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63476148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24-11-25
책 소개
목차
저자에 대하여 vii
역자에 대하여 ix
역자서문 xi
제2판의 서문 xxi
제3판의 서문 xliii
1 권력: 급진적 관점 1
1.1 서론 3
1.2 일차원적 관점 6
1.3 이차원적 관점 13
1.4 삼차원적 관점 20
1.5 기저적 권력 개념30
1.6 권력과 이해관심 44
1.7 세 가지 관점 간의 비교 46
1.8 난점들 62
1.9 결론 78
2 권력, 자유 그리고 이성 81
2.1 권력의 개념에 대한 합의의 부재 84
2.2 권력의 개념 97
2.3 개념적 지도 108
2.4 권력과 지배 127
2.5 푸코의 권력에 관하여: 초 급진주의적 관점133
2.6 푸코의 응용: 자발적 순응을 확보함에 대하여 158
3 삼차원적 권력 173
3.1 권력의 정의 176
3.2 본질적 논쟁대립성 178
3.3 삼차원적 관점의 방어 209
3.4 적응적 선호들 227
3.5 진정한 이해관심과 허위의식 251
4 지배와 동의 265
5 삼차원에 대한 탐구 281
5.1 삼차원인가 사차원인가 283
5.2 동의가 없는 순응 291
5.3 행태 수정 297
5.4 위해적 불확실성 310
5.5 권력큐브 317
6 추가 독서 지침 331
참고문헌 341
역자 용어해설 375
본서와 1판, 2판의 목차 비교 377
인용원문 379
색인 391
인명, 서명 413
책속에서
30년 전 본 저자는 《권력: 급진적 관점》이라는 작은 책자를 출간한 바 있었다. 그 저술은 주로 미국 정치학자들과 사회학자들 사이에서 당시에 진행 중이었던 흥미로운 질문, 즉 권력을 이론적으로 어떻게 규정하고 경험적으로 어떻게 연구할것인가에 관한 논쟁에 기여한 바 있다. 그러나 그 논쟁의 기저에는 또 다른 질문이 놓여 있었다. 즉, 그것은 미국 정치를 ‘지배 엘리트’에 의하여 지배되는 정치로 규정할 것인가, 아니면 ?다원주의적 민주주의?(pluralist democracy)를 보여주는 정치로 규정할 것인가 하는 문제였다. 그런데, 두 번째 질문에 답하기 위하여서는 첫 번째 질문에 대한 답이 필요하다는 것은 분명하였다. 본 저자의 견해는 권력을 협의로 생각하기보다는 오히려 광의로 생각하여야만 하고, 그리고 한 가지 내지는 두 가지 차원이 아 닌 세 가지 차원 들하에서 생각하여야 하며, 관찰하기 가장 어려운 권력의 측면에 주목하여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즉, 실제로 권력은 가장 관찰하기 어려울 때 가장 효과적이라는 생각을 피력하였다. (서문)
오늘날에 있어서는 [본서의 제1판인] 그 짧은 저술이 다루었던 거대하고 핵심적인 문제의식―즉 ?지배?에 대한 ?자발적 순응?을 어떻게 확보할 수 있는가?―은 그 어느 때보다 더 시의적절하며, 따라서 그에 대한 대답이 요구되고 있다. 공산주의 진영의 붕괴 이후 신자유주의적 사상과 [그것이 기반한] 가정들이 놀라울 정도로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미국의 레이건 주의와 영국의 대처 주의는 성공을 거둔 바 있다. 이러한 현상이 ?헤게모니?를 현시하는 거대한 사례라면, 그 영향을 똑똑히 이해하기 위하여서는 무엇보다도 권력에 대한 적절한 사고방식, 특히 찰스 틸리(Charles Tilly)가 올바르게 제기한 다음과 같은 문제의식에 대한 답변을 요구하게 된다: 즉 “통상적(ordinary) ?지배?가 종속된 그룹의 ?이해관심?을 지속적으로 해친다면,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종속된 그룹은 왜 ?순응?하는가? 왜 그들은 지속적으로 ?반항?하거나 적어도 그 과정에서 ?저항?하지 않는 것일까?” (서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