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86367971
· 쪽수 : 228쪽
· 출판일 : 2018-04-30
책 소개
목차
● 들어가는 글 4
1장. 입시에 대한 이해와 오해 11
입시의 기준은 투명성과 공정성이다 | 이현?이기정
2장. 입시에 멍든 교실, 그 현장의 목소리 65
고교 학점제의 성공 키워드는 교사별 평가제이다 | 고용우?이기정
3장. 지금은 구한말, 교육 개화의 시기 109
입시 혁명은 시험 개혁이 우선되어야 한다 | 이혜정?이기정
4장. 숙의와 공론화를 통한 교육 문제 해결 159
‘교육 영향 평가’를 실시하자 | 조희연?이기정
● 나가는 글 200
● 입시 용어 설명서 208
저자소개
책속에서
“입시의 기준은 투명성과 공정성이다” _ 이현
저는 촛불 혁명의 원동력이 우리 사회의 불공정성과 불평등에 대한 분노와 저항, 그리고 부패와 비합리성에 대한 응징에 있었다고 생각해요. 이러한 촛불 혁명의 정신이 대입 제도에도 구체화되어야 해요. 현재의 대입 제도가 가지고 있는 불공정성과 불평등 문제를 해소해야 한다는 거죠.
“고교 학점제의 성공 키워드는 교사별 평가제이다” _ 고용우
고교 학점제를 제대로 시행하려면 당연히 절대 평가를 기반으로 하는 교사별 평가가 선행되어야 해요. 학점제를 하면서 상대 평가를 유지하기는 어렵지요. 교과서도 교사별로 선택할 수 있게 하고 자유 발행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어요.
“입시 혁명은 시험 개혁이 우선되어야 한다” _ 이혜정
구한말에 우리가 뭔가 엄청난 잘못을 저지르진 않았어요. 그냥 가만히 있었어요. 전 그게 가장 큰 문제라고 생각해요. 시대의 변화에 부응하지 않았다는 거죠. 4차 산업 혁명이 쓰나미처럼 몰려오고 있어요. 이런 때에 시대가 요구하는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시험 혁명이 필요해요.
“교육 영향 평가를 실시하자” _ 조희연
학교의 학생이나 교사를 상대로 교육 시간을 부과하는 법을 제정할 때에는 무조건 ‘교육 영향 평가’ 과정을 거치도록 하면 좋겠습니다. 법이나 조례가 만들어지면 전문 위원들이 그 법안에 대한 재정 추계 분석을 제출하는데 이런 방식을 염두에 두어도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