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일본사 시민강좌

일본사 시민강좌

이재석, 김현경, 박수철, 김선희, 박훈, 박은영, 박삼헌, 이은경, 이승희, 서민교 (지은이)
연립서가
3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9,700원 -10% 0원
1,650원
28,050원 >
29,7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2,970원
26,7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일본사 시민강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일본사 시민강좌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일본사 > 일본사 일반
· ISBN : 9791193598016
· 쪽수 : 635쪽
· 출판일 : 2024-06-30

책 소개

‘방법’으로서의 일본사 읽기, 감정을 넘어 체계적 이해와 건전한 비판을 통해 역사를 주시하는 첫 일본사 대중 강연을 한 권의 책으로!

목차

일본사 시민강좌를 시작하며
1강 고대사에서 본 한일관계의 원풍경 | 이재석
2강 왜왕과 천황 사이 | 김현경
3강 ‘전국시대’, 총과 은 이야기 | 박수철
4강 사무라이, 칼을 차고 유학을 말하다 | 김선희
5강 메이지유신이란 무엇인가? | 박훈
6강 일본인은 왜 그리스도교를 믿지 않는가? | 박은영
7강 근대의 천황, 천황의 정치 | 박삼헌
8강 최소한의 ‘근대 일본 여성 분투기’ | 이은경
9강 제국의 헌병, 식민지 조선을 지배하다 | 이승희
10강 왜 전쟁에서 무고한 생명이 희생되어야 하는가? | 서민교
찾아보기
도판 출처

저자소개

이재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성대학교 역사문화학부 교수. 고대 일본의 역사를 전공했고 한일 관계 및 고대 동아시아사에 관해서도 관심이 많다. 최근은 일본의 국사 편찬을 비롯한 8~9세기의 문제를 주로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고대 한일관계와 일본서기』(동북아역사재단, 2019)가 있으며, 그밖에 『일본서기 한국관계기사 연구(전3권)』(일지사, 2002~2004), 『일본고중세사』(방통대출판부, 2007) 『아틀라스 일본사』(사계절,2011) 등을 포함한 다수의 공저와 학술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서민교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동양사(일본사) 석사과정을 수료한 후, 일본 히토쓰바시대학 대학원에서 근대 일본 군사사를 전공해 석사,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주로 근대 일본군과 전쟁에 대해 연구를 하고 있으며, 근대 한일관계, 근대 동아시아 국제관계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고 강의와 연구를 병행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일본 근세 근현대사』(공저, 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5), 『地域の中の軍隊 7 帝国支配の最前線ー植民地』(공저, 吉川弘文舘, 2015)가 있다. 번역서로는 『일본근현대사를어떻게 볼 것인가?』(어문학사, 2013) 등이 있고, 『벌거벗은 세계사 6 : 조선을 둘러싼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아울북, 2023) 등을 감수했다.
펼치기
박수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역사학부 교수. 전남대학교 사학과 교수와 일본 도쿄대학 ·교토대학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British Columbia대학의 외국인연구원 · 객원교수 ·방문교수를 역임했다. 16세기 일본의 국가 체제 및 사회 변동을 시야에 두면서, 주로 오다 노부나가와 도요토미 히데요시 시기 무사와 종교(천황) 관계를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오다·도요토미 정권의 사사寺社지배와 천황』(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2), 편역서 『오다 노부나가와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어떤 인물인가: 16세기 예수회 선교사 루이스 프로이스의 기록』(위더스북, 2017), 공저 『아틀라스 일본사』(사계절, 2011) 등과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박수철의 다른 책 >
박삼헌 (지은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학교 일어교육과 교수 겸 아시아콘텐츠연구소 소장. 고려대학교 일어일문학과를 졸업하고 고베대학 대학원에서 일본사회문화사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근대 일본의 국가체제를 중심으로 연구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메이지 시대 이후, ‘메이지’를 둘러싼 역사 인식과 정치에 관심이 많다. 저서로 『근대 일본 형성기의 국가체제: 지방관회의·태정관·천황』, 『천황 그리고 국민과 신민 사이』 등이, 공저로 『한중일이 함께 쓴 동아시아 근현대사』, 『동아시아 도시 이야기』, 『일본사 시민강좌』, 『벌거벗은 세계사: 사건편 2』 등이, 번역서로 『천황의 초상』, 『천황 아키히토와 헤이세이 일본사』 등이 있다.
펼치기
박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동양사학과에서 학사· 석사를, 도쿄대에서 박사학위를 마친 뒤, 국민대 일본학과를 거쳐 현재 서울대 역사학부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19세기 일본과 동아시아의 정치체제 비교, 일본인의 대외 인식과 내셔널리즘의 형성 과정을 연구해왔다. 저서로 《위험한 일본책》, 《메이지 유신은 어떻게 가능했는가》, 《메이지 유신과 사대부적 정치문화》 등이 있다.
펼치기
박은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연구교수. 일본 근대사, 일본 기독교사를 전공했다. 근대국가와 전쟁, 종교 문제에 관심이 있으며, 최근에는 일본 여성사의 관점에서 근대 일본 여성의 사상 형성 문제를 분석하고 있다. 공저로 『일본사 시민강좌』, 『근대 일본인의 국가인식: 메이지 인물 6인의 삶을 관통한 국가』, 『근현대 동아시아 지식장과 정치변동』 등이, 번역서로 『환경으로 보는 고대 중국』, 『서양을 번역하다』, 『번역된 근대』(이상 공역), 『한중일 비교 통사』 등이 있다.
펼치기
이은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부교수. 주로 근대 일본의 역사를 여성 인물과 운동을 중심으로 연구해 왔고, 대중적 글쓰기에도 관심이 있다. 저서로는 『근대 일본 여성 분투기』, 공저로 『젠더와 일본 사회』·『난감한 이웃 일본을 이해하는 여섯 가지 시선』·『근대 일본인의 국가인식』 등이 있다.
펼치기
김선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히로시마대학 대학원 교육학연구과 박사, 일본사상사·한일비교문화 전공 건국대학교 아시아콘텐츠연구소 선임연구원 서강대학교 국제인문학부 일본문화연계전공 강사 [주요 공저] 《일본사 시민강좌》(2024) 《일본 근세 유학과 지식의 활용》(2021) [주요 역서] 《일본어 『논어』 읽기 ‘배움’을 구하다》(2024) 《에도시대를 생각한다》(2023) 《일본 정치사상사 17~19세기》(2017)
펼치기
이승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학교 사학과 교수. 지금까지 주로 근대 일본의 동아시아 침략 과정 속에서 일본군 헌병과 경찰이 담당한 역할에 관해 연구해 왔다. 저서로는 『韓国併合と日本軍憲兵隊』(新泉社, 2008), 번역서로는 『재일코리안의 전후사: 고베 암시장을 누빈 문동건의 못다 이룬 꿈』(민속원, 2023)이 있으며, 그밖에 『주권의 야만: 밀항, 수용소, 재일조선인』(한울아카데미, 2017), 『동서양 역사 속의 다문화적 전개 양상 2』(경진출판, 2015) 등 다수의 공저와 학술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김현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역사학부 강사.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와 일본 교토대학 대학원 문학연구과에서 각각 석사학위를, 교토대학 대학원 문학연구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서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등에서 강의를 맡고 있다. 전공은 일본고중세사이며, 주로 헤이안시대(9~12세기)의 귀족사회와 신분질서를 연구했다. 논문으로 「일본 헤이안시대 중후기 家格의 형성」(『동양사학연구』 158, 2022), 「일본 고대사 연구의 '왕조(王朝)' 개념」(『한국고대사연구』 110, 2023) 등이 있으며, 공저로 『고대 동아시아의 수군과 해양활동』(온샘, 2022), 『일본사 시민강좌』(연립서가, 2024)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누군가 나에게 ‘일본이 대체 무엇이냐’고 질문한다면, 일본은 연구의 대상인 동시에 ‘방법’ 그 자체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일본 연구를 통해 일본에 관한 이야기를 할 수도 있지만, 동시에 한국을 이야기할 수도 있고, 또 일본을 통해서 아시아나 세계를 이야기할 수도 있습니다. 일본은 어떤 대상을 이해하기 위한 인식의 소재가 되는 거지요. 이처럼 무언가를 인식의 소재, 연구의 방법으로 삼으려면 흥미와 관심이 필요합니다. 흥미와 관심이 생겨나면 오래 바라보고 주의 깊게 보게 되고 한 걸음 더 나아가면 자세히 관찰하게 됩니다. 관찰한다는 것은 학술적으로 말하면 ‘연구한다’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연구하다 보면 또 다른 분야로 흥미와 관심이 뻗어 나가게 되고 다시 주시와 관찰을 거쳐 연구의 범위가 확장하게 됩니다. 흥미와 공부가 꼬리에 꼬리를 무는 선순환이 만들어질 것입니다. (1강)


오늘날 한일관계의 원풍경을 찾아간다면, 8~9세기 신라와 일본의 관계에서 발견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제1강에서는 신라와 일본의 관계를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당시 신라와 일본의 관계를 특징짓는 두 개의 키워드는 ‘자존’과 ‘교류’라고 할 수 있어요. 지금도 마찬가지예요. 한국과 일본 사이에는 서로 지지 않으려고 자존심을 굽히지 않는 대항 의식이 있습니다. 한편으로 두 나라는 분발케 하는 자극제로서 서로를 바라보기도 합니다. 한일관계는 한국사에서도, 일본사에서도 비중이 꽤 큽니다. 한국이나 일본 두 나라 모두 관계사를 통해 자기 나라의 본모습, 진면목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관계사 연구는 단순히 A와 B의 관계를 공부하는 것으로 끝나는 게 아니라, 상대방을 통해서 자기 자신의 모습을 돌아볼 수 있는 중요한 방법론이기도 합니다.(1강)


일본의 군주를 가리키는 호칭으로 과연 어떤 게 적절할까요? 솔직히 판단하기 어려운 일이에요. 각자가 처한 상황에 따라서 선택이 달라질 테니까요. 다만 제2강에서는 천황 호칭을 써도 되느냐 쓰지 말아야 하느냐 하는 문제를 떠나서, 정말 천황이 정말 천황이 하느님이나 하늘의 황제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지, 그리고 천황은 원래 어떤 의미로 사용되었는지에 대해 고민해 보려고 합니다. (중략) 일본도 처음부터 천황 호칭을 사용하지 않았을 거예요. 천황이라는 군주 호칭은 고대 일본에서 생겨났고, 그 이전에는 왕 또는 ‘왜왕’이라는 호칭이 존재했습니다. 일본에서 군주 호칭이 변화하는 과정을 살펴본다면, 우리가 일본의 군주를 어떻게 부를지 고민하는 데도 참고할 만한 좋은 자료가 될 거예요.(2강)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