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근현대 광주 사람들

근현대 광주 사람들

이동순, 김허경, 박경섭, 주광, 천득염, 김현숙, 전용호, 신은주, 정철훈, 박선희 (지은이)
심미안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000원 -0% 0원
800원
15,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근현대 광주 사람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근현대 광주 사람들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근대개화기
· ISBN : 9788963813769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21-12-20

책 소개

지난 2020년부터 최근 2년간 일제강점기부터 격변의 근현대사를 살아온 광주의 ‘사람들’과 ‘예술가’를 조망한 책이다. “근현대 광주 예술가들”이라는 주제로 1980년대 전후 광주의 민중예술운동을 살펴보고, 아동 음악가 정근, 명창 박동실 등을 차례로 조망한다.

목차

책을 펴내며| 4


01 광주의 노블레스들 이동순
머리말 11 | 광주의 사회운동단체들 14 | 궁민을 보듬은 단체와 사람들 17 | 나오면서 33

02 근대 서양화의 도입과 광주 서양화단 김허경
1910년대 서양화의 도입 37 | 1920년대 광주·전남의 1세대 서양화가 44 | 광주·전남 일본 유학생의 활동 54

03 도시화의 시대, 광주천과 사람들 박경섭
광주천으로부터 61 | 광주천 개발의 짧은 역사 : 일제강점기에서 1970년대까지 63 | 사진과 추억으로 남은 광주천 풍경 69 | 광주천 복개로 잊힌 지천들 73 | 동계천과 서방천 이야기 77 | 그린뉴딜과 광주천의 복원 81

04 광주를 노래한 대중음악인들 주광
머리말 91 | 1950, 1960년대 광주 노래 92 | 1970, 1980, 1990년대 광주 노래 107 | 2000년대 이후 광주 노래 119 | 맺음말 123

05 건축가 김태만 천득염·김현숙
들어가며 127 | 생애 130 | 주요 작품활동 135 | 공적 활동 147 | 마무리 150

06 1980년 전후 광주민중문화운동 전용호
광주·전남 문화운동의 태동 155 | 5월항쟁 선전활동의 선봉에 서다 162 | 확산되는 문화운동 168

07 정근의 동요와 어린이문화운동 정철훈
들어가며 181 | 정근의 생애와 동요창작 배경 183 | 정근의 동요에 비친 시대상 201 | 정근과 방송동요 205 | 말년의 정근 209 | 나가며 211

08 광주 판소리 전통과 명창 박동실 신은주
들어가는 말 215 | 광주의 판소리 전통 216 | 20세기 전반 광주의 대표 판소리 명창 박동실 228 | 나가는 말 : 오늘날 우리의 역할 238

09 광주무용의 대모 박금자의 예술세계와 광주발레 박선희
들어가며 243 | 발레의 역사 245 | 박금자의 예술세계와 광주발레 248

10 근대 도시 광주의 첫 시인, 김태오의 삶과 문학 이동순
어린이의 탄생과 소년운동 263 | 김태오와 어린이 잡지 『아희생활』 272 | 김태오의 문학과 광주의 풍경 275 | 김태오의 자리와 과오 287

저자소개

천득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 건축학부 명예교수이다. ‘백제계 석탑의 조형특성과 변천에 관한 연구’로 고려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주로 인도에서 한국에 이르는 불탑에 관한 연구를 수행해왔다. 특히 ‘인도불탑의 아시아지역 전래양상’에 대하여 관심을 갖고 하버드대학 미술학과와 교토대학 건축 학과에서 Visiting Scholar로 ‘시원불탑의 의미론적 고찰’, ‘불탑의 동아시아지역 전래’라는 주제의 연구를 하였다. 대표적인 저술로는 『은일과 사유의 공간 소쇄원』,『운주사』, 『전탑』,『백제계석탑연구』, 『한국의 건축 문화재』, 『광주건축100년』, 『광주교육시설100년』, 『전남의 석탑』, 『인도 불탑의 형식과 전래양상』, 『동양의 진주 스리랑카의 역사와 문화』 등이 있다. 그간 150여편의 논문을 발표하였고 문화재위원과 한국건축역사학회장, 국제온돌학회장, 전남대학교 연구석좌교수, 한국학호남진흥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펼치기
신은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에서 국악이론을 전공하고, 동대학원에서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전북대학교 예술대학 한국음악학과 교수 및 전북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소장을 역임하고 있다. 판소리, 민요, 산조 등 민속음악을 중심으로 다수의 연구논문을 발표하였으며 판소리학술상(2010), 이혜구학술상(2017)을 수상했다. 대표 저서는 『중고제 심정순 가의 예인들』, 『경기도의 토속민요』다.
펼치기
이동순 (엮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광주와 전남 지역의 문학, 문화, 인물에 대해서 연구하고 있다. 문학평론가이며 조선대학교 기초교육대학 자유전공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움직이는 시와 상상력: 조태일 시 연구』, 『광주문학 100년:1950년대까지를 중심으로』, 『광주전남의 숨은 작가들』, 『광주의 시인들』, 『광주전남 지역문학과 매체』가 있고, 엮은 책으로는 『조태일 전집』, 『박흡 문학전집』,『목일신 전집』, 『조종현 전집1: 아동문학/시조편』, 『조종현 전집2: 산문편』, 『조운 문학전집』, 『조의현 문학전집』, 『땅의 노래: 조태일의 시세계』, 『석아 최원순 전집』 등이 있다.
펼치기
전용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80년 5월항쟁 당시 투쟁위원회 홍보팀으로 들불야학 학생들과 [투사회보]를 제작·배포하다가 투옥된 대학생이었다.. 1982년 「임을 위한 행진곡」이 삽입된 노래극 제작에 참여한 뒤 지역문화운동을 펼쳤다. 1998년 신춘문예 소설가로 등단했다. 2017년 5월민중항쟁의 기록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황석영·이재의·전용호 공저) 집필, 만해문학상 특별상을 수상했다. (사)광주·전남소설가협회 회장. 5·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회 전문위원을 역임했다. 현재 한국작가회의 자유실천위원장, 지금은 소설난타등 시대가 필요로 하는 소설을 준비 중에 있다.
펼치기
김허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 사범대 미술교육과 졸업, 동 대학원에서 미술이론을 전공하고 석사, 미술학 박사를 취득했다.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HK), 전남대학교 의학박물관, 한국미용박물관 학예연구사와 아시아문화개발원 문화정보원 사업팀 조감독(책임연구원)을 거쳐 국제여성미술제 큐레이터로 여성미술의 사회적 메시지를 담은 《척후병:변화의 전망展》(2016)을 기획했다. 2018년 현재 (사)광주미협평론분과이사, 한국프랑스문화학회 편집위원, 유럽문화예술학회 등에서 활동 중이다. 전남대학교에서 한국미술사, 현대미술론, 동서미술비교론, 한국근현대미술론 등 강의를 기반으로 동·서 미술흐름에 관한 연구와 다수의 논문 발표, 미술비평에 힘쓰고 있다.
펼치기
김허경의 다른 책 >
주광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에 입학한 1981년부터 DJ를 시작하여 광주 충장로의 음악감상실과 지역 공중파 방송국의 음악 프로그램에서 다양한 음악방송을 진행하였다. 옛 가요 연구모임 ‘유정천리’와 한국대중음악학회 회원으로 활동하며 광주를 노래한 옛 가요 등을 연구하고, 수집한 자료를 방송과 지면을 통해 꾸준히 소개하고 전시회를 열기도 하였다. 현재 한국방송DJ협회 기획이사와 전일생활문화센터 문화기획자로 활동 중이다.
펼치기
김현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광주광역시 출생.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도슨트로 활동하며, 문화해설을 통해 시민들이 아시아 문화를 친근하게 접할 수 있는 다리 역할을 하고 있다. 앞으로 광주의 정체성을 지녔으나 기록되지 않은 근현대기의 건축문화를 지속적으로 연구 기록하고자 한다.
펼치기
정철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시인이자 소설가, 전기 작가이다. 러시아 외무성 외교아카데미에서 역사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국민일보에서 문화부장, 문학전문기자, 논설위원 등을 역임하였으며, 현재는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역사연구소 객원연구위원이다.
펼치기
박선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광주시립발레단 주역무용수로 활동하였으며 현재 송원대학교 초빙교수이다. (사)한국발레협회 광주·전남지회 부회장, (사)세계무용연맹 광주·전남지회 지회장, 광주로얄발레단 예술감독을 역임하고 있다. 2008년 광주로얄발레단을 창단하여 제11회 전국무용제에서 대통령상, 연기상, 무대기술상을 수상하였으며 현재까지 활발하게 창작과 후진양성에 힘쓰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