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일본 고대의 문자와 지방사회

일본 고대의 문자와 지방사회

미카미 요시타카 (지은이), 오수문 (옮긴이)
진인진
6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64,600원 -5% 0원
2,040원
62,5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일본 고대의 문자와 지방사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일본 고대의 문자와 지방사회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일본사 > 일본고대/중세사
· ISBN : 9788963475875
· 쪽수 : 452쪽
· 출판일 : 2024-02-14

목차

발간사

일러두기

서(序) : 연구의 시각과 본 책의 구성

I 일본 고대 문자문화의 수용

제1장 일본고대 문자와 언어
머리말
1. 「정치적 의례」와 문자-5세기 철검명문
2. 통치 수단으로서의 문자-7세기 목간
3. 문자문화의 체계화-7세기 후반~8세기 전반
맺음말

제2장 습서목간으로 본 문자문화 수용의 문제
머리말
1. 한반도 출토 논어 목간과 고대 일본의 논어 목간
2. 『고사기』의 왕인 전승과 『논어』, 『천자문』
3. 「나니와쓰의노래」와 왕인 전승
4. 초기의 문자문화와 백제의 문자문화
맺음말

제3장 논어 목간과 고대 지방사회
머리말
1. 『논어』의 일본 전래
2. 논어 목간의 검토
3. 습서 목간으로서의 논어 목간
4. 7세기 후반 『논어』 수용의 배경
맺음말

제4장 일본 고대 목간의 계보-한국 출토 목간과의 비교 검토를 통해-
머리말
1. 목간의 기재 양식에 관한 비교 검토-일본 고대 목간과 한국 출토 목간
2. 7세기 일본 고대 목간과 도래인-오미 지역 출토 목간을 대상으로
맺음말

Ⅱ 고대 지방사회에서의 문서 행정 전개

제1장 문서목간과 문서 행정-지방 출토 목간을 중심으로-
머리말
1. 관물(官物) 수납 및 문서목간의 작성
1) 니가타 현 하치만바야시 유적(新潟縣八幡林遺跡) 출토 제23호 목간
2) 후쿠시마 현 앗타메 조리 유적(福島縣荒田目條里遺跡) 출토 제3호 목간
2. 국부(國府)목간과 군부(郡符)목간
1) 국부(國符)·군부(郡符)의 전달 시스템
2) 국부·군부의 작성과 폐기
맺음말-고대 지방행정기구의 「문서주의」

제2장 고대 지방사회에서의 공량(公粮) 지급과 장부
머리말
1. 「遺米」목간과 다섯 말 섬(五斗俵)
2. 쌀 지출 기록
3. 지급 장부의 작성
4. 장부론(帳簿論)에 대한 전망
맺음말

제3장 고대 지방사회에서의 스이코(出擧) 운영과 장부 - 스이코(出擧) 관계 목간을 단서로-
머리말
1. 개별 기록으로서의스이코 목간 사이타마 현 야마자키우에노미나미 유적(山崎上ノ南遺跡) 출토 목간
1) 「사도(寺稻)」와 「세장(稅長)」
2) 지금까지의 출토 목간의 유례
3) 세장(稅長)의 성립과 그 역할
4) 율령국가와 세장
2. 집계 기록으로서의스이코 목간 니가타 현 시모노니시(新潟縣下ノ西) 유적 출토 목간
1) 제1호 목간의 개요와 문제점
2) 스이코 및 차대(借貸)
3) 「본도(本稻)」와 「이도(利稻)」의 별도 수납
3. 지역 스이코 업무 및 장부 작성
맺음말

제4장 스이코(出擧)의 운용
머리말
1. 스이코의 초기 형태-7세기대 스이코-
1) 스이코 기록의 시작
2) 7세기 스이코 목간의 특징
2. 스이코의 전개-8세기 대의 스이코
1) 구스이코(公出擧) 제의 특징
2) 스이코 벼의 대부·수납 및 장부 작성
3) 스이코 벼의 수납 및 집계
4) 스이코 장의 작성과 군사·세장
3. 스이코의 변질-9세기 대의 스이코
1) 구스이코 제도의 변질
2) 군사·세장과 수납작업
맺음말

보론(補論) 고대 동아시아의 스이코(出擧) 제도에 대한 시론
머리말
1. 부여 쌍북리 280-5번지 출토 곡류 대부 기록간
2. 고대 일본의 스이코 목간과의 비교
3. 곡류의 스이코에 관한 문헌 사료의 재검토
맺음말

Ⅲ 문서 행정과 「변방」

제1장 고대 「변방」의 민중 파악- 아키타 성터 출토 칠지문서가 의미하는 것 -
머리말
1. 아키타 성 터 출토 칠지문서(1)-사망장(死亡帳)
2. 사망장과 계정
3. 아키타 성 터 출토 칠지문서(2)-호적과 계장식 문서
4. 고대 「변방」과 율령 제도 지배
맺음말

제2장 고대 지방사회에서의 역(曆)-그 수용과 활용에 대해서-
머리말
1. 지방 관아에서의 구주력(具注曆) 서사-출토 문자자료를 단서로
2. 고대 지방사회의 역(曆) 활용
3. 역(曆) 목간의 원류
맺음말

제3장 성책(城柵)과 문서 행정
머리말
1. 성책 내 기구의 존재 형태(1)-아키타 성(秋田城) 터
2. 성책 내 기구의 존재 형태(2)-홋타노사쿠(拂田柵) 터
3. 무쓰 국(陸奧國)의 「성책 내 기구」
맺음말

Ⅳ 문자문화의 주변 세계

제1장 묵서토기 연구의 새로운 관점- 문헌사학의 입장에서-
머리말-「묵서토기 = 제사」론의 극복
1. 고대 농업 노동력 편성과 묵서토기
2. 묵서토기의 길상(吉祥) 표현의 의미
맺음말

제2장 고대 지역사회에서의 제사·의례와 인명-묵서토기의 검토에서-
머리말
1. 여성명묵서토기-이시카와 현(石川縣)의 사례에서
2. 묵서토기에 보이는 인명의 의미
3. 이름의 주술성과 기피
맺음말

보론(補論) 「용왕」명 목간과 고대 동아시아 세계-한일 출토 목간 연구의 새로운 전개-
머리말
1. 야마가타 현 요네자와 시·하세가미 (山形縣米澤市·馳上) 유적 출토 목간
2. 야마가타 현 야마가타 시·우메노기마에 1(山形縣山形市·梅野木前1) 유적 출토 목간
3. 한국 출토 「용왕」명 문자자료
맺음말

저자 후기
역자 후기
저자 약력
역자 약력
색인

저자소개

미카미 요시타카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9년 東京에서 태어남 1992년 東京大學文學部 졸업 1998년 東京大學 대학원 인문사회계 연구과 박사과정 학점 취득 퇴학 1998년 일본 學術振興會 특별연구원 2000년 山形縣立米澤女子短期大學 강사 2002년 山形大學人文學部 조교수(2007년 4월부터 준교수) 2014년 日本國立歷史民俗博物館 조교수 현재 日本國立歷史民俗博物館 교수 [주요 도서 및 논문] 『日本古代の貨幣と社會』(吉川弘文館, 2005년) 「唐令から延喜式へー唐令繼受の諸相」(大津透編 『日唐律令比較硏究の新段階』 山川出版社, 2008년) 「古代日本の境界意識と信仰ー古代北方地域の事例を中心にー」(竹田和夫編『古代·中世の境界意識と文化交流』 勉誠出版, 2011년)
펼치기
오수문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13년 경북대학교 문학박사 2013년 대구대학교 일본어문학과 조교수 2021년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HK 사업단 HK조교수 (현재) [주요 도서 및 논문] 『日本木簡總覽(上·中·下)』(주류성, 2022) 「일본의 한자 전래에 관한 일고찰」(『일본문화연구』74, 2020) 「『贄』목간과 『延喜式』의贄 비교」(『日本文化學報』84, 2020) 「나라 헤이안 시대의 荷札목간」(『대한일어일문학회』86, 2020) 등
펼치기

책속에서

일본의 목간 연구 권위자인 미카미요시타카(三上喜孝) 일본 국립역사민속박물관 교수의 2013년 저작 『日本古代の文字と地方社會』의 번역서입니다.
저자 미카미요시타카 교수는 일본 동경대학교 문학부 박사과정을 수료한 이후 화폐와 목간을 대상으로 연구 작업을 이어왔으며 2014년 일본 국립역사민속박물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해당 분야의 전문가입니다. 1999년 한국을 처음 방문하면서 일본의 고대 문자문화 문제와 한반도의 관련성이 가지는 중요성에 주목하게 되었고, 2008년부터 2010년까지 15개월간 한국 국립경북대학교에 유학하면서 한국 출토 목간 자료를 폭넓게 관찰하고 연구할 기회를 가진 것이 15년 간의 작업을 집대성한 본서 집필의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습니다.
역자 오수문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HK 사업단 HK조교수는 2013년 경북대학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한 이후 대구대학교를 거쳐 2021년부터 경북대학교 인문학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본서는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이 한국연구재단의 HK+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2019년부터 수행한 '동아시아 기록문화의 원류와 지적네트워크 연구' 사업의 성과로서 해당 사업 번역총서 5권에 해당합니다.
본서는 고대 일본열도의 역사상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고대 한반도의 문자 자료 연구가 절실하며, 나아가 동아시아사를 유기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는 관점을 견지하고 있는 저자의 학문적 지론이 가장 잘 집약된 저작으로서 한일 고대 목간의 분석을 통하여 5세기 이래 일본열도에 전래된 한반도의 문자문화가 7~8세기 일본의 정치와 행정 그리고 경제와 문화에 이르는 전 영역에까지 지대한 영향을 미쳤음을 실증적으로 고찰한 것이 특징입니다. 한반도와 일본열도에서 발굴된 문서행정목간, 習書木簡(논어·천자문·나니와쓰(難波津)의 노래), 스이코(出擧)목간, 佐官貸食記목간, 칠지문서, 曆목간, 제례 및 주술 목간, 용왕목간 등을 상호 비교 연구함으로써 고대 일본의 문화적 정체성을 한반도의 기록문화로부터 찾고자 하였다는 점을 특히 주목할 수 있습니다.
본서는 목간의 분석을 통하여 연구의 시야를 일국사를 벗어나 동아시아사로 확장하였다는 점, 특히 한일 목간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기록문화의 전승 관계를 기축으로 전개된 고대 한일관계사의 일면을 새로이 밝히고자 한 점, 나아가 이러한 관점에서 고대 동아시아 사회가 공유한 역사적 경험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의 가능성을 열어놓았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고 하겠습니다.
1961년 1월 헤이안경에서 수십 점의 목간이 출토되고 1963년 8월 1,900점 이상의 목간이 출토된 이래 일본의 목간 연구는 급격히 발전하였으며 50만 점에 가까운 자료가 축적되면서 목간학(木簡學)이 확립되었고 많은 연구 성과가 제출되었습니다. 본서는 다양한 연구 성과 가운데 고대 일본의 문자 문화 수용 및 전개 양상을 명확하게 가시화하겠다는 연구 목표를 구체적인 자료 검토를 통하여 관철했습니다. 본서는 고대 지방사회의 문서행정 및 한반도의 문자 자료를 활용하여 일본 열도의 고대 사회에서 전개된 문자 문화의 특성을 전반적으로 재조명하여 소개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