명사 전개의 주된 역량으로 작용하였다. 기록용 매체와 도구는 과학기술의 발달과 연동하여 다양한 변화의 과정을 거치면서 오늘에 이르렀다. 종이가 가장 중요한 기록매체로 정착하기 전까지 인류는 식물과 목재 및 돌 그리고 점토 등의 자연물을 비롯하여 일정하게 가공된 짐승의 뼈와 가죽 및 귀갑(龜甲), 나아가 청동기물과 견직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였다.
기록을 위해서는 목간·파피루스·비단·양피지·종이 등의 기록매체와 더불어 이를 제작하고 여기에 문자를 기재하는 칼[書刀]·붓·먹·벼루·펜·잉크 등의 다양한 필기도구가 필요하며, 이들 매체와 도구의 변화 발전은 인류가 양산한 지식과 정보의 보급과 축적 및 전승의 수준을 질적·양적으로 결정하는 주요 인자로 작용하였다. 아울러 이들 매체와 도구 및 기록 방식의 전파 양상을 포함한 기록문화는 이를 공유한 지역의 역사와 문화적 동질성을 확인하는 지표이기도 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경북대학교 인문한국플러스(HK+) 연구단에서는 2022년 12월 “나무에서 종이로?서사매체의 변화와 고대 동아시아”라는 주제로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하였고, 여기서 발표된 논문을 엄선하여 『나무에서 종이로?고대 동아시아의 기록문화』와 『고대 동아시아의 기록 방식과 도구』라는 두 책으로 엮었다. 전자는 동아시아 출토 목간의 유형과 목간문화의 지역적 전승 양상, 목간의 제작과 폐기 및 재사용 양상, 목간에서 종이로 기록매체의 변화 요인과 그 양상 및 역사적 의미 등을 다루었고, 후자는 목간의 표기방식과 기록양식, 붓과 벼루 등 서사도구에 대한 연구를 주된 내용으로 다루었다. 이를 통하여 목간과 종이라는 기록매체와 이를 제작하고 기록하는 필기도구 및 기록방식, 나아가 이러한 기록문화의 전승 과정을 중심으로 고대 동아시아 기록문화의 양상과 그 역사적 함의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기를 기대한다.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