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일본사 > 일본근현대사
· ISBN : 9788963574301
· 쪽수 : 592쪽
· 출판일 : 2020-02-18
책 소개
목차
역자 서문/ 시작하며
1부 사상 공간의 성립
1장 근세 일본의 공공 공간 ― 회독会読의 장에 주목하여
1. 학습방법으로서의 회독/ 2. 회독의 기원과 유행/ 3. 회독의 원리적 문제/ 4. 정학파 주자학의 회독/
5. 쇼헤이코昌平黌와 한코藩校의 회독/ 6. 회독에서 ‘리理’의 대응
2장 토론에 의한 커뮤니케이션의 가능성
1. 회독의 네 가지 문제/ 2. 대등한 인간관계의 장으로서의 회독/ 3. 관용과 덕을 육성하는 장으로서의 회독/
4. 자유민권기 학습결사의 회독
3장 난학자의 국제사회 이미지 ― 세계지리서를 중심으로
1. 세계지리서의 과제/ 2. 아라이 하쿠세키新井白石의 <采覽異言채람이언>/ 3. 야마무라 사이스케山村才助 <訂正增訳采覽
정정증역채람이언>과 그 영향/ 4. 아오치 린소靑地林宗 <興地誌略여지지략>과 와타나베 가잔渡辺崋山/ 5. 미쓰쿠리 쇼고箕作省吾
<坤與図識곤여도식>과 그 후
4장 국학자의 서양인식
1. 난학자의 번역 세계지리서과 국학/ 2. <정정중역채람이언>과 사토 노부히로佐藤信淵 <西洋列国史略서양열국사략>/
3. 공화정치의 파문/ 4. 국학자가 거부한 관념
5장 근세 일본 봉건·군현론의 두 가지 논점 ― 일본역사와 세계지리의 인식
1. 봉건·군현론의 과제/ 2. 일본 역사의 이분법/ 3. 일본 역사의 삼분법/ 4. 난학자의 세계지리상/ 5. 메이지 유신의
복고 군현론
2부 국학과 난학의 교착
1장 근세 일본의 신화 해석 ― 고독한 지식인의 꿈
1. 「端元氏城下繪圖하시하라시죠카에즈/단원씨성하회도」/ 2. ‘신대神代’와 ‘인간사[人事]’/ 3. 스이카垂加 신도와 노리나가/
4. 부조리한 현실과 마가쓰비노카미禍津日神
2장 야마가타 반토山片蟠桃의 ‘우리 일본[我日本]’ 의식 ― 신도·국학 비판을 중심으로
1. ‘일본’에의 귀속의식/ 2. 유가신도儒家神道 비판/ 3. 귀신과 ‘지술智術’/ 4. 모토오리 노리나가와의 비교
3장 난학계 지식인의 ‘일본인’ 의식 ― 시바 고칸司馬江漢과 혼다 도시아키本多利明를 중심으로
1. 고칸과 도시아키의 ‘일본’으로의 귀속의식/ 2. 고칸과 도시아키의 ‘뜻[志]’/ 3. 고칸의 ‘나 한 사람[予一人]’의 자각/ 4. 도시아키의 일본 역사상像
4장 다다노 마쿠즈只野真葛의 사상
1. ‘일본’으로의 귀속의식/ 2. 마쿠즈의 사상형성/ 3. 마쿠즈의 뜻/ 4. 마쿠즈의 독창성/ 5. ‘작은 벌레小虫’의 의의
5장 와타나베 가잔渡辺崋山의 ‘지志’와 서양인식의 특질
1. ‘만사의 옥蠻社の獄’과 고가 도안古賀侗庵/ 2. 화업畵業과 번정藩政/ 3. ‘천하’ 의식/ 4. 초고·재고 <서양사정서>와
<외국사정서>/ 5. 정체론의 등장/ 6. 정치와 종교의 분리/ 7. ‘만사의론万事議論’관/ 8. 고가 고안과의 ‘의론’관 차이
6장 사쿠마 쇼잔佐久間象山의 내셔널리즘 논리
1. ‘황국’을 위한 ‘동양도덕’과 ‘서양예술’/ 2. ‘일국에 연결되는’ 제1기/ 3. ‘천하로 연결되는’ 제2기/ 4. ‘오세계에
연관된’제3기/ 5. 내셔널리즘 논리의 특질
7장 미토학水戶学의 ‘국체国体’론
1. 천황 권위의 부상/ 2. 미토학의 위기의식/ 3. 부조리한 현실과 계보의 자부심/ 4. ‘국체’의 환상
8장 도모바야시 미쓰히라伴林光平의 신도神道와 가도歌道
1. 심정적 급진주의/ 2. 가도론歌道論/ 3. ‘신사神事’로서의 영가詠歌/ 4. 고도론古道論/ 5. 미쓰하라의 ‘야마토다마시이大和魂’
9장 난리 유린南里有隣 <神理十要신리십요>에 대한 기독교의 영향
1. <天道溯原천도소원> 수용 문제/ 2. 수륜首倫으로서의 신인 관계/ 3. 창조주·주재신·유일신/ 4. 인간의 죄/ 5. 구제법으로서의 해제와 회개/ 6. 나카무라 게이우中村敬宇의 <천도소원> 수용과의 비교
10장 쓰다 마미치津田真道의 초기사상
1. 쓰다 초기사상의 과제/ 2. 쓰다의 초조감/ 3. 심정적 급진론의 극복/ 4. <性理論성리론>/ 5. <天外独語천외독어>/ 6. 메이지 이후와의 관련
나오며/ 초출일람/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