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아시아사 > 동아시아/극동아시아사
· ISBN : 9788964452806
· 쪽수 : 508쪽
· 출판일 : 2024-07-09
책 소개
목차
서론: 젊은 역사가들의 향연 5
Ⅰ. 환경
1. 전한(前漢) 황하와 『수경주』(水經注) 황하의 특성 비교 ------ 하세가와 ㅤㅅㅠㄴ지(長谷川順二)
― 리모트센싱 데이터를 이용한 황하 고하도(古河道)의 연구 33
머리말
1. 기존의 황하 변천설
2. RS 데이터와 현지조사의 비교
3. 지형·지질 면에서 살펴본 황하의 특성
맺는말
2. 명대(明代) 호남성(湖南省)의 환경과 역병(疫病) ------ 김현선(金賢善) 63
머리말
1. 명대 호남성의 역병 분포
2. 환경과 역병
맺는말
Ⅱ. 정치체제(전근대편)
3. 신라의 환관(宦官) 관부(官府)를 찾아서 ------ 이재환(李在晥) 111
― 세택(중사성)의 성격에 대한 재검토
머리말
1. 신라 중·하대의 중사(中使)·내양(內養)과 중사성
2. 동궁 출토 목간(木簡)을 통해 본 세택의 담당 직무
맺는말
4. 16세기 조선 ‘산림지사’(山林之士)의 대두와 천거제 논의 ------ 김영인(金映印) 133
머리말
1. 성리학의 확산과 ‘산림지사’의 시대
2. 16세기 전반: 산림지사의 진출과 천거제
3. 16세기 후반: 산림지사의 위상 강화
맺는말
Ⅲ. 정치사상(전근대편)
5. 질서 지상인가 군주 지상인가 ------ 장펑(姜鵬) 149
― 사마광(司馬光)의 정치관념에 대한 재해석
머리말: 중앙집권과 군주전제의 차이
1. 『자치통감』에 대한 인물평가의 기술법
2. 국가수호와 예제수호의 사이
3. 군신관계에 관한 예와 군주의 책임
맺는말
6. 일본형 병학(兵學)의 성립 ------ 당리궈(唐利國) 173
― 야마가 소코(山鹿素行)의 주자학 비판에 대한 논의
머리말
1. 소코가 바라본 무가정치(武家政治)
2. 주자학의 ‘궁리’(窮理)에서 고학(古學)의 ‘궁리’로
3. 야마가류(山鹿流) 병학의 확립
Ⅳ. 국제관계(전근대편)
7. 조선 왕조 초기 ‘향화왜인’(向化倭人) 평도전(平道全) 연구 ------ 왕신레이(王鑫磊) 195
머리말
1. ‘향화왜인’이란 무엇인가: 기존연구와 이 글의 문제의식
2. ‘향화왜인’ 평도전
3. 조선 왕조와 일본 대마도의 특수한 관계
맺는말: ‘향화왜인’과 14세기 말~15세기 초 동아시아의 ‘왜구’ 문제
8. 조선·후금(後金) 사이의 경제관계 ------ 쓰지 야마토(辻大和) 223
― 동아시아 대란 가운데서의 다각무역과 권력관계
머리말
1. 조선과 후금 사이의 무역형태
2. 조선 정부의 대(對)후금 무역정책
3. 조선의 대후금 무역정책의 배경
맺는말
9. 감추는 외교 ------ 와타나베 미키(渡邊美季) 247
― 청에 대한 류쿠·일본 관계 은폐정책
머리말
1. 류큐의 역사와 중국·일본과의 관계
2. 은폐정책의 개시와 전개
3. 은폐정책과 표착사건
4. 은폐정책과 청조(淸朝)
5. 은폐정책과 근대국가의 외교
Ⅴ. 서학에 대한 대응
10. 메이지 일본 계몽사상의 재검토 ------ 고노 유리(河野有理) 273
― 『메이로쿠 잡지』(明六雜誌)를 소재로
머리말
1. 계몽과 점진주의
2. 포스트 ‘봉건·군현론’의 시대: ‘봉건’ 의회/‘군현’ 의회
맺는말
11. 근대 동아시아 지식변화의 한 장면 ------ 쑨칭(孫靑) 297
― 청말(1860~1905) 과거제도 개혁 중 주현(州縣)의 교사관(校士館)과 신학(新學) 과예(課藝)
머리말
1. 신학 도입의 과도형식: 서원에서의 ‘과예’시험
2. 청말 교육개혁과 신학 과예의 세 발전 단계
3. 경자년(1901) 과거개혁 후 지방 서원의 신학 과예: 산동 임청교사분관과 절강 석문교사관의 사례
맺는말
Ⅵ. 국제관계(근대편)
12. 각종 미디어로 본 전쟁과 일본 민중의 중국관 ------ 가나야마 야스유키(金山泰志) 335
머리말
1. 신문 이외 미디어를 통한 민중의 중국관 연구
2. 소학교 교육을 통해 본 일본의 중국관
3. 소년 잡지를 통해 본 일본의 중국관
4. 고단과 연극을 통해 본 일본의 중국관
5. 고전세계의 중국에 대한 긍정적 시선
맺는말
13. 고노에 아쓰마로(近衛篤麿)와 19~20세기 중일관계 ------ 다이하이빈(戴海斌) 355
― 두 차례 중국행을 중심으로
머리말
1. 고노에 아쓰마로와 관련된 사료
2. 제1차 중국행(1899년 10~11월)
3. 제2차 중국행(1901년 7~8월)
맺는말
Ⅶ. 젠더·자본주의·신식민주의
14. ‘미명’(美名) 혹은 ‘오명’(汚名) ------ 황푸추스(皇甫秋實) 383
― 1930년대 상해에서의 여성 권련소비
머리말
1. 이윤 추구에 따른 여성 권련소비의 ‘미명화’(美名化)
2. 경제적 압박에 따른 여성 권련소비의 ‘오명화’(汚名化)
맺는말
15. 제국 일본의 ‘내선결혼’(內鮮結婚) 정책과 현실 ------ 이정선(李正善) 407
머리말: 동화정책과 ‘내선결혼’
1. 1910~30년대 내선결혼 법제의 형성과 운용
2. 1910~30년대 내선결혼의 선전과 실태
3. 전시체제 시기의 내선결혼 정책과 내선혼혈 문제
맺는말
Ⅷ. 전시체제와 탈식민지화
16. ‘듣는 주체’의 형성과 대중의 국민화 ------ 정지희(鄭知喜) 437
― 전시 일본의 라디오 청취지도
머리말
1. 단체청취의 실험과 규범적 청취자상(像)
2. 라디오의 생활화와 전시동원
3. 테평양전쟁 아래의 청취지도: 필청(必聽)과 강제청취의 이념과 실제
맺는말
17. 동아시아 전후처리와 해외 한인의 귀환 ------ 황선익(黃善翌) 459
머리말
1. 연합군 총사령부의 재일한인 귀환정책
2. 중국·미국의 귀환교섭과 재중한인의 귀환
3. 사할린 지역 한인의 귀환교섭과 억류
맺는말
18. 제국 해체 이후 ------ 나카야마 다이쇼(中山大將) 483
― 구(舊) 사할린 주민이 겪은 복수(複數)의 전후
머리말
1. 이 글의 목적
2. 구(舊) 가라후토 주민의 분류
3. 인양자와 단체의 전후: 피해에서 화해 내지 망각으로
4. 냉전 시기 이후 귀국자와 귀국자 단체의 전후: 뒤틀린 가해성
5. 잔류한인의 전후: ‘기억’의 충돌
맺는말
편자 및 집필자 소개 ---------------------------------------- 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