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음악 > 음악가
· ISBN : 9788964361238
· 쪽수 : 608쪽
· 출판일 : 2017-01-25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 윤이상의 귀환
제1부 첫 단추
제1장 경계에서 큰 평안으로
제2장 상처 입은 용
제3장 음악의 근원
제4장 풍금
제5장 첫 번째 작곡
제6장 도전
제7장 일본 유학
제8장 항일운동
제2부 젊은 날
제1장 해방
제2장 통영문화협회
제3장 고아들을 돌보다
제4장 부산사범학교에서 싹튼 사랑
제5장 전란기의 음악활동
제6장 성북동 시절
제7장 비평의 시대
제8장 도약
제3부 유럽에서
제1장 파리 유학
제2장 독일 유학
제3장 존 케이지와의 만남
제4장 졸업시험 합격과 다름슈타트 입선
제5장 두 개의 데뷔 무대
제6장 아내와의 재회
제7장 주요음
제8장 사신도
제9장 도나우에싱겐 음악제와 <예악>
제4부 동백림 사건
제1장 사보이 호텔의 납치
제2장 중앙정보부 고문실
제3장 감옥 안의 견우와 직녀
제4장 나비의 꿈
제5장 거대한 연대
제5부 불멸의 여정
제1장 새로운 출발
제2장 뮌헨을 울린 심청의 노래
제3장 해외 민주화 운동
제4장 음악으로 쓴 자화상 <첼로 협주곡>
제5장 오월에 바친 교향시
제6장 민족의 가슴에 바친 교성곡
제7장 통일을 위한 음악축전
제8장 지상의 마지막 발걸음
윤이상 연보
저자소개
책속에서
윤이상의 음악은 동에서 정으로 전환하거나, 정에서 동으로 도약하며 극적인 악절(phrase)을 펼치는 경우가 많다. 그럼에도 윤이상의 음악은 움직임과 고요함이 하나로 맞물려 있다. 그 유기적 공존은 곧 정중동(靜中動)의 세계다. 그러므로 동은 무조건 뛰어넘어야 하는 질곡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그 속에 인간의 애환이 깃들어 있는 연민의 세계다. 동은 그러므로 극복의 대상이 아니다. 오히려 감싸 안아야 할 존재다. 움직임과 고요함이 교차하는 지점에 윤이상 음악의 비경(秘境)이 숨겨져 있다.
서양 음악은 화성을 통해 주제를 표현하는 데 비해, 한국의 전통음악은 하나의 음이 고유한 주제를 형성하며 끝까지 이어진다. 윤이상이 창안한 주요음은 여러 음들이 한데 모인 가운데 주제의식을 밀고 나아가게 된다. 이 같은 면에서 윤이상의 주요음은 서양의 음악 어법과도 다르며, 한국 전통음악과도 구별된다. 주제의식을 지닌 음의 무리가 주요음을 구성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것은 단선 음향이 아닌 복합 음향으로 존재한다.
그는 늘 동양과 서양의 음악적 요소를 균등하게 바라보는 자세를 일관되게 취해왔다. 루이제 린저와의 대담에서도 그는 “한국 음의 이미지를 서양 현대 작곡기법의 도움을 빌려 음악화”한다는 표현을 사용했다. 그는 가끔 “당신은 어떤 음악을 쓰는 사람입니까?”라는 질문을 받았다. 그러면 그는 “나는 나의 음악을 쓰고 있습니다”라고 대답해주곤 했다. 윤이상의 음악은, 그 자신이 주장했듯이 정신적인 측면에서 늘 동양의 원천에 서 있었기 때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