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한국정치사정/정치사 > 제3공화국/제4공화국
· ISBN : 9788964371053
· 쪽수 : 448쪽
· 출판일 : 2010-01-07
책 소개
목차
1부 박정희 시대 개발동원체제의 구조적 성격과 동학
1장_개발동원체제의 일반적 성격과 그 동학
1. 개발동원체제의 일반적 성격
2. 개발동원체제의 일반적.특수적 성격
3. 개발동원체제의 모순과 위기
4. 한국 개발동원체제의 구조적 성격 평가와 관련된 쟁점들 : 그 ‘성공 요인’과 부패 성격
2장_개발동원체제의 변화 과정 : 형성, 균열, 위기 및 재편
1. 개발동원체제의 변화 단계
2. 한국 개발동원체제의 계급적.사회적 조건 : ‘반공규율사회’의 형성
3. 개발동원체제의 성립과 그 동학 : 국가의 ‘헤게모니적 자율성’
4. 개발동원체제의 균열 : 국가의 ‘억압적 자율성’
5. 개발동원체제의 위기와 재편
6. 맺음말
3장_개발동원체제의 국가론적 성격
1. 머리말
2. 동아시아 자본주의 발전과 ‘수출형 축적 체제’ : 이른바 ‘근대화’의 경제적 구조
3. 동아시아의 국가 : ‘신중상주의적 준전시 국가’와 권위주의적 개발동원체제
4. 국가와 축적 체제의 1960~70년대적 결합의 위기
5. 1960~70년대적 국가-축적 체제 결합의 해체와 변형
6. 맺음말
2부 박정희 시대의 강압과 동의 : 그람시, 헤게모니, ‘헤게모니의 균열’
4장_박정희 시대의 강압과 동의 : 지배.전통.강압.동의의 상호 관계
1. 머리말
2. 지배.전통.동의.동원 : 그람시 헤게모니론의 재구성
3. 박정희 시대의 반공주의적.개발주의적.반공주의적 동원과 강압.동의
4. 맺음말 : 박정희 지배의 ‘전통화’?
5장_근대 독재 권력으로서 박정희 체제의 ‘모순적 복합성’ : 헤게모니의 복합성과 모순성
1. 들어가면서
2. 근대 독재 권력의 복합성과 모순성
3. 박정희 독재의 유산을 둘러싼 현재적 쟁투
4. 맺음말
6장_헤게모니의 구성적 과정과 ‘헤게모니 균열’ : 국민, 민중, 시민의 동학
1. ‘헤게모니 균열’의 문제 설정 : 그람시의 계승과 확장
2. 개발독재 시대의 헤게모니 구축과 그 작동
3. 1970년대 개발동원체제의 헤게모니의 균열
4. ‘수동혁명적 민주화’ 시대의 헤게모니와 그 변화
5. ‘신자유주의적 지구화와 결합되어 진행되는 민주화’ 도정에서의 헤게모니의 변화
6. 맺음말
결론_박정희 시대 재평가 논의와 근현대 역사상 재구성의 과제 : ‘복합적 진보’ 분석틀을 향하여
1. 들어가면서
2. 1987년 이후 민주 진보 담론의 정체와 관성화
3. 이영훈 및 임지현의 박정희 시대 재평가에 대한 성찰적 이해
4. 포스트 민주화 시대의 민주 진보 담론과 성찰적 발전 방향
5.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