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일본사 > 일본근현대사
· ISBN : 9788963572413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20-07-25
책 소개
목차
한국어판 서문/ 서문
1부 3대 소요 사건의 하나, 스이타 사건
1장 스이타 사건 연구모임
1. 스이타 사건/ 2. 쥬소十三/ 3. 연구모임
2장 스이타 사건
1. 스이타조차장으로 향하는 시위행진/ 2. 일본공산당·오사카대 세포 책임자/ 3. 허벅지에 총상을 입은 오사카대 학생
3장 히라카타 사건
1. 히라카타 방화 사건/ 2. 히라카타 공창의 시한폭탄 설치 사건/ 3. 사건의 막후
4장 재판 투쟁
1. 스이타 묵념 사건/ 2. 소요죄
2부 한국전쟁과 일본
5장 조선은 왜 분단되었는가, 왜 일본이 분단되지 않았는가
6장 일본이 한국전쟁에 ‘참전’한 날들
- 8천명의 도한渡韓과 57명의 죽음
7장 현해탄을 건너 ‘참전’한 일본인
1. 한국전쟁과 일본의 재군비/ 2. 특별소해대/ 3. 동원된 여성들/ 4. 현해탄을 건넌 일본인 ‘병사’/ 5. 기지국가 일본
8장 압록강을 건너 ‘참전’한 일본인
1. 만몽개척단/ 2. 팔로군 종군 간호사/ 3. 또 한 명의 팔로군 종군 병사
3부 스이타 사건의 해방
9장 재일조선인과 스이타·히라카타 사건
1. 주모자의 반생/ 2. 스이타 사건/ 3. 민족조직/ 4. 55년 체제/ 5. 보석/ 6. 무죄판결/ 7. 판결 이유/
8. 히라카타 사건의 재판
10장 지순한 세월
1. 검찰 측 총괄과 오사카시의 반론/ 2. 공산당 간부의 증언/ 3. 재일조선인 리더/ 4. 이바라키경찰 무장 트럭 사건/
5. 일본인 측 주모자/ 6. 배신자의 아들/ 7. 군수 열차 습격계획/ 8. 진짜 목적은 무엇이었을까
저자후기/ 역자후기/ 연표/ 참고문헌
책속에서
저자는 스이타 사건 그 자체를 쫓고 있기도 하지만, 관련자들이 살아간 사건 ‘이후’의 삶을 비춰낸다. 스이타 사건은 일본의 3대 소요 사건 중 하나로, 소요죄와 표현의 자유 사이를 왕복하며 갈등했던 헌법 판례로 다루어지면서 헌법 연구 분야에서는 잘 알려져 있다. 그렇지만 스이타 사건이 지닌 또 하나의 측면, 즉 제국 일본의 식민지배가 남긴 ‘얼룩’과도 같은 존재인 재일조선인들이 일본인들과 함께 벌인 한국전쟁 반대운동이었다는 점은 충분히 공론화되지 못했다. 한국에서도 스이타 사건은 일본의 전후 운동사만큼이나 낯선 이름이다. 한국전쟁 발발 70년에 관한 신문 기사와 보도에서도 이들의 이야기는 찾아볼 수 없다.
주류의 거대서사에서 생략된 존재들은 자신들이 전하는 이야기 속에서 출몰하고 그 이야기 속에 살아있다. 저자가 사건 관련자들을 찾아가 그들의 이야기를 전해 듣고 기록함으로써 밝혀낸 것은 사건의 진상이나 전모뿐만 아니라, 사건 이후에 그들이 살아온 삶의 굴곡과 주름에 대한 것이기도 하다. 그리고 그것을 하나씩 펼쳐서 기록으로 담아낼 수 있었던 것은 사건 당사자가 아닌 니시무라‘들’이 ‘공감적 청자’를 자처하며 스이타 사건 연구모임을 만들어 함께-듣는 장(場)을 만든 덕분이다.
한국전쟁은 저자의 표현처럼 ‘국제적 내전’의 성격을 지녔다. 이 책의 한국어판 제목은 『‘일본’에서 싸운 한국전쟁의 날들- 재일조선인과 스이타 사건』인데, 여기서 ‘일본’은 영토로 구획된 국민국가로 한정되지 않는다. 오히려 민족과 국가 혹은 시민이라는 주어진 정체성의 토대가 ‘반전’이라는 공통의 지향으로 흔들림으로써 연결될 수 있었던 이들이 함께 싸워낸 시공간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이 책에는 삐라를 뿌리고 경찰에 쫓기던 부덕수가 일면식도 없는 일본인 노동자들의 도움을 받아 도망친 에피소드가 소개되어 있는데, 그는 일본어가 어설펐던 자기에게 아무 것도 묻지 않고 도움을 준 일본인 노동자들을 상기하고 “한국전쟁에 반대하는 일본인과 조선인의 마음이 서로 통했던 것”이라며 그런 마음이 지금도 필요하다고 말한다. 저자는 이러한 상황이 현재에 일어난다면 어떨지를 독자들에게 묻는다. “대기업 경비원이 낯선 남자에게 과연 문을 열어 줄까. 그리고 공장 안의 노동자들은 삐라 살포를 하다가 도망쳐 온 그를 도와줄 것인가.”
이 책 곳곳에는 조선, 조선반도, 조선전쟁 등 생경한 단어들이 등장한다. 지금 ‘조선’은 어디에도 없는 곳이다. 그러나 재일조선인들에게 ‘조선’은 식민화되기 이전의 박제된 과거 모습 그대로 회귀하여 만날 수 있는 조국도 아니며, 인민이라는 수식어를 무색케 하는 북의 ‘공화국’을 지칭하는 말도 아니다. 제주에서 4·3의 피바람을 피해 소중한 이들을 남겨둔 채 작은 배로 밀항한 이들이 흘러들어와 살았던 동네 이카이노(猪飼野)에도 ‘조선’은 있었고, 한국전쟁에 사용될 군수물자를 실어 나르는 열차를 저지하기 위해 서로의 몸을 묶고 누웠던 철로 위에도 ‘조선’은 있었으며, 한국전쟁 반대운동을 하며 인민전철에 올라탄 그 밤에도 일본인과 재일조선인 청년들의 마음에는 함께 꿈꾸던 ‘조선’이 있었다. 따라서 ‘조선’은 국민국가라는 정치체제를 넘어선 의미, 즉 하나의 ‘실체’라기보다는 어떤 공통의 ‘심정’의 장소에 가깝다.
이 책은 김시종이 크로포트킨의 말을 빌려 부덕수(夫德秀)에게 보낸 전언으로 끝을 맺는다.
“그걸로 됐다, 거기에는 나의 지순한 시절이 있었으니.”
일본의 헌법학자 마에다 아키라(前田朗)는 이 문구를 마음속으로 되뇌며 “너무 상냥하고, 너무나 슬프고, 너무나도 격렬한 이 말의 의미를 대부분의 일본인은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과연 한국인이라고 다를까. 이 책을 통해 한국전쟁 시기에 일본에서 겪어낸 참전과 반전의 에피소드 하나하나가 독자들이 발 딛고 있는 세계, 즉 ‘조선’이라는 심정과 ‘일본’이라는 장소성이 생략된 한국전쟁의 일면적인 토대를 흔들며 다가갈 수 있기를 바란다.
- 역자의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